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일상생활 매스미디어와 뉴미디어 활용방식, 미디어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뉴미디어란 무엇인가?
2. 뉴미디어의 다양한 개념규정
3. 대중문화 Popular Culture로서의 미디어
4. 학습도구 및 지식의 전달자로서의 매스미디어
5. 일상생활 매스미디어와 뉴미디어 활용방식
6. 매스미디어의 기능
1) 매스미디어의 환경감시 기능
(1) 환경감시의 순기능
(2) 환경감시의 역기능
2) 매스미디어의 상관조정기능
(1) 상관조정의 순기능
(2) 상관조정의 역기능
3) 매스미디어의 사회유산 전수 기능
4) 매스미디어의 오락기능
7. 미디어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의 영향
1) 미디어의 긍정적인 면
2) 미디어의 부정적인 면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많은 칼럼이나 피쳐 기사, 영화등은 그 내용이 오락적 요소를 갖고 있다. 일상문제로부터 탈피해 휴식을 제공하며 여가시간을 메꾸어 준다. 그리고 미디어는 수많은 사람들을 대중 미술과 음악에 노출시켜 예술에 있어 공중의 취향을 향상시킨다.
넷째, 환경 감시를 한다. 정보를 주고 뉴스를 제공하므로써 위험한 기상조건이나 무력상황을 우리에게 경고한다. 만약 하천이 오염되가고, 밀렵군이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을 알수가 없고, 이름 그대로 방치한다면 결과는 생각만 해도 끔찍할 것이다.
그밖에도 여러 가지의 장점들이 있다.
2) 미디어의 부정적인 면
첫째, 너무 많은 정보 과다로 사람들을 정보의 스트레스를 받게 만든다.
우리는 현대를 정보의 홍수사회라고 부른다. 개인이 소화할수 없는 정보량으로 하여금 개인이 사회에 처지는 느낌을 갖게하고, 스스로 도퇴되게 만든다.
둘째, 지배계층의 이용물이 될 수 있다.
그 예로서 선거의 매체물 이용을 들수 있다.
발간물을 통제하려는 지배계층은 그것을 이용하여 정권유지의 도구로 삶고 또한, 자기의 헛점을 감추는 방법의 한 일환으로 사용한다.
즉 후보자의 선거대결에서 이런 매스미디어의 보도가 그 공정성을 잃음으로서 특정후보의 좋은점만, 다른후보는 나쁜점만을 보도하여 어떤 특정후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선거에 이용되어 왔다.
셋째, 사회를 획일화 하려는 경향이 있다. 즉 개인의 개성이 무시된다.
미디어를 통해 나오는 여러패션과 문화를 미디어의 기준으로 맞춰 독특한 개인의 특성을 발전시킬수 없게 한다.
넷째, 사회성문제를 가진 매체의 노출이 대중에게 급속히 전파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된다.
이러한 부정적인 면을 쉽게 알수 있는 예를 들어보자
폭력성의 전파가 그 한 예이다.
TV나 영화에서 영상으로 그러한 장면들을 보여준다. 최근 신문기사에서 우리나라의 고등학교내 폭력상황에 대해 조사한 바가 있는 우리 주변 어느 국가보다도 우리나라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기사로 그 원인을 매체 즉 영화나 비디오, 만화에 원인을 돌리고 있다.
그리고 그 기사에서는 더붙어 그러한 폭력물의 영향은 지금 나타나지 않더라도 사람들에게 잠재되어 훗날 사건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평했다.
다음 예로서 잘못된 정보의 전달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런 잘못된 정보의 전파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왔다. 특히 정치적 면에서 볼 때, 어떤 두 사람의 선거대결에서 이런 매스미디어의 보도는 대중 매체가 공정성을 잃는다면 수용자는 계속해서 그릇된 정보를 받게되고 선거 후보자들의 나쁜점만을 인식하므로써 잘못된 선택과 불신임을 갖게 된다.
지금까지 매스미디어의 장점과 단점이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시키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가?
아직도 사회는 부와 권력이 편중되어 있으므로 대중매체의 부정적인 면은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정보의 전달은 개인에게 전달이 되지만, 집단과 조직을 통해 그 행위가 나타나므로 그 조직의 효율적 관리가 도움이 될 것이다.
Harold Laswell은 "지배요소는 다른 이에 대해 각별히 경계하여 권력보존수단으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고 있다"라고 말했지만 미디어의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고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을 좀더 연구파악한다면 대중매체의 장점을 살릴수 있는 많은 길이 있을 것이고, 앞으로는 이러한 매체들이 단지 한쪽에서만 주는 것이 아닌, 쌍방향 정보를 교환할수 있는 매체들로 바뀔 것이다. 이를 이용한다면 좀더 나은 첨단 미디어 세계가 될 것이다.
Ⅲ. 결 론
미디어는 다른 대상을 관찰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스스로는 잠재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관찰될 수 없는 미디어를 그 표현대상으로 삼는 미학적인 형식을 우리는 매체미학적 관점에서 논할 수 있다. 물론 미디어의 일반적 활용의 방식에서 어긋난 이러한 예술은 따라서 항상 파괴된 모습으로, 혹은 일탈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관습적으로 구분되고 정리되어 있어야할 미디어 자체가 예술 속에서 형식성을 띄며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유에서 미디어가 다시 기억되며 미디어인지 콘텐츠인지 구분할 수 없는 상황이 이루어진다. 루만의 표현을 빌자면 (매체)예술은 “우연성의 공간”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속에서는 다른 어떤 것이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가 어떠한 방식으로 관습화되는 과정을 거쳐서 생산물을 만들어내는지를 지적하여 자신의 작동방식을 성찰하는 ‘자기지시적 체계’이다. 매체미학은 이론적으로 예술을 구분과 선택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술을 파악하였을 때, 개념성과 사실성과 그것의 구성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을 유예하는 형식으로서 기능할 때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체미학적인 형식을 위해 동원된 미디어, 흔히 복잡한 형태로 그리고 여러 가지의 기호나 재료들을 혼합한 형태의 미디어는 관습화되어 이미 결정된 미디어가 아니다. 오히려 구분/분리/결정의 작업이 유보된 상태의 미디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의미를 지향한 문자예술의 일반적 이해를 미디어의 활용으로, 그와는 반대로 구분/분리/결정을 유보한 매체미학적 예술을 뉴미디어의 예술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석 (1997). 《멀티미디어와 정보사회》나남.
김인수 (1997). 기술변화형태. 《언론대학원 강의록》.
김환석 (1997).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과학사상》제20호.
맥루한 著 , 박정규 譯 (1997). 《미디어의 이해》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오택섭 외 (1995). 《매스미디어와 사회》나남.
디저드, 윌슨 (이민규역),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 정보화시대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서울: 나남 1997.
Adler, Jeremy/Ernst, Ulich: Text als Figur. Visuelle Poesie von der Antike bis zur Moderne, Weinheim 1987.
Bolter, Jay/Grusin, Richard.: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Cambridge 1999.
Bolz, Norbert: Theorie der neuen Medien, Munchen 1990.
  • 가격2,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4.1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