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음운론 음성실험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음운론 음성실험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되어 가던 피치패턴이 문말까지 계속된다. 거의 끝에, 문말에 와서야 하강하는 모습이다.
이렇게 <그림 5,6,7>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요인으로 문두의 요소가 의문사라는 기능적인 측면과 의문사 자체의 악센트 유형에 따른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가 있겠다. 그리고 또 이러한 현상은 발화단위가 하나의 억양구로 발음된다는 점에서 HL형의 의문사문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가 있다.
3-4. 구 경계의 위치에 따른 억양의 특징
<그림 8> 예쁜 정환의 // 얼굴 예쁜 // 정환의 얼굴
<그림 9> 큰 정환이의 // 눈 큰 // 정환이의 눈
<그림 8, 9>에서처럼 구의 경계가 뒤에 있을 때-즉 구구조가 좌측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예쁜’ 과 ‘큰’ 이 각각 ‘정환’ 과 ‘정환이’를 수식하는 경우-에 하나의 억양 구조로 형성되는 반면, 구의 경계가 우측으로 나누어져 있을 경우에는 악센트가 두 개로 나타난다. 이는 구의 경계가 우측에 있을 경우는 억양구가 일체화되므로 이 구역에서는 포커스문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고 마치 의미를 강조하려고 화자가 의도적으로 피치를 올린 듯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4. 실험 결과 및 해석.
대구방언에서는 언어 일반적인 특징으로 밝혀진 문 구조의 하강현상이 나타나며, 동시에 의문사 의문문과 같은 특이한 문법구조 체계에서 억양이 상승되어 가는 현상에 대해서도 보았다. 결국 의문사 의문문의, 문두에 나타나는 의문사 악센트형에 따라 문말까지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것을 의문사 자체의 악센트 유형에 따른 것으로도 생각되지만 동시에 의문사라는 특수한 문법적 기능을 가지는 요소이기 때문인 것으로도 생각할 수가 있겠다. 그 예로 비의문사 상승조 악센트를 가지는 단어가 문두에 올 때는 상승시키는 효과가 국소적이라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 의문사에 따라 문 전체가 급하강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것 역시 의문사라는 문법적 기능에 의한 현상이라는 것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것이 포커스문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의문사라고 하는 것이 문법적인 기능 그 자체로 의미적 강조 효과가 있는 요소로 해석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의문사나 단어가 가진 자체의 상승 악센트나 구 경계에 의한 구분으로 나타나는 억양의 변화 이외에도 화자의 의도에 의해 나온 초점어로 인해서도 그 전후 요소의 음성적 자질의 감소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이것을 초점에 의한 음성변이를 단지 음성학적인 특징으로 국한해서 해석하지 않고, 언어학적인 효과라고 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본다.
대구 방언 타 방언과는 다르게 문장의 문두에 강한 악센트가 와서 문말까지 그것을 지속시키며 그 전후의 피치의 강한 고저의 변화로 인해 피치 곡선이 오르락내리락 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상승조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은 재미나게도 일본어가 가지는 억양과도 유사하다. 그래서 대구 사람이 서울 지하철 같은 곳에서 크게 이야기를 하면 사투리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사람은 억양의 차이에 인해 전혀 못 알아듣거나 혹은 일본어로 들리는 착각마저 불러일으키는 것일 것이다. 이렇게 대구 방언이 가지는 자체적인 음조변이와 초점이 가지는 변이가 합쳐지고 그것이 구 전체로 퍼져나가 하나의 억양으로 고정되어진 듯하다. 하나의 가설이지만 부산을 비롯해 경상도 지방이 일본과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고 그에 따라 어느 정도 서로의 문화가 섞이고 그와 중에 언어적인 파급효과도 함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을 감히 해본다.
5. 기타(일본어와 한국어의 성조 비교 및 원인 추측)
<그림 10> そんなことわくらないとおむう -그런 일은 시시하다고 생각한다.
<그림 11> 그런 일은 시시하다고 생각한다.
<그림 12> あいさつがちやんとのにんけんはどもたじもおおいそうだ- 인사를 제대로 하는 사람은 친구도 많다고 한다.
<그림 13> 인사를 제대로 하는 사람은 친구도 많다고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주어가 초점을 받을 경우 조사의 은, 는(は) 대신에 이, 가(が)가 선택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과 초점을 받는 단어는 운율요소 중 음조에 있어서 그 변화 양상이 두드러진다.
이것을 민족의 분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변화가 아닐까 추측해본다. 가령 고구려가 멸망할 때 당나라에서 끌고 간 20만 명의 유민들로 이루어졌다는 가설로 유명한 동남아시아계의 LAHU족은 북한 사투리와 억양이 유사하며 단어에 있어서도 '너'를 '너'라고 하고 '나흐'는 '우리' '너흐'는 '너희' '나웨'는 '나의' 등의 표기법에 있어서도 상당한 유사점을 보인다.
이밖에도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단어는 아이누어족의 단어와 유사하게 쓰이는데 이것은 대구 방언과 일본어에서 보이는 유사점을 연결 지어 생각한다면 그 이해가 한층 쉬워질 듯하다. 제주도 사투리인 섬을 지칭하는 kotan은 현대의 아이누어인 섬이라는 뜻이며, 일본에서 후지산이라고 불리는 것은 아이누어에서 huchi로 불을 뜻한다. 이렇게 언어는 서로 간 섞임을 통해 형성되어 발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렇듯이 일본 또한 그 섬 안에서 자생한 민족이 아닌 한반도에서 건너간 민족들이 세운 나라이고 긴 시간과 지리학적 단절로 인해 언어가 변형되어 나타났지만 기본적인 문법과 경상도 방언계의 억양 등의 것은 그대로 남은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보았다.
6. 참고 문헌 및 사이트 주소
음성학과 공학의 만남/ 성철재, 심소희, 정슬 지음/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3
말소리 35-36호/1998
가우리 학문 공동체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41060
http://blog.naver.com/eeeee5813?Redirect=Log&logNo=10014839561
http://blog.naver.com/vtakashiv?Redirect=Log&logNo=70003623166
한국어와 타 언어와의 관계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4&eid=OMtY5kSJ7tJelwXDaUuhJiq/ZRC3P6e0&qb=vsvFuMDMvu4=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4.0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