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근대성 2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근대성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배경
1) 역사적·사회적 배경
2) 문단적 배경
3) 모더니즘 문학의 표현적·사상적 양상
2. 30년대 모더니즘 소설, 시, 비평
1) 모더니즘 소설
① 박태원-『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② 이상 - 『날개』
2) 모더니즘 시
① 정지용
② 김기림
③ 김광균
④ 이상
3) 비평
3.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한계에 대한 논의
4.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의의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이라는 것은 사실 서양에서는 존재 하지 않는 것으로, 이 용어는 감각적인 심상을 중요시 하는 이미지즘을 위시하여 그 비슷한 경향을 한꺼번에 묶어 일본에서 정착시킨 것이다. 조동일 , ' 한국문학통사5 ' , 지식산업사 , p411참조
즉, 모더니즘 이라는 이름으로 서양적 감각을 기교화 하는 문학이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온 것이다. 이는 식민지였던 당시 현실을 생각해 볼 때 당연한 일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새로운 문예사조에 대하여 당시 우리 민족이 놓인 총체적 현실을 바탕으로 한 충분한 논의와 사상적 고민 없이 받아드렸기 때문에, 서구 모더니즘의 본질을 추상적으로 이해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지적은 모더니즘 문학 작품이 가지는 내적 깊이의 정도와 내용의 현실성 획득 문제와 관련된 비판이다. 이러한 한계점은 우리조의 발제지에서 처음에 가정했던 사상적 배경적 측면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지적되는 사항으로서 그의 타당성이 충분함으로 삽입하였다.
이는 작품들이 내용의 현실성은 간과 한 채 형태의 현실성에만 치우침으로 인해 그저 형식주의에 그쳤다는 점이다. <카프>로 대표되는 1920년대 문학이 사상적 감정의 과잉과 내용 편중의 결함이 있어서 이를 시정해야 한다는 모더니즘의 주장은 전대의 ‘내용의 사회성’을 ‘형태의 사회성’으로 대체시키면서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을 추구하였으나, 현실인식의 정당성은 문제 삼지 않으면서 형태적 감각을 키우려 하니 언어가 말초화 된 경향이 컸다.
즉, 모더니즘 문학이 현실성은 간과 한 채 기교적인 면에만 치중하여 소외, 퇴폐성, 도피 등의 징후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은 모더니즘 문학을 구축해 나갔던 당대의 문인들이 일제에 의해 건설된 근대도시에서 성장한 제1세대라는 것과 결부지어 이야기 된다. 즉 일제의 타율에 의한 도시에서 성장하며 일제 밑에서 식민지 교육을 받고 자란 그들의 의식 자체의 토대구축이 약하고, 식민지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이 깊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에 대한 타당성은 도시의 풍경에 감춰진 또 다른 이면을 깊이 있게 관찰하지 못하고 그저 그 풍경을 묘사하는 것에만 치중했던 정지용, 김광균의 풍경 시, 김기림의 성숙치 못한 문명비판, 이상, 호장환의 소외적 이고, 퇴폐적이고 환상적이었던 문학 양상, 이효석의 긍정적인 근대적 취미 등, 그들의 작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김윤식 엮, ' 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 , 민음사 , p59 참조
이렇듯 작가의 사상과 의식의 미성숙으로 인해 제기되는 모더니즘의 문제점들은 1960년대의 한국 자본주의의 성숙과 함께 등장한 김수영 등에 의해 어느 정도 극복된다.
4.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의의
한국 문학사에서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이 가지는 가장 큰 의의이자 첫 번째 의의는 새로운 문학형식의 발견이라고 볼 수 있다. 모더니즘 문학은 전대에 찾아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문학형식을 발견함으로써 문학에 있어서 여러 가지 새로운 창작기술들을 선보였다. 그것은 구인회 작가들이 보여ㅣ주었던 장시, 심리소설, 알레고리 기법, 의식의 흐름 수법 등이 그것이다. 그 밖에도 이효석이 시도한 순수한 설화체 소설도 이러한 새로운 문학기법에 포함시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새로운 문학 형식과 창작 기술을 선보인 것은 한국 근대 문학을 한층 더 발전, 다양화 시키고 그 수준을 높였다는 것에 있어서 커다란 기여점이라 볼 수 있다.
두 번째 의의는 그 전대가 가지고 있던 문학에 대한 관념을 바꾸고 리얼리티에 관한 문제의 새로운 논의와 정의를 가능케 했다는 점이다. 그 전대까지 한국의 문학은 교시적이고 공리주의 적이며 효용론적인 성격을 많이 띠었다. 초기 근대문학에 와서 그러한 측면이 많이 사라지기는 했다고 하나 <카프>의 작품에서도 전통적 성격과 비슷한 교시적 성격을 많이 띠고 있었다. 하지만 1930년대에 와서 시문학파의 작품과 모더니즘 문학을 중심으로 그러한 전통적 성격에서 벗어나 주관적인 문학과 문학적 리얼리티의 다양성을 표출하였다. 이러한 작가의 개인적 가치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게 한 것이 모더니즘 문학이었다.
세 번째 의의는 모더니즘 문학이 바로 현대문학을 형성하는 한 가닥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현대문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기교를 강조하는 도시문학이라는 점이며, 그것의 역사적 기원을 우리는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에서 찾을 수 있다. 서준섭, '구인회와 모더니즘', 이선영 편, '19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 한길사
결론
1930년대 우리나라 문학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했던 모더니즘 문학에서, 우리는 그 당대 사회의 근대성을 엿 볼 수 있었다.
일제의 폭압 속에서 진행되었던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말미암은 근대화적 산물들은 모더니즘 문학이라는 양식을 창조해 내었다. 이러한 모더니즘 문학이 가졌던 표현적인 특징과 사상적은 특징은 본론에서 살펴보았다.
모더니즘 문학이 가지는 근대성은 그 작품 내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다. '내면의식'을 심도 있게 다루었던 이상과 박태원의 소설, 도시적 감성을 토대로 한 시각적이고 회화적 이미지가 강했던 모더니즘 시들을 통해서 말이다.
많은 의견과 비평을 가지고 있는 모더니즘 문학은 형식적인 측면에서나 그 사상적인 측면에 있어서 다른 문학적 양상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는 문학적 양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에서 볼 수 있었던 근대성으로 인한 것이라고 말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서준섭, 『구인회와 모더니즘』, 한길사, 199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2005
김윤식, 『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민음사, 1989
윤병로 『한국근현대문학사』, 명문당, 1991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김예림 『1930년대 후반 근대인식의 틀과 미의식』, 소명출판, 2005
김유중 『한국모더니즘문학의 세계관과 역사의식』, 태학사, 1996
나병철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문예출판사, 1996
고명수 『한국모더니즘 시인론』 , 문학아카데미, 2001

키워드

모더니즘,   1930,   배경,   박태원,   이상,   김기림,   정지용,   의의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