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개념과 개발,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필요성 및 목적,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역할,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3가지 핵심 사안, EQ(감성지능, 감성지수)에 대한 논의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개념과 개발,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필요성 및 목적,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역할,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3가지 핵심 사안, EQ(감성지능, 감성지수)에 대한 논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EQ(감성지능, 감성지수)에 대한 개괄

Ⅲ.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개념과 개발
1. EQ의 개념
2. 감성지능의 특징과 능력
1)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자기 인지력
2) 분노나 욕구 등의 충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자제력과 인내력
3) 타인의 감정을 헤아리고 파악할 수 있는 공감력
4)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관계를 잘 유지하는 능력
5) 사물의 긍정적인 면에 주목하는 플러스 지향의 능력
3. 감성(EQ) 교육과 능력 개발

Ⅳ.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필요성 및 목적

Ⅴ.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역할
1. 감정의 인식
2. 감정의 조절과 통제
3. 잠재 능력의 개발
4. 타인과의 감정 이입
5. 사회적 관계의 형성

Ⅵ. EQ(감성지능, 감성지수)의 3가지 핵심 사안
1. 자기인식 능력
2. 타인조망수용 능력
3. 관계관리 능력

Ⅶ. EQ(감성지능, 감성지수)에 대한 논의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letion Test of Ego Development」(Loevinger, & Wessler, 1970; Loevinger, Wessler, & Redmore, 1970)와 「Cognitive Complexity of the Description of Parents」(Blatt, Wein, Chevron, & Quilan, 1979)과 각각 유의한 관계를 얻었고, 일반 지능을 측정하는 WAIS-R(Wechsler, 1981)의 언어능력과 사지선다 언어능력 척도인 「Shipley Institute of Living Scale」(Shipley, 1940)과도 유의한 관계를 얻었다고 하였다.
이와는 달리 Bar-On의 EQ-i와 EI와의 관계에 관한 다음 네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EQ와 IQ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Bar-On, 2000, p.385). 즉, EQ와 IQ의 상관은 미국 성인 40명의 경우 .12(Pallazza, & Bar-On, 1995), 네덜란드 성인 833명의 경우 .08(Haglieri, & Bardos, 1997) 필리핀 100명 성인의 경우 .01(Hee-Woo, 1998), 그리고 이스라엘 2,670명의 청소년의 경우 .01(Fund, 2000)으로 나타났다. Davies, et al.(1998)은 EI는 성격검사 및 지능검사와 달라야 한다는 전제 하에 연구를 수행한 결과 EI 요인 중 정서지각 요인만이 성격검사와 지능검사를 구분 짓는 유일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연구자들은 감성지능의 정의는 보다 제한될 필요가 있으며, 그 정의는 “시청각 자극에서 정서정보를 지각하는 능력”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여전히 우리는 EQ에 대해 두 가지 의문을 갖는다. 그 하나는 EQ는 IQ 또는 인성검사가 측정할 수 없는 능력을 포함하는 척도인가 하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다면 EQ는 IQ와 성격검사의 결합체 인가 아니면, 새로운 독립적 구인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한 해답을 찾는 연구가 바로 감성지능 연구의 핵심 사안인 셈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고려되어야 한 두 가지 사항들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흐름은 기존의 IQ 또는 성격검사의 개념적 틀을 모델로 삼고 이에 근거하여 새로운 지능인 EQ의 타당도 여부를 검증하는 방식을 택하여 왔다는 것이다. 즉, Postmodernism의 지식관, 지능관, 사고관을 Modernism의 것에 기초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받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EQ의 적합성, 타당성, 효용성에 대한 검증에 앞서 새로운 Constructivism의 사조와 철학에 부응하는 지식관, 지능관, 사고관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화 사회, 열린 사회, 개성 사회, 글로벌 사회, 다원 사회의 지적 적응력과 문제 해결력, 나아가서 신사고력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새로운 자료수집 및 절차 방법 등을 채택할 필요가 요구된다(예, 사례자료, 면접자료, 관찰자료, 일화기록 자료, 역사·문화적 생태학적 자료 등).
Ⅷ. 결론
교육의 본질은 인류의 역사 속에 축적해 놓은 지식의 전수, 바람직한 인간형성, 인간이 지닌 잠재능력의 계발이라고 볼 수 있다. 인류의 역사 속에 축적해 놓은 진리와 지식을 전수하는 일은 단순 암기위주의 교육으로 변질되었고, 인간성과 도덕성을 추구해야 할 인간형성은 그 사회가 요구하는 규범과 가치에 충실한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인간의 내재된 무한한 가능성인 잠재능력의 계발은 눈에 보이지 않고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시되거나 방치되어 왔다. 그러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 진리와 가치와 능력은 무시되고 논리적 실증이 가능한 지식만 전수하다 보니 반쪽 교육밖에 되지 못했다. 이제부터라도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신장하는 교육의 본질을 되찾는 일이 시급하다. 학습자들이 학습은 재미있고, 즐겁고, 유익하다고 느끼면 학습 동기가 자극되어 학습자의 잠재능력은 그만큼 계발될 것이다.
우리는 수많은 정보와 지식이 넘쳐나고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21세기 변화의 물결 속에 놓여 있다. 더구나 개인용 컴퓨터가 보편화되면서 교육환경은 양적, 질적인 면에서 거듭되는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어떤 특정 기법 위주의 know-how 사회로부터 지식의 실천을 특성으로 하는 know- know 사회로, 전문영역과 영역간의 단절이나 고유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적 사회로부터 영역간의 상호 의존성이 확대되는 융합 사회로, 단일문화 사회로부터 다문화 사회로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로 전환하게 되면 직업구조, 교육기능, 개인의 생애, 국가간의 관계 등이 완전히 변화되어 이에 적합한 인재와 사회 패러다임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인간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었던 IQ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물론 교육전반에 대한 하나의 큰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우리 사회는 모든 교육의 기초를 EQ라는 새로운 기준을 통하여 바라보게 되었다. EQ는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능력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삶을 살기 위한 능력이다. 타인과 타인의 문화와 인격에 대한 존중, 그들의 권리나 그들의 안전을 함께 생각하는 능력이다.
새로운 교육의 기준으로 등장한 EQ의 개념이 1990년도부터 개념화하기 시작하여 이미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제는 EQ의 개념 정립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EQ의 구체적인 의미와 그에 따른 교육에 있어서의 가능성 연구를 병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언주(1996), EQ의 의미 인성과 창의성교육을 위한 새로운 도전, 학교경영
- 김용선(1997), EQ 감성지수와 이성, 민중출판사
- 김현경·이지은 편저, EQ 감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 강문희(1999), 부모가 만드는 EQ, 다음세대
- 김언주(1996), EQ의 의미 인성과 창의성교육을 위한 새로운 도전, 학교경영
- 문용린(1997),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 글이랑
- 이상순(1997), EQ 감성 개발법, 나라원
- 황정규(1995), 인간의 지능, 서울 : 민음사
- 황태호(1997), 감성지능(상)(하), 서울 : 비젼코리아

키워드

EQ,   감성지능,   감성지수,   감정,   감성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8.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