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정리 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탈(1909. 7)⇒경찰권 박탈(1910. 6)⇒합방 조약(1910. 8)
42. 일제의 식민 통치의 변화
구분
지배 형태
수탈 형태
민족의 독립 활동
1단계(1910~1919)
헌병 경찰 통치
토지 조사 사업
의병 활동
2단계(1919~1931)
문화 정치
산미 증산 계획
31 운동
3단계(1931~1945)
민족 말살 정치
군수 공업화
대한 민국 임시 정부 활동
43. 31 운동(1919)
배경
민족 운동의 성장, 일제의 가혹한 무단 통치, 윌슨의 14개조(민족 자결 등)
발단
28 독립 선언(동경), 고종 독살설
전개
종교계 대표가 준비, 학생이 시위 주도
의의
임시 정부 수립, 54운동에 영향
44.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수립(1919. 4)
한국 최초 3권 분립에 입각한 민주 공화정체로 출발
주요 활동
연통제 운영(비밀 행정 조직), 군자금 조달(이륭양행, 백산상회), 외교 활동(구미 위원회, 김규식의 파리 강화 회의 파견), 독립 신문 발행, 사료 편찬소, 광복군 창설
45. 국외의 독립 전쟁
독립 전쟁의 방향
간도, 만주, 연해주 등에 무장 항일 단체 조직
독립군의 활동
봉오동 전투(1920, 7), 청산리 전투(1920. 10)
독립군의 수난
간도 참변(1920. 11), 자유시 참변(1921)
독립군의 통합 운동
참의부정의부신민부 등, 군정 기관과 민주적인 민정 기관을 함께 갖춤
미쓰야 협정(1925)
독립군을 탄압하기 위해 일제와 만주 군벌 간에 체결한 조약
만주 사변 후
한중 연합군 조직(일부는 중국 대륙으로 이동하여 광복군에 합류)
한국 광복군 창설(1940)
대일대독 선전 포고, 영국과 연합 작전(미얀마, 인도 전선), 국내 진입 작전 계획
46. 경제적 저항 운동의 전개
소작 쟁의
1919년 시작⇒조선 농민 총동맹 결성(1927)⇒1930년대 이후 더욱 격렬해짐
노동 쟁의
대부분 일본인 경영 공장에서 반제반일 투쟁(가혹한 탄압으로 점차 줄어듬)
민족 기업의 성장
소규모 공장 건설 위주
물산 장려 운동
조선 물산 장려화자작회 등, 국산품 애용, 근검 절약, 금주금연 운동(민족 산업 육송 노력, 사회주의자는 불참)
47. 언론 활동
구분
간행
특징
비고
한성 순보
박문국
최초의 신문(순간지)
을사조약 이전
독립 신문
서재필
최초의 근대적 일간지
황성 신문
남궁억
민족주의적 성향
제국 신문
이종일
부녀자층 대상, 사회 계몽
대한 매일 신보
베 델
항일 운동의 선봉적 역할
을사조약 이후
만세보
송병희
천도교 기관지
대한 민보
대한 협회
국민 신보에 대항
48. 민족 사학의 연구
학자
민족사상
역사 연구와 저술
신채호
낭가 사상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민족 사관 확립(고대사 연구)
박은식
혼 사상
한국 통사, 한국 독립 운동지 혈사
정인보
얼 사상
조선사 연구, 신채호의 민족 사관 계승
최남선
조선 정신
조선 역사, 고사통-불함 문화론 주장
문일평
조선심
한미 50년사
기타 학자
안재홍, 손진태, 장도빈 등
49. 대한 민국 정부 수립 과정
한국의 독립 약속
카이로 선언(1943), 포츠담 회담(1945)
국토의 분단
미소 군사 분계선 합의로 국토 분단(얄타 회담)
대한 민국 정부 수립
모스크바 3국 외상 회담⇒신탁 통치 문제⇒미소 공동 위원회 결렬⇒유엔 상정⇒510 총선거⇒대한 민국 정부 수립
50. 민주주의 발전
제1공화국
발췌 개헌, 사사 오입 개헌, 315 부정 선거(⇒419혁명)
제2공화국
과도 정부⇒내각제 개헌, 총선⇒민주당의 장면 내각 수립
제3공화국
516 군사 정변으로 성립, 성장 위주의 공업 중심 경제 정책
제4공화국
10월 유신 선포, 권위주의적 경직성과 역기능 심화
제5공화국
복지 사회 건설, 정의 사회 건설 표방
제6공화국
629 민주화 선언, 여야 합의 개헌(대통령 직선제)
51. 외교 정책의 추진
1960년대
제3공화국 때 적극 회교 추진
일본과 국교 정상화(1965)
베트남에 국군 파병(1965)
한미 행정 협정 체결(1966)
1970년대
비동맹 국가와 비적성 공산국과 교섭⇒실리 외교
1980년대
북방 정책 추진
동유럽 공산국과 수교
1990년대
구소련과 수교(1990)
통독(1991)
독립 국가 연합 결성(1991)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1991)
중국과 수교(1992)
52. 통일 정책의 추진
1970년대
815 선언(1970) : 무력 대결 지양, 선의의 경쟁
남북 적십자 회담 제의(1971) : 이산 가족 찾기
74 남북 공동 성명(1972) :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의 통일을 위한 3대 원칙, 남북 조절 위원회 설치에 합의
623 평화 통일 선언(1973) :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 호혜 평등의 원칙하에 모든 국가에 대한 문호 개방
남북한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 제의(1974) : 평화 통일 3대 원칙(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 남북 대화의 추진, 토착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자유 총선거 실시)
1980년대
남북한 당국 최고 책임자 상호 방문 계획(1981)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 제의(1982) : 실천 조치로서 남북 한 기본 관계에 관한 잠정 협정 체결 제의
남북한 고위 대표 회담 제의(1982)
남북 적십자 회담 재개(1985)
남북 이산 가족 고향 방문단 및 예술 공연단 교환 방문(1985)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1988)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제의(1989) : 자주평화민주의 원칙하에 과도적 통일 체제로 남북 연합을 구성하여 남북 평의회를 통해 헌법 제정, 총선거를 실시하여 통일 민주 공화국 구성
1990년대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1991) : 상호 화해와 불가침, 교류 협력, 핵무기 개발 포기
3단계 3기조 통일 정책(1991) : ‘화해협력⇒남북연합⇒통일 국가 완성’의 3단계 통일 방안과, 민주적 국민 합의공존 공영민족 복리의 3대 기조를 바탕으로 통일 정책 마련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94) :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과 3단계 3기조 통일 정책을 수렴종합
2000년대
남북 공동 선언(615) : 통일 문제의 자주적 해결, 가족친척 방문단 교환과 비전향 장기수 문제 해결, 민족 경제의 균형 발전, 협력과 교류의 활성화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02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