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반도체산업]반도체(반도체산업)의 정의,특성, 반도체(반도체산업)의 종류, 반도체(반도체산업)의 제조과정, 반도체(반도체산업)의 현황, 반도체(반도체산업)의 이용, 향후 반도체(반도체산업) 정책의 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도체][반도체산업]반도체(반도체산업)의 정의,특성, 반도체(반도체산업)의 종류, 반도체(반도체산업)의 제조과정, 반도체(반도체산업)의 현황, 반도체(반도체산업)의 이용, 향후 반도체(반도체산업) 정책의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반도체의 정의 및 특성
1. 반도체 개념
2. 반도체의 분류
3. 반도체산업의 특징

Ⅲ. 반도체의 종류

Ⅳ. 반도체의 제조 과정

Ⅴ. 반도체산업의 현황

Ⅵ. 반도체의 이용

Ⅶ. 향후 반도체산업 정책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람은 자기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이미 개발 구축된 IP를 조합하여, 신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비메모리는 주문형이고 다품종이기 때문에 수많은 반도체설계전문기업의 창업과, 이들이 설계한 도면을 상품화하기 위한 반도체칩 제작(Foundry Service)을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한 데, 현재는 아남반도체·하이닉스·삼성전자에서 멀티프로젝트(다양한 칩을 1개의 웨이퍼에서 가공)형태로 칩제작을 일부 지원해 주고 있다.
그리고, 대학연구소에 반도체 설계인력양성센타를 설치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2단계 사업기간인 400억원을 투입하여, 63개 대학에 설계용 PC 1,250대, 설계용S/W 10,000개를 교육목적으로 제공하고, 대학내 연구그룹에 대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반도체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해 보는 실습교육 기회제공을 통하여 19,000여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앞으로 연구그룹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학원생은 설계전문기업을 창업하여, 한국의 비메모리반도체산업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제작된 System IC의 성능을 평가·보완할 수 있는 측정장비를 설계전문기업의 공동집적시설에 설치하여 설계전문기업이나, 대학생이 저렴한 가격으로 공동 활용토록하여 기술개발을 촉진할 계획이다. 한편, 국제화, 정보화시대에 있어 디지털정보가전·통신기기 등 전자산업의 국제경쟁력은 시스템기술이 집약된 비메모리 반도체에 의해 좌우된다. 메모리는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세계반도체시장의 79%를 차지하고 있는 비메모리는 취약하여, 첨단 정보통신기기의 핵심부품인 비메모리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여 국산화율이 휴대폰 53%, 디지털TV 30%에 불과하여 가격경쟁력 열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비메모리 반도체설계 전문업체를 집중육성하고,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기술개발 추진과 기술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우수한 인적자본의 양성을 통해, 비메모리생산비중 확대와 D램 편중의 반도체산업의 구조고도화로 세계 최고수준의 반도체산업으로 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비메모리반도체 설계전문업체 육성방안 마련하여, 전문생산업체(파운드리)를 통한 시제품 제작지원을 위해, 반도체혁신협력사업을 추진하여 반도체설계전문업체를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정보기기스마트폰PAD 등 소형/경향화/다기능화에 따라 핵심 칩이 System On Chip화가 되는 추세로, 우리 나라의 반도체업계는 동칩의 설계제조관련기술을 대부분의 영국의 ARM사로부터 기술도입하는 실정으로, 국내업체는 동칩을 장착한 완제품 판매에 급급해 설계기술배발은 등안시하고 하고 있어, 국내에 SOC설계기술의 기술이해 등 인력은 10명내외에 불과하다. 전적으로 선진국의 기술도입에 의존하는 고부가가치 비메모리 SOC설계기술의 저변확대와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02년에는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으로 SOC기반구축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화합물반도체 시장의 급성장에 대비하여 차세대반도체인 SiC 전력용반도체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며, GaN 광소자반도체 기술개발사업은 추진하였다. 장비·재료의 국산화를 추진한다. 차세대 반도체인 256M D램의 생산단계에서는 선·후발 기업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선진국들의 기술보호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국내 반도체 장비·재료업체는 대부분 연륜이 짧고, 중·소규모의 기업인 관계로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더구나 앞으로의 장비·재료 기술은 300㎜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고, 구리배선을 사용하는 등 새로운 기술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국내 장비·재료산업의 환경이 짧은 시간에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반도체장비 수급상황을 보면 생산 5.3억불, 수출 1.7억불, 재료는 생산 16억불, 수출 3.7억불이다, 국내 장비·재료업체는 규모도 작고 기술력도 현격한 차이가 있는 실정으로, 정부는 취약한 장비·재료산업을 선진국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외국업체의 국내투자 및 기술도입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은 물론 지속적인 기술개발 지원을 통하여 국내 기술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장비부문의 국내기술을 보면 217억원(정부 89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장비 국산화 개발사업을 추진한 결과 검사 및 조립 등 후공정장비는 어느정도 국산화가 되어있으나. 시장규모가 큰 전공정장비는 국산화가 미흡한 실정으로 연간 40억원을 투입하여 CVD, Track장비 등 전공정장비의 개발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향후 300mm웨이퍼 시대 및 D램의 고집적화,고속화에 대비 시스템집적반도체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국산화가 미진한 장비재료의 국산화율 제고시켜 나가고 있다. 한편, 반도체장비 기술교육센터를 설치하여 반도체장비기술인력양성사업과 반도체재료 특성평가 기술지원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장비·재료의 국산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나라에 무수히 많은 학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장비관련 학회가 없는점을 감안하여, 다소 늦은감은 있지만 반도체장비분야의 산·학·연관 기술정보 교환 및 학술활동 도모하고, 아울러 산학협동을 촉진하여 반도체장비의 국산화 및 기술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한국반도체장비학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재료분야는 수요가 많은 실리콘웨이퍼, 리드프레임 등은 이미 국산화가 되어 있으므로 품질향상을 통하여 국산이용률을 높이고 있으며, 고분자 등 차세대 재료의 개발을 위해 244억원(정부 104억원)을 투입중에 있다.
참고문헌
◇ 김준현 외(1984), 반도체산업의 구조와 발전방향, 산업연구원
◇ 박희천 외(1987),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의 현황과 육성전략, 산업연구원
◇ 송위진(1995), 반도체산업의 장기발전을 위한 기술혁신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소, 서울
◇ 이맹우(1983), 반도체산업의 현황과 육성전략, 한국외국어대학교 무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일본전자기계공업회(1988), 반도체산업의 현상과 장래전망
◇ 주대영(1999), 반도체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 방안, 산업연구원
◇ 최영락(1991), 반도체기술 발전을 위한 자체기술능력 축적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소
◇ 한국반도체산업협회(1993), 세계 반도체산업동향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8.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