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빈곤]빈곤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및 신빈곤 현상에 대한 탐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신빈곤과 사회적 배제에 관련된 논의
1) 신빈곤과 사회적 배제의 개념
2) 빈곤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구조

3. 신빈곤의 사회경제적 원인과 특성
1) 신빈곤의 사회경제적 배경
2) 신빈곤의 특성

4. 우리사회 빈곤문제 현황
1) 우리사회 빈곤문제의 전개 양상과 신빈곤
2) 최근 빈곤층의 생활역동성과 양상
(1) 지속적인 다차원적 빈곤 구조화
(2) 교육적 배제
(3) 주거의 비공식성과 열악성
(4) 직업적 불안정성과 소득수준의 저열함
(5) 공식적 정치, 금융 및 관련 체계로부터의 배제
(6) 사회적 관계망의 단절과 취약성
(7) 빈곤의 여성화

5. 구빈곤과 구별되는 신빈곤의 특징

6. 도시빈곤층의 생활실태를 통해 본 빈곤의 양상
1) 빈곤층의 취업 행태를 통해 본 노동빈곤 실태
2) 빈곤층의 내부 분화와 상대적 빈곤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책으로 저축에 임하는 반면에, 상위 빈곤층의 저축은 적어도 빈곤 탈출을 준비하는 규모로 진행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차상위 빈곤층은 절대적 빈곤의 상황에서 벗어난 채 경제활동에도 참여하고 있지만, 빈곤 상황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탓에, 상대적 박탈감을 강하게 느끼고 있고, 빈곤 상황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상위 빈곤층과 비교해서 차상위 빈곤층은 빈곤 탈출이 어렵고 빈곤이 세대간에 세습된다는 데 크게 공감을 표명하면서, 사회에 대해 보다 강한 불만감을 드러내고 사회를 조롱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가난을 개인 탓으로 돌리는 시각에 대해서 빈곤층 일반이 부정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지만, 절대빈곤층이나 상위 빈곤층에 비해 차상위 빈곤층과 차차상위 빈곤층은 이를 보다 강하게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7. 결 론
빈곤의 형태나 내용은 사회 변동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기 마련이다. '신빈곤'론은 최근의 빈곤 양상이 지속적인 변화의 한 굽이가 아니라 기존의 빈곤과 전혀 다른 '질적 단절'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신빈곤의 속성에 대해 학문적 합의를 이루거나 이를 현실에서 입증하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따라서 이 글은 신빈곤의 특성을 구명하고, 과연 구빈곤과 구별되는 신빈곤이 존재하는지를 실증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먼저 신빈곤의 특성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로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도 빈곤에서 헤어나오기 어려운 '노동빈곤'의 형태를 띤다는 점, 둘째로 절대적 빈곤이 점차 완화되는 상황에서 빈부 격차의 심화로 인해 고통받는 상대적 빈곤이 중시된다는 점, 셋째로 신빈곤은 경제적 차원의 물질적 결핍 뿐 아니라 사회적 배제, 문화 심리적 소외 등이 중첩된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빈곤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간적 격리와 사회적 배제로 인한 심리적 고립이 나타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그렇다면 이상의 논의는 우리에게 어떠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던져주는가?
먼저 '신빈곤'이라는 용어에 현혹되어 외환위기 등을 맞아 빈곤의 양상이나 빈곤층의 생활이 갑작스레 뒤바뀐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노동빈곤'을 구빈곤 상황의 주변적 노동자층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새로운 빈곤의 양상은 기존의 빈곤의 형태와 내용이 점진적으로 변모해 온 결과이다. 따라서 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빈곤 양상의 변화와 지속을 꼼꼼히 살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신빈곤론이 제기한 문제의식마저 상실해서는 안된다. 신빈곤론은 사회의 구조적 변동이 빈곤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변모시킨다는 점에 착안한 논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빈곤 개념도 '희망의 빈곤'에서 '절망의 빈곤'으로 이행하는 빈곤현실의 변화를 부각시키기 위해 제시된 '화두' 혹은 '이념형'의 의미를 가질 뿐이다. 따라서 거시적인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빈곤양상의 변화를 살펴보는 자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실천적으로 주목해야 할 점은 최근의 사회 경제적 여건이 절망의 빈곤이 자리 잡을 수 있는 비옥한 토양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앞서 분석 과정에서 보았듯이, 빈곤의 경계선상에서 있지만 빈곤 탈피의 통로가 좁아진 상대적 빈곤층은 물론이고 빈곤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절대적 빈곤층도 모두 아직까지는 다행스럽게도 절망의 빈곤 상태로까지 추락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향후 빈곤의 양상도 그러리라고 낙관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사회 경제적 여건은 빈곤층을 절망의 빈곤 상황으로 밀어넣고 있지만, 일종의 '문화 지체' 현상으로 인해 구시대의 의식이나 태도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데 따른 일시적 현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빈곤층이 어떠한 지원의 손길로도 구해내기 힘든 절망의 빈곤이라는 구렁텅이에 빠지기 전에, 공공부문이 앞장서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구인회, 2003, “경제적 상실과 소득수주이 청소년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3권.
-----, 2004, “한국의 빈곤, 왜 감소하지 않는가?”,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17호.
박순일, 2001, "빈부격차의 실태, 요인분석 및 정책제언", 『사회정책논총』 13권 1호.
송호근, 2002, "빈곤노동계층의 노동시장구조와 정책", 『한국사회학』 제36집 1호.
신명호, 2002, "한국 사회 빈곤의 새로운 인식", 『당대비평』 제6권 3호.
이호, 2002, "희망을 잃어가는 가난한 사람들의 삶", 『당대비평』 제6권 3호.
장세훈, 2000, "외환위기 이전 도시빈곤의 추이와 특성", 김동춘 외, 『IMF 이후 한국의 빈곤』, 나남출판사.
정건화, 1987, "한국 도시빈민의 형성과 존재형태", 『한국사회연구』 제5집, 한길사.
조명래, 1997, "신빈곤에 관한 시론", 『경제와 사회』 제34호.
통계청, 각년도, 『도시가계연보』.
하성규 외, 2002, 『빈곤 가족의 마지막 잠자리 : 비닐하우스촌과 주민생활실태에 대한 조사보고서』, 한국도시연구소.
허석렬, 1983, "도시 무허가정착지의 고용구조", 『한국사회연구』 제1집, 한길사.
홍인옥 외, 2003, 『지하 주거공간과 거주민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연구소.
Bromley, Ray & Chris Gerry (eds.), 1979, Casual Work and Poverty in Third World Cities, New York : John Wiley & Sons.
Goode, Judith & Jeff Maskovsky (eds.), 2001, The New Poverty Studies : The Ethnography of Power, Politics, and Impoveris hed People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 New York University Press.
Perlman, Janice, 1976, The Myth of Marginality : Urban Poverty and Politics in Rio de Janeiro, Berkeley : Univ. of California Press.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6.0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