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가족]이혼가족의 사회적 현상과 문제점 및 서비스대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문제제기

Ⅱ. 한국의 가족문제와 이혼
1. 가족의 정의와 기능
2. 한국가족의 변화
3. 가족문제의 개념과 종류
4. 이혼

Ⅲ. 이혼가족의 발생요인 및 실태
1. 이혼가족의 발생요인
2. 이혼율 증가
3. 이혼율 증가의 원인
4. 이혼의 사유
5. 이혼연령의 상승과 동거기간의 증가
6. 교육수준과 이혼율
7. 이혼하지 못하는 이유
8. 외국의 이혼율 변화추세

Ⅳ. 이혼으로 인한 제반문제
1. 여성의 빈곤화
2. 자녀양육의 어려움
3. 심리적 불안정성
4. 법적 어려움

Ⅴ. 이혼가족이 미치는 영향
1. 부부에게 미치는 영향
2.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Ⅵ. 이혼 후 적응해야 할 과제

Ⅶ. 편부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대책
1. 부모교육 및 훈련
2. 가족상담 및 치료
3. 지지적 관계망의 형성
4. 동년배 지지집단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적응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혼을 하나의 사실로 받아들이고 인정해 주도록 현실의 문제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5. 성적인 문제의 해결
이혼으로 정상적인 성생활을 할 수 없으므로 건전하지 못한 방법으로 욕구를 충족하거나, 술을 마시거나, 취미 생활에 몰두하거나, 약물에 의존하는 등의 다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보다 바람직한 인간관계의 형성을 통해 먼저 정서적 관계 형성을 이루어야 한다.
6. 법적인 문제
이혼이 법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에서 냉정하게 여러 문제를 점검하고 명확하게 마무리지어야 한다. 즉, 친권의 귀속, 자녀양육비,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배, 위자료 등의 문제를 이성적으로 정리하고 해결해야 한다. 특히 최근에 개정된 가족법의 적용 내용을 확인하고 본인과 자녀에게 유리한 입장에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Ⅶ. 편부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대책
1. 부모교육 및 훈련
대부분의 편부모가족은 한쪽 부모의 부재로 인해 부모역할의 문제를 가진다. 부모역할은 편부모가족의 가장 큰 관심사인 자녀양육과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기도하다. 따라서 이들에게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과, 편부모 상태에서의 부모역할에 대한 교육과 함께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역할연습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2. 가족상담 및 치료
편부모 가족을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족상담이나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편부모가족에 대한 가족상담과 치료는 편부나 편모가 직업에 종사하기 때문에 자녀와 함께 모일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들 가족이 집에 있는 상태에서 사회복지사가 직접 방문하여 가족상담이나 가족치료를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가족 구성원 모두가 모이기 어려운 경우, 자녀나 편모(혹은 편부)만을 대상으로 단기가족치료를 실시함으로써 가족 문제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3. 지지적 관계망의 형성
편부모가족에게 잠재적으로 지지가 될 수 있는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망을 확인하여 이들을 편부모가족에게 연결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들은 심리적인 단절감과 고립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가족 내 여러 가지 문제로 함께 의논하고 얘기할 대상이 필요함을 느낀다. 따라서 친척이나 친구, 혹은 이웃이나 사회기관 중에 편부모가족에게 지지가 될 만한 자원을 찾아내어 편부모가족과 연계시켜주어야 한다.
4. 동년배 지지집단
동년배지지집단은 동년배의 편모(혹은 편부)를 대상으로 10-12명 정도의 규모로 구성한다. 이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갖으면서 자신들에게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지를 제공한다. 이들은 서로 자신들의 문제와 관심사를 논의함으로써 따뜻하고 지지적인 장을 제공하고, 서로의 정보를 교환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다.
참고 문헌
김순옥, 1993, "이혼대책에 관한 요구도 조사연구", 한국가족학연구회편, 「이혼과 가족문제」, 도서출판 하우.
김주수, 1995, 「가족, 상속법」, 법문사.
방선욱, 1992, "이혼적응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변화순, 1995, "가족해체와 재구성", 여성한국사회 연구회(편),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사회문화 연구소
______, 1996a, "부모의 이혼에 따른 아동의 권리"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정신 건강연구」, 제15권.
______, 1996b, 「이혼가족을 위한 대책연구」, 한국여성개발원.
______, 2002, "한국의 혼인상태," 「한국의 인구」, 통계청.
보건복지부, 1999, 「보건복지백서」.
최진섭, 1993, 「이혼과 자녀」, 삼지원.
한국여성개발원, 1996, 「호적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1, 「여성통계연보」.
한경혜, 1993, "한국 이혼부부의 적응과 관련변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혼과 가족문제」, 도서출판 하우.
Ambrose, P., Harper J. & Pemberton, R., 1983, 「Surviving Divorce: Men Beyond Marriage」, Sussex: A Member of the Harvester Press Group.
Beller A. H. & Chung S.S, 1991, "Child Support and the Feminization of Poverty," 「The Reconstruction of Family Policy」, (ed by) Anderson, E.A. & Hula, R. C., London, Greenwood Press.
Byun, W. S., 1987, "Une Etude Comparative sur la Famille et le Divorce en France et en Cor e du Sud", Paris: Universit Paris-V, Une these pour la doctorat(박사학위청구 논문).
Diedrick, P., 1991, "Gender Differences in Divorce Adjustment", in 「Women and Divorce/Men and Divorce」, Volgy. S.S., New York.
Eekelaar, J. & Maclean, M., 1986, 「Maintenance after Divorce」, Oxford: Clarendon Press.
Mckenry, P. C. & Price, S. J.(ed.), 1994, 「Families and Change: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Thousand Oaks, Sage.
Price, S. J. and Mckenry P. C., 1988, 「Divorce」, Newbury Park:Sage.
Waleaven, M., 1998, " Making Services Work for Children and Youth at Risk and their Families: Two Ways of Integration", 「Children and Families at Risk- New Issues in Integrating Services」, OECD.

추천자료

  • 가격3,2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7.02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