한국교회 교육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회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중기의 시대적, 교육적, 교회적 상황(1922-1945)
A. 시대적 상황
B. 교육적 상황
C. 교회적 상황

Ⅲ. 중기 교회 교육의 내용
A. 중기 교회교육 발전의 요인
B. 중기 교회교육의 특징
C. 중기 교회교육의 방법
1. 성경교육
2. 교사교육
D. 중기 교육의 핵심으로서의 주일학교
1. 주일학교의 동기
2. 주일학교의 특징
3. 주일학교 공과
4. 주일학교의 확장
a) 하기 아동성경학교(Daily Vacation Bible School)
b) 확장주일학교(Extention Sunday Schoois)
E. 중기 교회교육의 한 형태로서의 성경구락부
F. 중기 교회교육의 쇠퇴

Ⅳ. 결 론

본문내용

와 로마 카돌릭교가 보여준 태도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이것이 주는 의미는 한 사회가 문화적으로 발달하였던지 아니던지 교회가 사회에 대하여 지도적 기능을 발휘하면 그 만큼 사람들의 마음을 교회로 이끌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교회의대 사회기능을 교회의 예산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가늠하게 해주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평균적으로 한국교회의 사회봉사비 노치준, “한국교회 재정구조의 연구”, 중앙일보 1994년 6월 21일 15면에 교회예산의 구조를 밝히고 있는데 교역자의 급여 27.28%, 관리와 운영 26.03%(12.7%, 13.3%), 건축비 13.16%, 국내외 선교비 8.09%, 교육비 7.41%, 예배비 4.02%, 사회봉사비 3.88%, 기타 10.12%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는 3.88%에 지나지 아니한다. 이는 한국교회의 사회적 기능이 그 만큼 약함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교회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교회의 부흥을 위해서도 대사회적 활동을 강화해야 함을 지적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중기시대는 한국교회가 매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교회지도자들이 교회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교회가 양적으로 부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질적으로 성숙하여질 때만 교회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행히도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일부의 교회에서 질적 성장을 위하여 교회교육을 강조하고 있음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대도시의 일부 교회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어서 지금의 교회들이 앞으로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1930년대의 교회가 질적인 성장을 추구했다는 사실은 그 노력의 성패(成敗)를 떠나서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근년에 장로교회의 중요한 교단들이 교회교육의 근간이 되는 주일학교의 공과를 새롭게 집필하는 것이 이러한 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효과있는 교회교육을 위해서는, 현재의 교회를 개신해 갈 수 있는 후세들을 양육하기 위해서는 개교회적으로도 그러하지만 교단적으로 관심과 지원을 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1920년대부터 주일학교 진흥책을 수립하였으며 특히 1939년에서 1942년 까지는 매우 구체적으로 주일학교 진흥책을 모색하였다. 이글의 Ⅲ, B. ‘중기 교회교육의 특징’을 참고.
위에서 인용한 1990년대의 한국교회의 예산에서 교회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7.41%이다. 반면에 6년전의 통계이지만 서울의 각교단의 대교회의 교육비는 대체로 10%선이다. 한춘기(편), 한국교회와 교육(서울 : 총신대학 출판부, 1993), 145면.
한 교회의 교육비가 어느 정도라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준거는 없지만 교회의 기능이 예배, 전도, 교육, 봉사(교제)임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교육비는 상대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한국교회는 교회교육을 위하여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환경시설과 교육자료의 개발에 재정적인 투자를 많이 함으로서 지금의 교회를 건전하게 육성시켜 갈 뿐 아니라 미래의 한국교회를 발전시켜 갈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중기 한국교회교육을 되돌아 보면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고 할 수 있다.
참 고 도 서
국민일보, 1991년 10월 5일 8면.
김찬호, 성경구락부의 역사2, 지도자, 1971.
대한예수교 장로회 전국주일학교 연합회, 전국주교 30년사, 1985.
獨立新聞, 1920년 1월 10일 1면.
민경배, 한국교회사,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9.
성경구락부 운동, 지도자, 1967.
신학지남, 1994, 여름, 통권 240호.
윤종권, 일제식민지시대(1920-1945)의 한국개신교 교회교육에 관한 연구
이기백, 韓國史 新論, 서울 : 一潮閣, 1967.
이덕주, 대한기독교서회 100년 약사, 기독교사상, 1990. 6. 34권 6호,
통권 378호.
이만규, 조선교육사 Ⅱ, 서울 : 거름, 1988.
이만열, 한국기독교 문화운동사, 서울 :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7.
조선주일학교 연합회, 주일학교 통신, 1928. 6. 2면.
한신대학 대학원, 1988.
중앙일보, 1994년 6월 21일 15면.
채기은, 한국교회사, 서울 : 예수교 문서선교회, 1977.
킨슬러, 성경구락부 교육원리, 지도자, 1968.
한국기독교사 연구회, 한국기독교 역사 Ⅱ, 서울 : 기독교문사, 1991.
한춘기, 한국교회와 교육,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1993.
Harry A. Rhodes & Archibald Campbell, Commission on Ecumenical Mission and Relations UPCUSA, 1964
Harry A. Rhodes,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CUSA, 1884-1934, Seoul, Chosen Mission Presbyterian Church, U.S.A., 1934.
Horace Horton Underwood, Modern Education in Korea, NY : International Press, 1926.
J. G. Holdcroft, Summer Vacation Bible Schools, KMF, A Monthly Journal of Christian Progress, Seoul : The Federal Council of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 1932. 2.
R. M. Wilson, Extension Sunday School. KMF, 1921, 7.
Rev. S. L. Roberts, Fifty years of Christion Trainning in Korea, The Board of Korea Mission, PCUSA, The Fiftieth Anniversary Ceiebretion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une 30-July 3, 1934.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03.31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