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보험 민영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의료보험의 정의 및 개념
1) 의료의 개념과 특성
2) 건강 보험의 개념
3) 의료보장의 유형
2. 정부별 의료보험의 변화
1) 박정희, 전두환 정부(1977 - 1988.2)
2) 노태우 정부(1988.3 - 1993.2)
3) 김영삼 정부(1993.3 - 1998.2)
4) 김대중 정부(1998.3 - 2003.2)
5) 노무현 정부(2003.3 - 2008.2)
3. 의료보험 민영화와 추진배경
1) 의료보험 민영화란
2) 의료보험 민영화의 추진 배경
4. 의료보험 민영화의 예상되는 문제점
1) 소비의 외부효과
2) 가격수준
3) 환자선택 및 의료인력 확보난
4) 보충보험 미국의 메디갭 시장의 문제점
5) 민영보험 도입의 문제점
6. 해외 및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제도 분석&개선방안
1) 보충형 건강보험제도
2) 공사 보험 경쟁 및 보완체계
3) 국민건강보험의 민영화
4) 의료저축제도
5) 현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Ⅲ. 결론

<부록1>

<< 참고자료 >>

본문내용

Ⅰ. 서론
현대 자본주의와 21C의 전 지구적 대표 아이콘. 신자유주의 물결 및 세계화의 바람이 우리 대한민국에도 본격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우리 피부에 와 닿는 사실 한가지, 바로 한미자유무역협정(이하, 한미 FTA라 지칭)을 통해서 더더욱 이러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데, 한미 FTA는 현재 국회 비준을 앞두고 있는 실정이다.
자유무역협정. 간단히 설명해서 특정 국가 간의 상호 무역증진을 위해 물자나 서비스 이동을 자유화시키는 협정으로, 나라와 나라 사이의 제반 무역장벽을 완화하거나 철폐하여 무역자유화를 실현하기 위한 양국간 또는 지역 사이에 체결하는 특혜무역협정이다. 이때의 무역장벽 완화나 철폐의 실질적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 여러 가지 사회 공공부문에서의 국가역할 축소 및 철폐, 즉 민영화라 볼 수 있다.
한미 FTA는 현재 국회 비준의 마지막 단계를 앞두고 있지만 이미 우리 사회 내부에는 많은 부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 중 한가지로 최근 광우병 논란,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한 논쟁거리에 밀려 자주 거론되지 않는 의료서비스 부분의 자유경쟁/민영화 논란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 의료보험당연지정제로 대표 되는 공공의료서비스는 몇 가지 문제점과 논란거리를 가지고 있었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의료서비스 부분의 민영화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명박 정부의 의료민영화 “패키지” 정책으로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당연지정제 폐지, 영리의료법인 도입이 묶여 있으며 최근 정부에서 당연지정제 폐지는 없다고 발표했지만 의료기관 자체의 당연지정제는 유지되더라도 고급병상을 이용하는 환자들에 대해서는 병실료뿐 아니라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사적 병상이 도입될 여지는 여전히 남아있다. “패키지” 정책의 어느 한 정책이 폐지된다고 해서 의료 영리화 정책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예견한다. 한편 정부의 의료 민영화 “패키지” 정책은 현행 건강보험 적자해소와 그로인한 경제성장, 낭비적 의료체계 개선 및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주장되고 있다.
의료보험제도란 1883년 프러시아에서 처음 실시된 사회보험의 한 분야로 상병이라고 하는 생활상의 사고와 분만 또는 사망으로 인해 일시에 많은 가계지출을 보험을 이용하여 분산시키는 제도로서 국민생활의 안정을 도모하는 의료보장제도의 일환이다. 의료보장제도는 소득보장과 더불어 사회보장의 양대지주를 이루고 있으며, 개인의 건강문제를 부담능력에 관계없이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회적 공동대처수단의 하나이다. 한국의 의료보장제도는 사회보험방식의 의료보험과 공적부조방식의 의료보호로 나누어지는데 의료보험은 본인이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담하는 데 비해 의료보호는 그 비용을 원칙적으로 국가가 전담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사회보험방식의 의료보험은 민영보험과 달리 가입방법에 있어서 임의가 아닌 강제가입을 원칙으로 한다.(건강보험 의 무가입제)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8.07.0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73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