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주의로 바라본 한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현실 반영적인 한시의 특징
▪ 내용적 측면
▪ 표현적 측면
▪ 형태적 측면

- 현실 반영적인 한시의 역사적 흐름
▪ 삼국시대
▪ 고려시대
▪ 조선전기
▪ 조선후기

- 한시의 현대적 접목

본문내용

약용은 실학의 큰 줄기인 경세치용.이용후생.실사구시를 통섭하여 집대성한 대학자로, 조선시 운동을 주창하여 민족문학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문학활동도 철저한 현실주의에 입각하여 당대 사회 현실의 모순과 체제적 문제점을 다루었다.
의 조선풍,조선시 운동이다.
보리타작(打麥行) -정약용
새로 거른 막걸리 젖처럼 하얗고
뚝배기 보리밥은 높이가 한 자
밥먹고 도리깨들고 마당에 서니
검게 탄 두 어깨에 햇볕이 탄다
어영차 소리내어 발맞춰 두드리니
순식간에 보리알이 온마당에 낭자하다
먹이고 받는 노래소리 점점 높아지는데
보리검불 날아올라 지붕위에 쌓이고
기색을 바라보니 즐겁기 그지없어
마음에 고통이란 있을 수 없다
낙원은 멀리 있지 않거늘
무엇 땜에 벼슬길을 헤매리요
新獨酒如白
大碗麥飯高一尺
飯罷取登場立
雙肩漆澤日赤
呼邢作聲擧趾齊
須麥穗都狼藉
雜歌互答聲轉高
但見屋角紛飛麥
觀其氣色樂莫樂
了不以心爲形役
樂園樂郊不遠有
何苦去作風客
- 위 시는 보리 타작하는 농민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뒤, 노동하는 삶 속에 낙원이 있음을 밝히며 벼슬길을 헤맸던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있는 한시이다. 다산(茶山)의 한시 작품은 실학 사상을 배경으로 사회 제도의 모순, 관리나 토호들의 횡포, 백성들의 고뇌, 농어촌의 가난 등이 그 주제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는 대부분이 현실적인 면을 사실적으로 그렸으며, 시어(詩語)도 평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보리 타작'도 가난을 딛고 건실하게 일하는 농민의 건설적인 모습을 보이는 바, 악부(樂府)시체에서 전화한 한시의 한 체인 '행(行)'을 그 형식으로 하고 있고, '타맥행'은 다산 문학의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시이다. 이것은 농민의 생활에서 취재한 것이요, 여기에서 농민은 일하는 농민이다. 다산 정약용 자신이 생산과 그 노고 속에서 즐거움을 찾는 농민과 한 마음이 되어 보고 느낀 것을 그대로 사실적으로 노래한 농부가인 것이다. 또한 '막걸리, 보리밥, 도리깨, 보리알' 등 평민적인 시어들은 한결 친밀감을 주고 있다. 그리고 씩씩하게 두드리는 도리깨 소리로써 가난을 딛고 일어서려는 꿋꿋한 의지를 느낄 수 있다. 이렇게 건강하고 생동하는 농민들의 삶에서, 시인은 인생의 즐거움을 찾아내고 있으며, 당시 새롭고 가치있는 삶을 평민들의 현실 세계에서 찾고자 하는 당시 진보적 지식인들의 경향을 엿 볼 수 있다.
○한시의 현대적 접목
한시는 후대에 와서 명맥이 거의 끊어졌다시피 한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특히나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한시의 개념 자체를 잘못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또 한시하면 우리의 문학보다는 중국의 문학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선은 이러한 인식에 전환을 가져다 줄 수 있고, 또 한시를 현대적으로 계승 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우리 조는 토의 해 보았다.
처음에는 한시라는 것을 현대적으로 이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하며 거의 전무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는 한시를 너무 현대적인 틀에 맞추어 변형시킬 생각만 하지 않았던가 싶다. 한시만의 고유의 아름다움, 줄글 또는 우리 말 안에서 보여 지기 힘든 한시만이 가질 수 있는 아름다움과 그 정신은 그 명맥 그대로 이어나가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이를테면, 최치원의 한시처럼 그 한시가 쓰인 곳에 새겨두어 사람들로 하여금 다시 한 번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던지, 예전에 한시의 모태가 되었던 곳이나 한시와 관련이 있는 곳에 한시관련의 테마로 관광 상품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멀게 느껴지는 한시를 가까이 인식하기 위해 요즘처럼 한자배우기 열풍에 발맞추어 한시로 한자를 배우는 프로그램을 계발하는 방안도 생각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친근하게 접근 될 수 있다면 한시는 예전과 같은 부흥은 아니더라도 그 안에 살아 숨쉬는 우리의 얼을 계승받고, 그러한 정신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 현실주의 한시는 일찍 그 모습을 드러냈다. 불완전 하기는 하지만 신라 진성여왕 때 왕거인의 시에서 그 기미가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이어서 최치원은 당대 계습 사회에서의 현실과 자아의 갈등을 시로 형상화 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의 현실주의 한시는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과 종합적 시각을 갖지 못하고 주로 시적 자아의 갈등을 다룸으로써 불완전 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삼국시대는 한국 현실주의의 형성기라 볼 수 있고, 고려조의 시기는 성장기로 볼 수 있다. 고려가 12세기 후반에서 14세기에 이르러 여러 정치적 격변을 겪으면서 사회가 극도의 혼란에 빠지고, 이 즈음하여 백성들은 도탄에 빠지고 이를 목격한 양식있는 지식인들은 그것을 시에 담았다. 그래서 당시 상당량의 현실주의를 지향하는 작품이 나왔다. 이러한 현실주의는 삼국시대에서 계승받아 조선 전기로 계승된다. 조선전기 즈음에는 사대부문학을 형성되었기 때문에 현실주의 한시는 하대부 문학의 흐름에서 방외인이었던 김시습이나 그 이후 신분적으로 불우했던 서얼이나 천민 출신의 시인들이 중심이 되어 당대 사회 현실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었다. 여기에 정통관료이지만 양심적이고 의식있는 일 부 시인들까지 가세함으로써 현실주의 한시는 한문학사의 일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조선후기는 현실주의 한시의 성흥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양적, 질적으로 다양한 현실주의 한시의 형태가 나타나게 된다.
위에서 보듯이 현실주의 한시는 어느 시대에 국한되었다기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에서 나타나고 있다. 우리의 현실주의 한시는 봉건체제의 모순 속에서 나름대로 존재 했었고 근대지향의식을 찾을 수 있었다. 이처럼 한시는 중국의 문학이 아닌, 우리 문학의 모습이다. 이미 소멸의 길을 걸었고 지금은 한자의 사용이 활발하지 않아 다시 부흥적인 측면으로서의 현대적인 접목은 사실상 어렵다고 볼 수 있으나, 한시에 나타났던 정신 그리고 한시에서 찾을 수 있는 아름다움은 국문학적인 측면과 문화적인 측면에서 이어져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 한시의 이해』이병주. 민음사
『한국 리얼리즘 한시의 이해』정양,구사회. 새문사
『한시를 읽는 즐거움』정진권 역해. 학지사
「이규보 한시의 연구」박성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키워드

한시,   현실,   내용,   표현,   형태,   고전문학,   시대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8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