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에서의 자발적학습 동기부여를 고려한 모형 및 실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학습과 동기부여
1. 동기부여의 개념
2. 동기부여의 과정
3. 동기부여와 업적의 관계

Ⅱ. 이론적 배경
1. 학습동기
2. 동기부여와 관련된 이론들
1) 욕구 이론 (Need Theories)
2) 기대 이론 (Expectancy theory)
3) 형평 이론 (Equity theory)
4) 목표 설정 (Goal setting)
5) 강화 (Reinforcement)
3. 정의적 요인:동기, 학습태도, 언어불안
4. 소집단 수업
5. 학습 동기환경과 지능

Ⅲ. 수업의 모형 및 실제

Ⅳ. 학습 동기부여 및 목표 설정
1. 학습동기부여(공부하는 이유에 관해서 고민)
2. 학습동기부여를 위해 스스로 점검하기
3. 자아개념-긍정적 자아 갖기
4. 긍정적 자아개념 갖기
5. 목표를 세우는 방법
6. 올바른 목표를 세우는 방법
7. 자기주도학습 실천하기
8. 진로 선택을 위한 단계 및 실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택을 위한 단계 및 실제
-자신에 대해 알기: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잘하며, 성격은 어떤지 객관적 주관적으로 평가를 하여 스스로 진로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자아정체감이 완벽하게 확립된 시기가 아니기에 각종 객관적인 검사 등을 통해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자신에게 맞는 직업군을 찾아 여러 가지 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고, 꼭 한 가지를 선택하거나 확정 짓기 보다는 두세 가지의 직업군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선택한 직업군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으므로 각 직업군과 직업에 따르는 정보를 수집하여 그 일과 관련되는 학과와 대학을 찾는다. 특히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나온 대학이나 학과가 유명하고 유망한 대학을 중심으로 정보를 알아봐야 한다.
Ⅴ. 결론 및 제언
한국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입시라는 현실적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영어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을 고려한 수업을 계획하기란 참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교실이 붕괴되고 있다고 하는 오늘의 현실에서는 단순히 영어라는 과목을 가르치는 일 외에 다른 부가적인 교사의 역량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때로는 가르치는 일보다는 학생지도와 같은 일에 교사의 힘을 보다 많이 소모되게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전인적인 교사의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고려한 소집단 수업을 수업에 활용한다면 학습동기의 부여로 인해 학습태도가 향상되고 그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단 입시라는 상황과 호흡을 맞추기 위해서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방법을 어느 정도, 어느 차시에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필요하리라 본다.
한편 구태의연한 수업에서 탈피하기 위한 일환으로 연구학교 수업참관을 갈 때면 어김없이 노출되는 상황이 있다. 바로 선진화 기자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이다. 그것이 마치 획기적인 교실 상황의 개선 혹은 변화를 가져다주는 중요한 매체가 된다는 듯이 구체적인 연구 없이 물 밀 듯이 밀려오고 있는 현실이 답답하게만 느껴질 때가 많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을 수업 중 얼마만큼 또는 어떤 내용에서 활용해야 효율적인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뒤 학교 현장에 보급되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참관 수업을 갈 때마다 생긴다. 또한 교사가 시간적·경제적 노력을 기울인 수업자료의 공유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게 또 하나의 문제이다. 자료의 공유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의문일 것이다. 현재 수행평가가 행해질 수 있다고 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점수에 예민한 학부모와 교육계 지도층이 교사에게 얼마만큼의 재량을 허용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부딪히면 중요한 자료라 할지라도 언제나 쉽게 버려지기 쉬운 상황이다. 따라서 진정한 재량활동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전한 장치가 필요하며 교사의 충분한 연구시간 확보가 요구된다. 앞으로 더 나아가서는 평가방법의 현실적인 다양화와 그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재량권이 주어져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용남 ·강만철 ·김계현 ·박선욱 ·송인섭 ·이신동 ·이재신 ·최진승 (1999). 신교육심리학. 서울:학지사.
윤정륜 (2002). 교사 ·교직 준비생을 위한 학교교육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윤운성(1995). 敎育心理學. 서울:상조사.
박아청 (2000).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교육과학사.
양낙진 ·송의열(2001). 교육심리의 이해. 서울:도서출판보성
김남순(1997). 교육심리학. 서울:교육과학사.
박정숙(1996). 영어 학습에 있어서 언어불안의 역할에 관한 실증적 연구, 영어교육, 51, 91-115
신현숙(1998). 게임을 이용한 소집단 수업과 영어초기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ornyei, Z.(1990). Conceptualizing Motivation in Foreign-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40, 45-78
Duane Vorhees.(1997). Teen Talk. 89-90., Lis Korea
Gardner, R. & MacIntyre, P.(1993) On the Measurement of Affective Variable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43, 157-194.
Kranshen, S& Terrell, T(1983). The Natural Approach. The Alemany Press.
MacIntyre, P. & Gardner, R.(1994) The Subtl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n Cognitive Processing in Native and Second Languages. Language Learning, 44, 283-305
Peter Watcyn-Jones.(1995). Grammar Games and Activities for Teachers.
Ryan, A. & Pintrich, P. (1997). "Should I Ask for Help?" The Role of Motivation and Attitudes in Adolescents' Help Seeking in Math Cla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 329-341.
Saito, Y. & Samimy, K.(1996).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Language Performance : A Study of Learner Anxiety in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College Students of Japanese. Foreign Language Annals, 29, 239-251.
Susan, Kay. (1997). Move Up Pre-intermediate Resource Pack. Heineman.
Susan, Kay.(1995). Move Up Intermediate Resource Pack. Heineman.
  • 가격2,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7.15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8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