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재활]장애인 직업재활 전문인력을 위한 교육훈련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교육훈련의 필요성

Ⅲ. 장애인 전문인력을 위한 교육훈련 욕구 조사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교육훈련참가의 경험
3. 전문인력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4. 교육훈련프로그램 실시의 의의
5. 교육훈련 참가의향

Ⅳ. 교육훈련 참가의 방해요인 및 활성화 방안
1. 교육훈련 참가의 방해요인
2. 교육훈련참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
(1) 활성화방안의 필요성 및 종류
(2) 주요변인별 교차분석

Ⅴ. 결론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관련기관과의 유대를 맺을 수 이는 교육을 위해 공공기관(노동관서, 지자체 등)과 민간기관이 보다 협조적인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해 함께 교육 훈련받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상자별로 구분하지 않고 특정 과정 안 에서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여 교육훈련을 받는 것이 상호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기타의견으로는 교육훈련의 우선 순위를 정해 정책적으로 지원할 것을 당부하였고, 교육훈련에 참가하지 못한 사람에게도 교육자료집을 널리 배포하여 줄 것을 요망하고 있었으며, 교육대상자의 자격을 엄격히 제한하여 향후 전문적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인력으로 양성(특히 직무 지도원 양성과정)해야 하며, 훈련교사도 기관장의 추천을 받아 자격을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Ⅴ. 결론 및 향후과제
장애의 원인, 정도, 중복화 등으로 장애인들은 어느 한 분야의 전문인력의 고유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전문영역간의 종합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사회 변천에 따라
달라지는 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케 하고 일반적인 소양과 능력을 개발하여 가치관과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전문인격 개발 교육훈련이 요청되고 있다. 즉 직업재활전문인력에 대해 현존 업무수행 능력의 향상, 변화하는 지식, 기술에의 대처능력 개발, 서비스 제공시 인간욕구의 다 차원성을 고려를 통한 장애인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다면적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조사결과에서도 현장 전문인력들은 교육훈련에 대한 욕구와 기대가 높았으며, 이에 대한 참여의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여러 가지 방해요인들로 인한 참여의 한계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시 내용의 질적 유지는 재론의 여지가 없으며, 참가에 따른 방해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여주는 한편, 기획에서부터 소기의 목적달성을 위한 구조, 주기성, 사회적 이슈나 교육 대상자의 욕구와 다양한 배경 및 자원과의 연계성등이 감안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 평가나 환류(feedback), 개방성과 융통성, 비용효과(Cost effectiveness). 다양한 교육방법 등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응답자들의 요구 따른 법적. 제도적 지원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교육훈련과 이에 따른 보상은 바로 업무성과, 승진, 새로운 직장의 가능성, 또는 개인적 성장의 기회를 갖기 위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교육, 경험, 동료 및 수펴바이져 평가, 그리고 표준화된 국가시험에 기초한 자격인정(credentialing)의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면허제도 자격증, 인가 등 서로 맞물려 있는 자격 인정기제들을 위해 자격인정 과정을 담당할 전문기구의 설립도 필요하다고 본다.
결국 전문인력의 양성과 자질 향상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같은 수십 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계획 없이 장애인 직업재활의 성과를 기대하거나 서비스의 질을 개선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선진국에 비해 낙후되어 있는 우리 나라의 장애인 직업재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최우선적인 과제는 인재를 양성하고 키우는 노력일 것이다.
참고문헌
강위영(1994), 한국에 있어서 재활인력개발, 재활과학연구 12(1)
김선규. 이달엽. 정옥란(1997), 재활요원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부설 재 활연구소.
김수영(1998), 우리나라 민간 사회복지 분야 교육훈련 현황과 문제점, 사회복지 가을호, 한 국사회복지협의회.
김용들(1997), 팀협력(teamwork) 이론의 적용을 통한우리나라 장애인 복지관 조직구주의 문 제와 대안, 사회복지연구 겨울호,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성규탁(1993),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법문사.
윤점룡(1995), 특수교육의 발전 전략. 아. 태 장애인 10년 연구 논문집.
이달엽(1998) 홍콩국제재활회의 보고회의 자료집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전략모색-, 한국장 애인 재활협회
이정호. 최경석. 김성이.김수영(1987), 사회복지시설, 기관.단체 및 종사자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한국사회복지협의회
장진호 (1981), 교육과 사회, 서울:정음사
장창엽(1995), 장애인 고용관련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전종진.이덕노(1994), 인적자원관리, 서울: 법문사
조흥식(1996), 재활상담사 양성 및 제도확립 Ⅱ, 제5회재활 심포지엄자료집, 한국장애인재 활협회
차홍봉(1992),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전달체계와 관리 운영, 2000년대를 향한 장애인복지관 의 기능, 서울장애인복지관.
한인영(1998), 사회복지 종사자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 사회복지, 가을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1998), ‘98 장애인고용촉진세미나 자료집’: 중증 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
한국장애인재활협회(1996). 비교장애인복지정책, 한국 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 연구소 편
Chenault, J. & Burnford, F. (1978), Human Services Professoinal Education : Future Diredtion, New York : McGraw-Hill.
Conley, R. W. (1965), The econom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Baltimore ; The johns Hopkins Press.
Emener, William G. & McFarlane, Fred R.(1986), ‘Knowledge Adequacies and Training Needs of Rehabilitation Educator’, Rehabilitation counselor Preparation and Development, Emener, Willam G & Thomas Charles C (ED.), Publisher, Illinois.
Farnham, D. & Horton, S. (1996), Managing People in the public Services, Macmilan Press Ltd
  • 가격2,8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6.0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