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교수방법론' 번역 및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영어교수방법론' 번역 및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언어 교수의 조직적 방법(methodical)의 역사
1)접근(approach), 방법(method), 기술(technique)
2)Changing winds and shifting sands.(바뀌는 바람과 흐르는 모래)
3)문법 번역식 방법(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4)Gouin and the Series Method
5)직접 교수법(The Direct Method)
6)언어학습에서 듣기와 말하는 방법
7)인지주의적학습법 (COGNITIVE CODE LEARNING)
8)1970년대의 활기찬 'DESIGNER' 방법들.

제 3장 현재: 알고 있는 “접근법”
1)계몽된, 절충식 접근법
2)의사소통중심 언어 교육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본문내용

됨.
-학생들은 안내받는 상황에서, 그러나 선생님의 지시가 아닌 즉흥적인 상황을 다루는 것에 격려 받는다. 학습자의 전략적 획득 접근 발달의 중요성은 기초적 전략 교육의 주제를 전혀 끄집어내지 않는 빠른 방법으로부터의 전체적인 방향전환이다.
-협동학습의 독특한 몇 가지는 제2외국어의 매우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선생님이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비디오 텔레비전, 오디오 테이프, 인터넷(망), 그리고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술들은 이 같은 선생님들을 도울 수 있다.
-협동학습에 대한 경고: 협동학습 원리에 말뿐인 신앙을 주는 것을 경계해라. 그러나 가르치는 용어 적 성격들을 배운다면 교사 스스로 확신을 관습화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에 확신을 가질 것이다.
3.Interactive Learning
-의사소통능력의 현재 이론 중 중심에는 의사소통의 상호작용 능력이 본질적으로 있다.
-절충의 산물, 주고받음, 대화자들의 상호작용의 시도. 상호작용 과정이나 기술은 절충을 제공할 것이다.
상당한 분량의 짝 활동과 소집단 활동.
실제 세상의 맥락에서 진정성 있는 언어의 입력 받기.
실제로 하는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로 표현하기.
주고받기와 자발적인 실제 의사소통을 통하여 구두로 하는 의사소통 연습하기.
가상의 독자가 아니라 실제 독자를 위한 글쓰기.
-상호작용 배움의 이론적인 기반들은 두 번째 언어 습득의 상호작용 가설을 기술한 Michael Long 에게 있다. Stephen Krashen의 이해할 수 있는 입력의 개념을 넘어오면서 Long과 다른 사람들은 언어 발전에 있어 투입과 산출의 중요성을 지적하기 시작했다. 학습자들이 구어와 문어의 과정을 서로 함께 상호 작용한다면 그들의 의사소통적 능력들을 향상될 것이다.
4.Whole language education
-우리의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용어로 그 본래의 특징이 무색하게 될 위기에 처해있다.
※ Whole language education 용어의 유래 (읽기 연구에서 도출되었다.)
㉠ 언어를 음소/형태소/단어로 세분하는 관점에 반대. 언어의 전체성을 강조위해 사용.
㉡ 문어(읽기, 쓰기)와 구어(듣기, 말하기)간의 상호작용과 연관성을 강조위해 사용.
㉢ 문명사회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구어만큼이나 문어가 중요함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
지금 그 용어는 거대한 것을 더 다루기 위해 나침반 역할을 해 왔다 .
(1) Whole Language Education의 의미
협동 학습
참여 학습
학생 중심 학습
학습자 공동체에 대한 초점
언어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초점
진정성 있고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
의미 중심 언어
시험에서의 총체적 평가 기법
-Whole Language은 수업계획으로의 활동이 아니라, 인생의 교육적인 방법이다. 일상의 배움과 학교의 배움 사이에 의미 있는 관계들을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우리는 그것이 교사와 개발자에게 또 다른 잡음이 되지 않도록 그 용어를 조심히 이용해 충당한다.(Edelsky)
-전체적인 것으로서의 언어는 언어가 부분의 합이 아니라는 것을 암시. 모국어의 습득에서 아이들은 전체(문장, 감정, 억양)를 부분보다 먼저 이해한다. 두 번째 언어 역시, 부분에서 전체로의 bottom-up방식이 아니라 전체적인 측면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전체로서의 언어와 부분으로의 언어가 4가지 기술(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서 상호관계가 있는데, 교실 안에서 두 가지나 그이상의 기술을 통합하기를 강요해야한다.
-전체적 언어는 “공평하고, 민주적이며, 사회의 다른 측면의 전망을 야기한다.” 따라서 우리는 의미를 구성하는 언어, 실제를 구성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언어를 가르칠 때 학습자가 강요와 자유 둘 다 사회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이해체계를 사용해야한다.
5.content-based instruction
-언어학습과 주제에 관한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하고, 주제내용을 바탕으로 언어의 연속적인 내용을 받아쓰게 한다. (Brinton, Snow, Wesch)
-언어가 정보내용을 운반하는 매체가 될 때, 언어 고유의 영향으로 학습자에게 관련성 있게 다가가야 한다.
-언어는 내용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운반자로서의 역할. 학생들은 개개인의 능력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어 언어학습의 내적 동기가 증가. 따라서 전체적으로 새로운 내용 분야의 교재를 선택하고, 교사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개념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6.task-based learning
-변동에 잘 대체하는 반면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어떻게 task를 정의하고 묘사하는지에 대해 논의를 한다.
-task개념의 필수적인 부분들(Peter Skehan):의미가 일차적이며, 해결해야 할 의사소통 문제가 몇 가지 있다. 비교 가능한 실제 세상의 활동과 약간 관계가 있다. task 완성은 우선사항이고 task의 평가는 일정기간 결과물을 기준으로 한다.
-task는 특별한 형식의 기술.(ex>문제해결, 역할놀이) 다른 경우, 몇 가지 기술이 모여 하나의 task를 형성.(ex>let's say, grammatical explanation, teacher-initiated questions, turn-taking procedure와 같은 techniques가 모여 하나의 problem-solving task를 형성 )
-task-based 교육은 새로운 도구가 아닌 task를 그 사람의 방법론에 초점을 맞춰 중심에 놓는 것이다.
-task-based learning은 학습과정을 일련의 의사소통적 tasks로 본다.
-task-based 교육은 CLT라는 틀 속에서 교사가 교육을 할 때 초점을 맞추고 주의해야 할 교육학적 목적을 조망한다.
학습자의 관심이 언어형식만이 아니라 실제상황에까지 이르도록 하는가?
의사소통 능력향상에 구체적 도움을 주는가?
그 구성요소들이 세심하게 조직되어 있는가?
일정단계에 이르면 해당 기술의 성공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목적이 구체화 되어 있는 가?
학습자로 하여금 실제와 같은 문제해결 활동에 참여토록 하는가?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7.23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