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교육론-6차와 7차 교육과정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교과교육론-6차와 7차 교육과정 비교
<6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1. 기본 방향 및 성격의 비교
1)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2)제 6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및 성격
(1)기본 방향
(2)제 6차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3)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및 성격
(1)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과 목표
(2) 제 7차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2. 편제 및 운영 방안의 비교
1)제 6차 교육과정의 편제
(1)제 6차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
(2)제 6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2)제 7차 교육과정의 편제
(1)제 7차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
(2)제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3.평가의 비교
1)제 6차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2)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1)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강조
(2)절대기준 평가 체제의 강화
(3)창의력 신장을 위한 평가
①수행평가에 대한 강조
②수행평가의 특징

본문내용

하고 있다.
(2)절대기준 평가 체제의 강화
-교과별로 절대평가 기준을 개발, 보급하여 학교가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는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진술하였듯이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으로서 학생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기본과정, 보충과정, 심화과정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다양한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및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평가는 6차 교육과정부터 실시되고 있는 수준별 수업에서 직면한 가장 큰 문제중의 하나이다.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수준별로 다르게 배운 내용에 대해 동일한 평가 문항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수업과 평가의 불일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심화반 학생이나 보충반 학생 모두에게 수업 내용에 대한 학습 의욕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수준별 수업의 평가 실태에 관한 조사에서도 드러나고 있는데, 평가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수준별 수업이 원래 의도한 것, 즉 모든 학생들에게 자신의 수준에 맞는 내용을 제공해 주어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도를 충실히 실현할 수 없게 될 것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해당 단계를 학습한 후 실시되는 단계 진급/재이수 평가를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을 이해한 학생들만 다음 단계로 진급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이전 단계를 재이수하도록 하는 재이수형 평가방안을 채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각 교과별로 수준에 따른 절대평가 기준을 개발, 보급하여 학교가 각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학교는 다양한 평가도구와 방법으로 성취도를 평가하여 학생의 목표 도달도를 확인하고 수업의 질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는 종래의 학생 경쟁 위주의 상대평가 체제에서 절대기준 평가 체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교육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평가에 있어서도 국가 수준의 평가문항 은행을 구축하여 컴퓨터 전산망을 통해 학교가 평가에 이용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중에 있다. 그러나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의 문제는 아직 많은 연구와 논의를 남겨두고 있는 문제로, 이에 따른 각 교과의 수준별 평가도구 및 문항 개발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문제로 남아있다.
(3)창의력 신장을 위한 평가
-교과의 평가는 선다형 일변도의 지필검사를 지양하고, 서술형 주관식 평가와 표현 및 태도의 관찰평가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정의적, 기능적, 창의적인 면이 특히 중시되는 교과의 평가는 평정 기준과 척도에 의거하여 실시한다.
①수행평가에 대한 강조
전통적인 교수학습 이론에 의하면, 학습이란 객관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단계적으로 축적해 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교수학습활동은 객관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많이 알고 있을 것이라 여겨지는 교사의 주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의지와는 상관 없이 가능한 한 많은 정보나 지식들을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에 전통적인 진리관과 대비되는 새로운 진리관이 인지주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기존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했다. 이들에 의하면, 객관적인 지식이나 정보나 지식을 자기 나름으로 이해하고 의미를 구성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무의미한 지식이나 정보의 습득은 무의미한 시간 낭비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교수학습 이론에서 학습은 능동적이고, 구성적이며, 목적지향적인 활동이다. 또한 새로운 교수학습 이론은 최근의 열린교육 운동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는데, 열린교육에서 학습이란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것으로 계속적이며, 개인적이고, 의도적이며, 자기 동기화에 의해 일어나며,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학습 자료를 가지고 학습의 추종자가 아닌 주도자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교수학습 이론과 관련하여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과정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고 그 과정을 개선하여 교사 개개인의 자질을 향상하고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돕기 위해 전통적인 학생 평가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수행평가’이다. 특히 1997년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시행된 ‘초등교육 새물결 운동’의 여러 과제 중에서 ‘수행평가 확대 실시’가 첫 번째 과제로 제시되면서 1998년의 ‘중학교 새물결 운동’, 1997년의 ‘고등학교 새물결 운동’에서도 평가활동의 개선을 매우 중요한 과제로 다룸으로써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이 내세우고 있는 창의적 인간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목표-내용-방법-평가의 체계적이고 일관성있는 시행을 위해 수행평가를 전 교과 영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②수행평가의 특징
수행평가는 명확히 제시된 성취 수준에 근거하여 피평가자가 주어진 과제를 실제 수행했을 때, 이를 이미 주어진 채점 기준표에 의해 훈련된 평가자가 평가를 하는 활동이다. 선택형 검사와 대비되는 수행평가의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문제의 정답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정답을 구성하거나 행동으로 나타내도록 한다.
둘째,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를 가능한 실제 상황에서 달성했는 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셋째, 교수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교육학습의 과정도 평가하여 학생의 인지적 영역과 더불어 학생 개개인의 행동발달 상황이나 흥미, 태도 등 정의적 영역의 평가도 중시한다.
넷째, 단편적인 영역에서 일회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학생 개개인의 변화발달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전체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다.
다섯째, 개개인을 단위로 해서 평가하기도 하지만 집단에 대한 평가도 중시한다. 개인이나 집단을 평가할 때 객관적인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성취수준의 평가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수행평가는 학생 상호간의 지나친 경쟁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상호간의 협력을 유도한다.
여섯째, 학생의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개별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 학생의 지적 수준을 진단하고 학생의 이해 수준을 높이며 개별학습을 촉진하기 때문에 평가의 과정이 교수학습 과정과 분리되기보다는 하나의 통합된 형태로서 교수학습과정의 한 부분이 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6.24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1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