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문화][제주도 의식주][제주도 의복문화][제주도 음식문화][제주도 주거문화][제주도 사투리]제주도의 의식주, 제주도의 의복문화, 제주도의 음식문화, 제주도의 주거문화, 제주도의 사투리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문화][제주도 의식주][제주도 의복문화][제주도 음식문화][제주도 주거문화][제주도 사투리]제주도의 의식주, 제주도의 의복문화, 제주도의 음식문화, 제주도의 주거문화, 제주도의 사투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제주도의 의.식.주
1. 의생활과의 관계
2. 식생활과의 관계
3. 주생활과의 관계

Ⅲ. 제주도 의복문화
1. 제주 의생활의 특성
2. 일상복
3. 노동복(갈옷.잠수복.목자복)
1) 갈옷
2) 잠수복 물소중이
3) 목자복
4. 일생 의례복
1) 출생 의례복
2) 혼례복
3) 호상옷(사후의례복,저승옷)

Ⅳ. 제주도의 음식문화
1. 제주도의 전통음식
1) 곤밥
2) 갈치호박죽
3) 전복죽
4) 빙떡
5) 옥돔구이
6) 성게국(구살국)
2. 제주특색(별미)음식
1) 꿩메밀국수
2) 소라모듬
3) 오분자기 솥밥
4) 흑돼지불고기
3. 제주의 향토음식
1) 감제떡
2) 콕국
3) 사발밥
4) 미역새국
5) 빅개회
6) 우미

Ⅴ. 제주도의 주거문화
1. 제주의 초가 (草家)
2. 올레
3. 마당
4. 안뒤
5. 눌굽
6. 통시
7. 우영

Ⅵ. 제주도의 사투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곳에 출입하려면 반드시 안거리 상방의 뒷문을 이용하거나 정지 뒷문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안뒤를 에워싸는 담은 주위의 울타리보다 높아서 타인에게 비공개되는 공간으로, 그 집의 상징이 될만한 , 동백나무, 감나무, 밀감나무 등을 심어 후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이곳에는 무속신앙의 대상인 칠성눌이 놓이고, 장항굽 등도 놓인다.
5. 눌굽
눌을 설치하는 자리를 눌굽이라 한다. 탈곡하기 전의 농작물을 단으로 묶어 쌓아 두거나, 탈곡하고 난 짚을 낟가리로 씌워 쌓아 놓은 조영물을 눌이라 하고, 이를 만드는 행위를 \'눌을 눈다\'고 한다. 이 눌을 누는 자리는 안거리와 밖거리의 마당 한 곁으로 우천시 침수를 피하기 유여 마당면으로부터 40~50cm높이가 되게 돌로 단을 놓고 평평하게 한다. 눌은 지붕과 함께 경관요소로서 중요한 몫을 하게 된다. 짚은 연료나 우마의 먹이로 또는 통시에 넣어 퇴비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6. 통시
통시는 변소와 돗통(돼지막)을 말한다. 안거리 정지와 떨어진 반대쪽 큰구들의 횡벽 옆 또는 밖거리쪽 돌담에 덧붙여 배치한다. 이것은 정지와 멀리 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마당에서 직접 보이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제주도 통시는 돗통과 뒷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돗통은 돼지가 누울 수 있을 만큼 담장을 두르고 그 위에 비가 들이치지 않도록 지붕을 덮어준 형태이다. 뒷간은 약간 높은 곳에 팡돌을 2장 깔고 그 위에 비가 들이치지 않도록 지붕을 해 이은 것인데, 대개는 지붕없이 담장을 약간 높이 쌓아 앉아 있는 사람이 보이지 않을 정도만 둘렀다.
7. 우영
집 주위를 두르고 있는 텃밭은 우영이라 한다. 우영은 집의 양측면 또는 안뒤의 뒤 등 대지의 외각지대에 위치한다. 우영밭 뒤에 또 자기 밭이 계속되어도 반드시 사이에 담을 쌓고 안은 채소류를 심어 우영이라 부르고 밖은 주곡류를 심어 밭이라 구분하여 부른다. 우영은 매일 소요되는 부식을 공급하는 곳으로서,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공간이다.
Ⅵ. 제주도의 사투리
제주도 방언의 공시적 음운 구획선 설정은 현 재로 보아 어려운 일로 보겠고 어휘나 어법의 분포 양상에 있어서도 제주도 방언의 방언 구획을 몇 개로 잡느냐 하는 문제도 현단계로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공통어계 어휘의 음운이 제주시:한림, 한림:서귀포, 서귀포:제주시, 한림:성산포 사이에서 어떤 특수한 언어지리학적 이질 음운을 찾아 보기 힘들고 가령 /A/ 계에 속하는 공통어계 어휘의 음운이 제주시 - 한림 - 서귀포 - 성산포 - 제주시에 공존하는 실정이고 제주도 중심부로 들어가도 색다른 음운 변동이 일어남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실정을 참작하여 필자는 본고에서 앞으로 설정하여야 할 음운 구획선의 한계를 잡는 하나의 예비적 시도로서 우선 공통어계 어휘의 음운이 제주도 방언 내에서 어떠한 공식적 음운 양상을 보여 주는가를 세별하여 보려 한 것으로 이러한 세별은 필자가 현지에서 입수한 약 1,350 어휘에 의거하였다.
방언 어휘의 음운 표기는 별계 표기법에 의거하며, 모음 자음의 각각에 따른 방법으로 방언 어휘의 음운 양상을 설정하였다. 제주도 방언의 명령법 어미 체계는 표준어와 매우 다르다. 표준어에 쓰이는 대표적 어미 형태인 \"-아라~어라\"가 사용되지만 의의와 기능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제주도 방언의 명령법 어미는 하대,평대, 존대의 세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형태는 \'-라\'와 \'-아~-어\', \'-밑서\',\'-십서\'이다. \'-라\'는 하대의 어말어미이다. 어간에 직접 연결되기도 하고 \'-어시라/아시라\',\'엄시라/암시라\'처럼 선어말 어미와 결합된 형으로도 쓰인다.
\'-어시-~/-아시-\'와 \'-엄시-~/-암시-\'는 동작상을 표현한다.
이들은 상호 대립되는 의미 자질을 갖는다.
앞 것은 \'완료 종속상\'이고 뒷 것은 \'미완료 존속상\'이다. 동작상이 체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제주도 방언에서만 보이는 어미활용의 특징이다. 표준어의 대표적 명령법 어미 형태인 \'-아라\',\'-어라\',\'-여라\'는 표준어에서와는 다른기능으로 사용된다.
\'-아/어/여-\'는 회상법 선어말 어미이고, \'-라\'는 평서법 어미이다. 평대의 명령법 어미는 \'-아~-어\'이다. \'-아~-어\'는 여러 서법에 두루 쓰이는 추상적인 언어형식이다. 반말체 어미 \'-아~-어\'가 구체적인 서법이 되는 데는 그 위에 얹히는 억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존대 대상에게 하는 청원 명령에는 \'-밑서\'를 쓴다. \'밑\'은 상대자에게 존대의 자질을 부여하고, \'-서\'가청원 명령을 표시한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차이가 많은 경우에 쓰이지만, 별 차이가 없는 경우에 쓰이기도 한다.
존대 명령법 어미에는 \'-십서\'도 있다. \'-십서\'는 \'-밑서\'에 \'-시-\'가 결합된 것으로 이중 존대법의 형태이다. 주체존대의 \'-시-\'는 제주도 원래의 방언에는 없었으나 표준어의 영향으로 사용된 것이다. 또한 용언의 원형, 시상, 변칙 용언, 활용어미에 있어서의 \'가\'과 \'가\' 등에 대하여 표준어 및 고어와 대비하면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제주 방언의 활용어미 가운데 상당수가 고어형 그대로 보존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고어형 그대로인 것과 고어형과 관련되는 게 드러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제주 방언은 용언의 기본형이 표준어와 색다르다는 점이 확인된다. 제주 방언은 그 서술형 어미 및 의미형 어미 역시 독특한 것이 드러나며, 변칙 용언 또한 표준어와는 차이가 있다. 시상보조어간(선어말어미) 또한 제주 방언에서는 유다른 모습을 드러내며, 종결어미나 연결어미 밑에 맨나중 발음이 \'가\' 혹은 \'가\'으로 된 경우는 흥미로운 과제를 던져 준다.
참고문헌
김광언(1994), 김광언의 민속지- 한국인의 음식, 집, 놀이, 풍물, 서울; 조선일보사 출판국
김 정, 제주 풍토록
김영돈 저(2000), 제주도, 제주사람, 민속원,
뿌리깊은 나무(1992), 한국의 발견 제주도
유철인(1996), 지역연구와 제주학 : 제주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제주도연구 13, 제주학회
양영훈, 자연이 빚어낸 환상의 섬 제주, 넥서스북스
염초애; 장명숙; 윤숙자 공저, 한국음식, 요일문화사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공저 , 한국의 전통음식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6.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