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사업]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도입 및 실천모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1. 학교의 특성 및 역할
2. 학교사회의 병리
3. 부적응의 개념정의
4. 학교사회사업 도입의 필요성
5. 학교사회사업의 특성과 기존 실천모델
1) 외국의 학교사회사업
2) 학교사회사업 실천모델

Ⅲ. 학교사회사업 실천모델에 대한 욕구조사
1. 조사방법
2. 조사분석의 결과
1) 학교부적응행동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차이
2) 기존의 부적응학생 대처들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
3)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욕구

Ⅳ. 학교사회사업의 실천모델 -학교중심 통합적 체계모델
1. 학교사회사업의 기본모형
2. 학교사회사업 실천의 원조과정
3. 학교사회사업 실천모델의 구성
1) 학교사회사업의 대상
2) 학교사회사업 전문가
3)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의 내용
4)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

Ⅴ. 결론 및 과제

참고 문헌

본문내용

주체적으로 움직여야 하고 그들과 함께 일하면서 사회사업가들은 갈등관계가 아닌 협력 관계를 유지해 나가면서 그들을 도와야 할 책임이 있다.
청소년문제 예방과 해결을 위한 학교사회사업제도의 효과성은 미국이나 독일을 포함한 선진국의 경험에서 이미 확인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선진국의 모델을 그대로 도입하여 사용할 수는 없다. 급변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여러 환경조건들을 고려하는 한국적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학교사회사업 실천모델은 현재 진행중인 교육개혁과 관련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개혁 시대에 우리에게 요청되는 학교사회사업은 치료에 중점을 두는 것보다는 예방에 중점을 두면서 치료를 병행하는 모델로서 도입되어야 한다. 미국, 독일 등 복지선진국의 경우 역시 치료에 중점을 두던 정책에서 예방에 중점을 두는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셋째, 학교자체가 개방되어야 하는 절대절명의 기로에 서 있는 만큼 새롭게 도입되어야 하는 학교사회사업은 일차적인 대상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이지만 동시에 폐쇄적인 학교체계의 개방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고안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 나라의 학교제도 내지는 교육은 실패하고 있고 그 결과의 하나로 부적응 학생이 양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청소년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해 학교사회사업제도가 조속히 도입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방법과 내용에 있어서는 이견이 있다. 1995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교육개혁 조차도 열린 교육을 지향하면서도 그 방법론에 있어서는 복지적 측면에 대한 고려를 전혀 도외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교육부에서는 1997년 11월 초중등교육법을 제정하면서 초중고등학교에 전문상담교사제도를 채택하여 학생복지와 학생문제 해결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전문상담교사의 자격을 교사자격증 소지자로 한정함으로써, 교사 이외의 전문가 개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자신들을 평가하는 위치에 있는 교사들과의 상담에 상당한 부담을 가지고 있어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전문상담교사제도가 효과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와 같은 관련 전문가들도 전문상담교사의 일원으로 학교에 임용될 수 있도록 전문상담교사의 자격조건을 수정·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김준기,『교육과 사회』, 원광대출판국, 1996.
이춘재외,『청년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95.
전재일외,『학교사회사업』,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7.
한인영외,『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1997.
김형방, "학교폭력과 사회복지 대응 방안",「사회복지」, 1996, 가을호.
도봉환, "학교상담에 관한 교사의 시각" 홍익대 교육대학원, 1989.
이경은 외(1997), "도시중등학교에서의 학교사회사업 모형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이상오(1996), "고용보험제 실시에 따른 고용촉진훈련의 내실화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장인협(1989), 「사회사업실천방법론(上)」,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전재일(1997), 「학교사회사업」, 대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한인영 외(1997), 「학교와 사회복지」, 서울: 학문사.
Alderson, J.(1972), "Models of school work practice," In R.Sarri & F. Maple(Eds.), School in the community,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c., pp. 57-74.
Allen-Meares, P. Washington, R. & Welsh, B.(1986), Social Work Service in School,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Barker, R. L.(1996), The social work dictionary 3rd, NASW Press.
Clancy, J.(1995), "Ecological school social work: The reality and the vision", Social Work in Education, Vol. 17, 40-47.
Costin, L.(1969), "An anaysis of the tasks in school social work," Social Service Review, Vol. 43(3), pp. 274-285.
Constable, R., Flynn, J.P. & McDonald, S.(1996), School Social Work, Lyceum Books, Inc.
Freeman, Edith M., "School Social Work Overview", Encyclopedia of Social Work, NASW, 19th, 1995.
Gibelman, M.(1993), "School social workers, counselors, and psychologists in collaboration: A shared agenda", Social Work in Education, Vol 15(1), 45-53.
Hare, I.(1994), "School social work on transition", Social Work in Education, Vol. 16(1), 64-68.
Kettner, P.M.(1975), "A framework for comparing practice models," Social Service Review, Vol. 49(4), pp. 629-642.
Radin, N. & Welsh, B.(1984), "Social work, psychology, and counseling in the schools," Social Work, January, PP. 28-33.
_____(1975). "A personal perspectivw on school social work," Social Casework, December, pp. 605-613.
  • 가격3,2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9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