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향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향교의 설치와 경영
향교의 임무
향교의 기능
①인재양성
②유교윤리의 보급
③사회교화
3. 결론

본문내용

한 지배체제에 대한 결속과 성리학의 유포, 문묘에 대한 제사의 기능을 포함하였던 것이다.
결론
향교는 우리나라 전통시대에 지방(향촌)에 설립되어 국가에서 운영하던 중등 교육 기관이다. 향교가 전국적으로 ‘1읍 1교’의 원칙으로 운영된 것은 14세기 말 조선 왕조가 개창되면서 부터이다. 조선 왕조는 유학(성리학)을 국가의 지도 이념으로 삼아 숭유배불 정책을 통치의 수단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백성들을 교화하고 유학의 소양을 갖춘 관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이 필요하였고 그 결과 전국적으로 향교가 설립되었다.
조선시대 향교는 교육 기관일 뿐 아니라 종교적 기능, 사회 교화 기관, 공론 소재처, 지방 문화의 중심지로서 차지하는 영역이 넓었으며, 향교 건물 자체도 조선시대의 대표적 목조 건축물로써 가치가 있다. 향교의 건물 구조는 일반적으로 배향 공간과 강학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과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한 문묘, 동.서무가 배향 공간에 속하며, 교생들의 교육을 위한 명륜당, 동. 서재는 강학 공간에 속하는 건물이다
중앙 집권적 전제 군주 국가였던 조선 왕조의 지방 제도는 군현제를 채택하여 중앙 관료인 수령을 지방에 파견하여 통치하였다. 향교도 제도적으로 교관이란 중앙 관료가 파견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므로 향교의 유지와 운영을 위하여 국가에서는 토지, 서책, 노비를 지급하였다.
향교의 중요한 행사 가운데 하나는 문묘 향사였다. 봄. 가을에 모시는 석전제와 초하루. 보름에 지내는 삭망제가 그것이다. 이는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제사를 통하여 유교 사상의 유지와 보급에 그 의의가 있었다.
조선시대 교육제도에서 관학은 고등 교육 기관인 성균관과, 중등 교육 기관으로 중앙에 사학과 지방에 향교가 있었다. 사학은 중등교육 기관인 서원과 초등 교육 기관인 서당이 있었다. 향교는 양반과 양인을 불문하고 서당을 거친 자제들을 교생으로 받아들여 과거 시험에 대비하고 유학의 소양을 갖춘 선비를 길러내는 목적을 가지고 운영하였다.
향교는 이러한 기능뿐만 아니라 그 지방 일반 백성들을 상대로 유풍을 진작시켜 미풍양속을 고취시키고 도의 생활을 양양하는 교화사업도 펼쳤다. 그 예로 향음주례와 향사례를 주관하였으며 특히 조선 후기에는 향약을 제정. 시행하면서 향촌 사회의 상부상조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냈으며 지방의 공론과 문화를 이끌어 가는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조선시대 향교는 정치를 담당하는 관아와 함께 교화를 담당하면서 향촌 사회를 운영하는 등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15세기 후반에 들어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문묘에 제사지내고 사회 교화를 담당하는 곳으로 존속하게 되었다. 또한 사학인 서원의 숫자가 크게 늘면서 상대적으로 침체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참고 문헌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 교육사. 교육과학사 1998
박의수.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2002
홍의유. 조선 교육사. 박이정 1998
윤희면. 조선 후기 향교 연구. 일조각 1990
강대민. 한국의 향교 연구.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