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 윤리교육론과 공동체주의 윤리교육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인주의 윤리교육론과 공동체주의 윤리교육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개인주의와 도덕교육
1) 개인주의의 개념과 원칙
2) 개인주의의 이론적 특징
3) 개인주의의 의의와 한계
4) 개인주의 도덕교육의 원리
2. 공동체주의와 도덕교육
1) 공동체주의의 등장배경
2)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특징
3)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의 방향과 과제
4)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의 원리

Ⅲ. 결론 - 도덕교육의 개선과 발전 방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 그에 걸맞는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을 전개하고자 한다.
(2) 공동체주의 도덕교육
: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에서는 올바른 공동체적 삶을 살 수 있는 인격을 육성하는 것을 그 지향점으로 삼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덕 그렇다면 덕이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따르면, 덕이란 ‘인간 행동의 목적으로서의 선한 삶을 가능케 하는 탁월한 성품’으로 규정된다.
’을 길러야 한다.
① 이와 같은 입장은 현대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근원이 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의 선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공동체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맡은 역할을 잘 해내야 하고, 그 구성원들도 공동생활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덕’을 (습관과 훈련, 교육을 통해) 구비해야 한다.”
②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러한 관점은 현대 사회의 정치를 인격윤리학과 공동체주의적 관점에 기초하여 재구성하고자 한 노튼(David L. Norton)과, 현대 공동체주의를 발흥시킨 사람 중 하나인 맥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에게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신공동체주의자들에게서도 이러한 견해가 나타나고 있다.
(3) ‘덕’이 갖는 중요한 의미
① 덕은 그것이 실현할 것으로서의 선과 목적을 전제로 하는 것인데, 이 때 그 선과 바람직한 행동의 목적은 인간의 사회적 본성에 대한 통찰과 공동체의 역사와 전통, 그리고 구체적인 삶의 조건에 대한 해석을 통해 그 의미와 가치가 도출된다. 따라서 ‘덕’을 중시하게 되면 인간의 도덕적 품성의 육성을 지향할 수 있다.
②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의 개념에서 ‘탁월하다’는 것은 ‘두드러지다’, ‘빼어나다’, ‘훌륭하다’는 것을 뜻하며, ‘성품’이란 것은 그것이 ‘몸에 배어 기질화, 성향화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덕의 육성을 지향하게 되면, 구체적인 현실에서 도덕을 실천하고 행동하는 인간의 도덕적 품성을 기를 수 있다.
(4) 정리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은 인간의 사회적 본성을 고려하면서 공동체의 특수한 전통과 현실을 반영한 선, 이상, 가치, 덕을 추구하는 동시에 구체적인 삶의 현실에서 공동체적 삶의 도덕을 몸에 습득하여 행동으로 실천해 나가는 도덕적 인격인을 육성하는 데 그 방향을 둔다.
4)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의 원리
(1) 덕 형성의 통합적 관점의 원리
① 리코나(Thomas Lickona)에 의하면, 덕은 어떤 가치가 사람의 내면에 받아들여져 그의 마음과 행동을 움직이는 비교적 고정화된 내적 힘과 성향으로 될 때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② 그러므로 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덕을 구성하는 세 측면(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 따라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2) 덕 교육의 포괄적ㆍ전체론적 접근의 원리
① 우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 교육을 장에 따라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학급ㆍ학교에서의 공동체 교육 이는 다시 바른생활과ㆍ도덕과 교육을 통한 교육, 다른 관련 교과 교육을 통한 교육, 교과 외 활동을 통한 교육, 학급 및 학교 생활 전반을 통한 교육 등으로 세분화된다.
- 학급ㆍ학교ㆍ가정이 연계된 공동체 교육
- 학급ㆍ학교ㆍ가정ㆍ지역사회가 연계된 공동체 교육
② 그런데, 이러한 공동체 교육의 여러 장들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기르는 일과 관련하여 각각 크게 공헌할 수 있는 바와 특장점들을 다르게 가지고 있다.
③ 그러므로 학생들의 건전한 인격을 기르기 위해서는 여러 장들 중 어느 하나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하고, 모든 장들을 적절히 활용하는 포괄적ㆍ전체적 접근의 관점에서 도덕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3) 공동체 생활 속에서의 경험과 학습의 원리
①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따르면, 덕은 후천적(습관적)으로 습득되며, 주체와 환경과의 일정한 상호 작용 속에서 길러지는 것이다.
②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공동체적 삶의 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에 필요한 좋은 경험과 학습의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4) 정리
공동체는 특정한 덕 혹은 도덕의 모체인 동시에 그러한 덕이 함양될 수 있는 실질적인 장소가 되며, 덕의 학습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제공해 주고, 더 나아가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도 큰 공헌을 한다. 따라서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은 먼저 공동체 속에서, 공동체적 삶을 통해, 공동생활에 필요한 덕들을 체득케 하는 접근을 중요한 원리로 삼아야 한다.
Ⅲ. 결론 - 도덕교육의 개선과 발전 방향
오늘날 우리 사회는 ‘사람들 간 사회적 연대와 결속성의 이완’, ‘공동선 추구 자세의 부족’, ‘공동생활에 필요한 규범의 경시’, ‘인간관계의 단절, 고립’, ‘인간 소외’ 등과 같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 해체의 위기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적 위기의 근원에는 자유주의의 폐해가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자유주의가 전제하고 있는 인간은 사회적으로 구속을 받지 않는 ‘자율적, 합리적, 독립적인 인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도덕교육은 자유주의 도덕교육의 장점을 살리되, 그 한계와 문제점을 정확히 인식하면서 이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인간의 자율성을 중시함과 더불어 공동체 속에서의 공동선과 연대 의식, 사회적 전통과 관행, 사회 집단에의 소속과 애착,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바람직한 품격, 사회적 책임, 도덕사회화(moral socialization) 등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공동체의 전통과 역사 속에서 그리고 구체적인 삶의 현실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도덕적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기면서 도덕적 삶을 사는 인간으로서의 자질과 품성, 인격을 기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유병열,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6.
이인숙, 「M. 샌들의 공동체주의 연구 - J. 롤즈의 정의론 비판을 중심으로 - 」, 『철학연구』16권,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1993.
조상식, 「교육적 사건 통해 본 자유주의 vs. 공동체주의」, 『우리교육』,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2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14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