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의 도래와 가상공간에서의 새로운 위험요인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정보사회의 도래와 가상공간 위험발생의 확대
1. 가상공간(cyber space)의 도래와 배경
2. 가상세계의 사회적 특징
3. 가상공간(cyber space)의 정의와 사회적 영향력
1) 가상공간의 정의
2) 가상공간의 특성
3) 가상공간의 사회적 영향력
4. 위험발생환경으로서 가상공간

Ⅲ. 가상공간(Cyber Space)에서의 새로운 위험요인들
1. 기술적 측면에서의 위험요인들
2. 사회적 측면에서의 위험요인들
3. 문화적 측면에서의 위험요인들
1) 가상공동체(communities in cyberspace)
2) 언어와 자아정체성(self-identity)
3) 탈육체화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4) 신계급화 : 가상공간속에서의 통제

Ⅳ. 1.25 인터넷 대란에 대한 사례분석
1. 사건경과
2. 사고원인
3. 인터넷 사고로 인한 피해규모
4. 대응과제

Ⅴ. 결론 및 정책적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얼마나 극복시킬지는 모르겠지만, 육체와 정신을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가상(cyber)과 현실(reality)을 서로 다른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 실제로 우리는 가상이지만 진짜 현실처럼 느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이 보다 극대화되고 정교화 될 경우, 과연 어느 공간이 진실인지 우리는 구별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그동안 많은 영화와 소설 속에서 자주 등장했던 소재이다.
바이러스나 해킹 등으로 인한 기술적인 피해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큰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아주 작은 컴퓨터 오류로 인해 세계3차대전이 일어날 수도 있고, 잘못된 연산작용으로 의료사고가 발생하여 사람의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위험 요소에 대한 경계와 예방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한편, 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네트워크 기술과 가상현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되었다. 사이버폭력과 섹스, 게임중독, 개인정보 유출 및 침해, 새로운 지배관계 생성 등 우리가 과거에는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버 범죄는 기술발달에 미치지 못하는 법·제도적 한계가 있고, 전문적인 컴퓨터 보안요원이 부재하며, 국제적 사이버 범죄에 대한 대응이 미비하다. 그러므로 현행 법률의 취약점을 개선하고 중·장기적 컴퓨터 전문보안요원을 양성하며 보안시스템의 개발(방화벽, 시스템 암호화, 인증제도 등)로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사회·문화적 문제들은 비록 확실한 방법은 아닐지라도 '교육'에 맡겨야 할 것이다. 이미 학교나 정부공공 기관에서는 '네티켓'을 가르치고 있으며 인터넷 중독 및 가상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인성교육이 진행 중이다. 기본적으로 기술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기본적인 사고방식과 가치관에 호소하지 않고서는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힘들다. 비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도 많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어쩌면 학교 교과과정의 일부로 만들어 초·중·고에서는 정규교과 과목으로, 대학교에서는 필수 교양과목으로 법적 제도를 만드는 것도 정부차원의 대안점으로 볼 수 있다. 즉 가상공간이 활발한 공론장으로서 자리메김하기 위해선 이용자들(users)의 올바른 가치관이 필요하며 소수계층의 입장을 대변하는 다양한 사이버활동들이 보다 건강한 사회를 건설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석,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나남, 2002.
마샬 맥루한, 박정규 역,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커뮤니케이션스, 2001.
박창호, 『사이버공간의 사회학』, 정림사, 2001.
성동규, 『사이버스페이스와 사이버문화』, 한울아카데미, 2000.
______,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세계사, 2002.
수잔 B. 반즈 저, 이동후·김은미 역, 『온라인커넥션』, 한나래, 2002.
윤영민 저, 『사이버공간의 사회』, 한양대출판부, 2003.
이재관, 『사이버 공동체의 성공요인』, 집문당, 2002.
장 보드리야르, 하태환역,『시뮬라시옹』(Simulacres et simulation), 민음사, 1992.
전석호, 『정보사회론』, 나남, 2002.
피에르 레비, 김동윤·조준형 역, 『사이버 문화』, 문예출판사, 2000.
피에르레비, 전재연 옮김, 『디지털시대의 가상현실』, 궁리 2002.
홍성욱·백욱인, 『2001 사이버스페이스 오디세이』, 창작과 비평사, 2001.
홍성태, 『사이버 공간, 사이버 문화』, 문화과학 테크노문화신서 1, 문화과학사, 1996.
홍성태, 『사이버사회의 문화와 정치』, 문화과학사, 2000.
홍성태, "사이버 공간과 사이버네틱스", 『한국사회와 언론』1997.
김기윤, "위험관리와 위기관리:정보시스템의 재난복구(Risk Management and Crisis Management: Disaster Recovery for Information System)", 리스크관리연구, 1997.
김동욱, "인터넷 이용충족, 플로우 및 개인적 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김은경, "사이버 성폭력의 현실과 쟁점들",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통권제7호), 2001.
민경배, "사이버 현상과 새로운 문화 형성의 과제", 함께하는 시민행동-인터넷과 새로운 문화 형성의 과제 토론회 발표문, 20001.
민경배, "사이버 문화의 이해: 사이버와 현실 세계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대 대학원 학술제 발표논문, 1999.
라도삼, "가상공간의 전경과 삶의 단편들: '리니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 1999.
박정순, "정보 통신 문화의 도덕의 정체성 문제", 한국 철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 논문, 1997.
윤건영. 김항인, "정보화 시대에 신뢰함양을 위한 도덕교육", 지구촌 시대의 신뢰회복과 신뢰구축, 서울대학교 국민윤리교육과, 2001.
윤민석, "사이버 범죄에 관한 연구", 충남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여명숙, "사이버스페이스의 존재론과 그 심리철학적 함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이창후, "정보윤리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
최수연, "고도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의 뉴미디어와 도서관", 국회도서관보 제26권 2호, 1989.
장성원외, "인터넷 강국의 취약성과 대응과제", 삼성경제연구소, 2003.
조진호 “가상공간에서 합의에 의한 도덕 규범의 확립 시도", 두뇌한국21 인문사회분야, 2002.
한국정보보호센터, "각국 정보화정책과 그에 따른 예측가능한 위험요소연구(A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and System Vulnerabilities)", 2000.
정보통신부,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1996.
http://www.hackersnews.org/data/2003/01_1/0128_5.html
http://www.gijang.busan.kr/kijangsaram/gu0004/gu03/m3000401.htm
  • 가격2,9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08.02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