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이론과 기독교교육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도록 훈련한다. 점차로 교사는 학생들이 기억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모든 감각(시각, 후각, 촉각, 미각, 느낌)을 기억에 포함하도록 지도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교사는 학생들에게 그들의 상상을 사용하여 환상의 세계로 들어가도록 말한다.
배글리(Michael T. Bagly)와 헤스(Karin Hess)는 교사들이 상상훈련을 지도할 동안 “천천히, 부드럽게, 인상쓰지 않고” 말할 것을 강조한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이야기 속에서 그들 자신을 볼 수 있도록 격려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이야기 줄거리를 관찰하는 데 참여하도록 해야한다. 교사는 어린이들이 가능한 한 많은 감각을 이용해 그들의 “주변”을 자세하게 표현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배글리와 헤스는 상상 훈련을 하는 동안 ‘봐봐, 들어봐, 느껴봐, 만져봐, 주의를 기울여봐’와 같은 단어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또한 상상을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즉, ‘그들에게 사건이 일어나도록 해봐" 같은 말은 피하는 것이 좋다. 교실은 평가하는 분위기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분위기가 학생들의 상상력를 자극하고 학생들이 참여하는데 가장 훌륭하게 도움이 된다.
불(B. Bull)과 윗트록(Wittrock)은 자아 발견의 상상(self-discovered imagery), 실험자 보충 상상(experimenter-supplied imgery), 비언어적 정의에 대한 장기 기억력(retention)에 근거한 언어적 정의에 관련된 효과를 연구하였다. 5학년 학생들 가운데 87명이 실험에 참여한다. 어떤 학생들은 높은 상상 가치를 가진 18개의 명사와 관련하여, 다른 학생들은 낮은 상상 가치를 가진 명사와 관련하여 실험에 참여한다. 자료를 분석해 보면, “명사의 정의에 대한 학습과 기억은 그 정의에 대해 학생들의 이미지를 발견했을 때 가장 용이하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상훈련을 통해서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의 중심 주제와 연결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그들의 경험들은 이야기 속에서 전달된 사회적 개념들의 의미와 연결되고 조명된다. 그러므로 이 모델은 시각적이고 언어적인 사고와의 관계를 확고하게 한다. 브러디(H. S. Broudy)는 인간의 마음은 상상과 단어들, 사물들로 채워진다고 지적한다. 인간의 모든 감각에 부딪치는 모든 것은 우리의 “상상 개념 저장(image-conceptual store)”하는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우리가 읽고, 말하고, 쓰고 듣는 때는 언제든지 이런 상상과 연상이 활동적으로 된다. 이런 것들은 우리의 경험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우리의 지식이 감각에 의존하는 것처럼 우리의 지식에 대한 이해도 감각에 의존한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상상(images)과 생각(ideas)은 인간의 지성 행동과 결정 행동의 기초를 형성한다.
3. 삼 단계: 예술 활동
삼 단계에서 학생들은 ‘이야기 듣기’나 ‘상상훈련에 참여하기’에서 얻은 상상, 생각, 느낌을 눈에 보이는 것으로 표현한다. 그리기, 꼴라쥬, 색칠하기, 조각물같은 예술적 형태를 통한 표현은 이전 단계 후에 자연스럽게 하게 될 것이다.
아이즈너(Elliot W. Eisner)는 눈에 보이게 나타나는 표현은 예술적 표현의 3가지(모방적 형태, 표현적인 형태, 틀에박힌 형태) 중 하나를 포함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방적인 형태에서 사람들은 특별한 모방의 매개물 안에서 사람들은 그, 그녀가 경험한 세계의 양식을 모방한다. 표현적인 형태에서는 사람들이 ‘표면적인 특징’을 넘어서고 사물과 사건이 준 느낌 또는 양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틀에 박힌 형태에서 사람들은 언어 상징을 사용하고 생각과 느낌을 연구하는 색깔을 사용한다.
아이즈너는 그의 글에서 질문을 제기한다. “어린이들이 그들이 색칠하고, 그리고 또는 3가지 영역별로 상상할 때 배우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나서 그는 어린이들을 위한 예술을 통한 9가지 이점을 주장한다. 9가지 각각은 인간 발달을 수단으로써 예술의 교육적 적합성에 공헌한다. 그 중요성 중 하나는 색칠하기, 그리기, 조각하기가 어린이들이 그들의 느낌과 생각으로 공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상상의 창조를 통해 어린이들은 그들이 세계와 그들 자신의 경험에 대해 가지고 있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 이렇게 그들의 색칠, 그림, 조각은 어린이들이 배운 것을 형성하고 명백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그들의 표현의 힘과 범위가 늘어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4. 사 단계: 나누는 시간
예술적 활동을 완성한 후에 학생들은 그들의 작품에 대해 말하도록 독려한다. 그들의 눈에 보이는 표현에 대한 성찰을 함으로 그들의 말로 묘사함으로 학생들은 그들의 사고를 야기시킬 것이고 압도적으로 언어적이다. 차례로 이러한 것들은 수정되고 확장될 것이다.
학생들의 그들의 작품에 대한 묘사는 그들이 이야기 속에서 사회개념을 이해했는지 못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회개념을 의미있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었는지 못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학생들이 개념을 상상하거나 그들의 삶 안에서 개념을 경험하거나 사회개념들이 그들을 일깨우는 느낌을 표현할 때 구체적으로나 상징적으로 개념들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개인적이고 인지적인 발달의 수단으로서 예술의 형태를 주요하게 사용한다. 생각, 상상, 느낌, 신체적 활동은 모든 것을 놀이로 가져간다. 정교하고 체계적인 노력은 학습자들이 생각과 느낌의 뉘앙스를 실험하고 발견하도록 도울 것이다. 결국 사고의 언어적, 시각화 도전은 좌우뇌의 정신적 활동의 통합의 상호작용을 자극한다.
이 모델의 주요한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시각화하고 언어적 사고의 과정으로 참여시키는 것이다. 교사들이 등급으로 매길 수 있는 것을 얻는 과정이 아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정신적 자극을 받는다. 동시에 학생들의 사고와 상상의 성숙이 드러나고, 다양한 형태로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드러난다. 이렇게 함으로, 이 과정은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경험과 정신적 활동을 건드릴 수 있게 되고, 교사들은 학생들의 새로운 이해를 도울 수 있게 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8.04.21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