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가족치료이론][가족치료기법][가족치료 연구][가족치료 사례][가족][가족치료방법]가족치료의 이론, 가족치료의 발전, 가족치료의 필요성과 가족치료의 연구 현황 및 가족치료의 사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치료][가족치료이론][가족치료기법][가족치료 연구][가족치료 사례][가족][가족치료방법]가족치료의 이론, 가족치료의 발전, 가족치료의 필요성과 가족치료의 연구 현황 및 가족치료의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가족치료의 이론
1. 체계로서의 가족
1) 사이버네틱체계로서의 가족
2) 항상성을 지닌 체계로서의 가족
3) 규칙이 지배하는 가족
2. 상호작용체계로서의 가족
3. 발달체계로서의 가족

Ⅲ. 가족치료의 발전

Ⅳ. 가족치료의 필요성

Ⅴ. 가족치료의 연구 현황

Ⅵ. 가족치료의 사례
1. 제시된 문제(Presenting problems)
2. 가족배경(Family background)
3. 가족진단(Family Diagnosis)
4. 치료목표(Therapeutic goals)
5. 치료과정(Therapeutic process)
6. 평가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각 하위체계들간에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보이며 분리된 가족(Disengaged family)양상을 보인다.
4. 치료목표(Therapeutic goals)
세대간의 경계를 명료화한다. 가족의 정서적 유대를 증진시킨다. IP - 부 - 모 사이를 탈 삼각관계화 한다. 부부간의 제휴를 증진시킨다. 형제자매 하위체계 관계를 증진시킨다.
5. 치료과정(Therapeutic process)
전반기
부부간 일대일 면담을 통해 부모가 IP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파악을 했다. * IP의 문제에 대해 부는 모의 과잉보호 탓이라 했고, 모는 부의 무관심 탓이라 하며 서로에게 투사(Projection)를 보였다. 면담과정에서 부모가 IP에게 어떻게 대하는 지를 관찰하였다. * IP는 여전히 실어증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부를 보면 겁에 질린 표정을 지으면서 가까이 가질 못했다. 모는 IP를 보며 계속 울기만 했다. 연구자는 부모에게 과제(Tasks)를 제시했다. 과제의 내용은 면담중에 15분 동안은 부의 무릎에 IP를 앉히고 대화를 하도록 하고, 15분 동안은 모의 무릎에 앉히고 대화하도록 지시했다.
중반기
부부가 IP의 문제에 대해 어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했다. * 부는 IP를 “원치않은 아이(Unwanted baby)\"였다고 말하며 ”아들만을 너무 편애한 것같다“고 말했다. 모는 ”자기가 너(p. 30)무 돈에만 집착한 것같고, 엄마 역할을 충분히 못한 것같다“고 말하면서 IP의 문제를 부부 각자의 문제라고 말했다. 부의 저항이 감소되었다. 형제간의 상호교류 유형(Transactional pattern)을 파악하기 위해 IP의 언니와 남동생을 개입시켜 관찰하였다. * 공작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IP는 언니와 많이 어울리는 편이었고, 동생에게는 그저 물끄러미 바라보기만 했다. 부 - 모 - IP와의 변화된 정서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부모, IP, 형제들을 참여시켜 관찰하였다. 연구자는 부와 IP와의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명확한 경계(Clear boundary)로 완화시키기 위한 재구조화(Reframing)를 유도했다.
후반기
부부의 문제의식이 얼머나 변화가 있었고, IP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했다. * 모는 IP를 위해 슈퍼마켜을 나가지 않겠다고 말했고, 부는 가정에 좀더 관심을 갖고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가족 전체를 개입시킴으로써 IP와 가족구성원들이 어떻게 상호교류 하는지를 관찰했다. * IP는 모의 무릎에도 갔다가 부의 무릎에도 갔다가 언니, 남동생에게도 왔다갔다 하면서 관심을 보였다. 가족 공동으로 하는 게임에서 동생이 실수를 하자 IP는 갑자기 깔깔거리고 웃었고 “너가 틀렸어”라고 말하였다. 그와 동시에 부와 모는 IP를 번갈아가면서 안아주었다. 그때부터 IP는 자연스럽게 말을 이어나갔다.
6. 평가
IP의 가족은 IP모의 과잉보호(Over protection)와 IP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가족구조의 불균형과 세대간의 불분명한 경계를 갖게 되었고, 그 역기능적 증상으로 IP의 실어증이 나타난 사례로서 부 - 모 - IP의 삼각관계가 완화되고 가족내의 경계가 분명해지고 부모 하위체계와 형제 하위체계의 제휴(Allignment)를 증진시킴으로써 가족교류유형(Family transactional pattern)을 변화시켜 가족구조를 재구조화(Reframing)시켰다.
Ⅶ. 결론
전통적인 심리치료에서는 인간의 정서적 문제나 이상행동을 개인의 문제로 생각하여 고통을 당하고 있는 개인을 치료대상으로 보안다. 이와는 달리 가족치료에서는 부적응이나 정서적 문제는 가족이라는 하나의 단위가 직면하는 장애로 생각한다. 한마디로 가족치료는 가족 구성원 개인이 나타내는 정신적 증상이나 문제 행동은 가족을 구하기 위한 구조신호로 간주하여 가족 전체를 하나의 단위(가족체계)로 가족내의 상호작용의 양상에 개입해 가는 치료수단의 총칭이다. 가족성원은 충동,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인 행동, 금기등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받으며 각각의 가족이 그 가족특유의 상호작용이나 갈등해결의 유형을 형성해 나간다. 이러한 사실은 가족중 어떤 구성원의 증상은 병의 원인이나 치료적인 관점에서 모든 가족성원에 크게 관련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치료가는 가족의 고통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가족중 한명의 구성원이 증상을 나타내는 고통을 가지고 있을 때는 가족 모두가 여러가지 점에서 그 고통을 함께 느끼고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많은 치료자는 그러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구성원을 환자라는 표현 대신에 가족으로부터 문제시되는 개인(IP:Identified Patient)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은 한 개인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그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이나 사회의 문제이며 개인만을 치료해서는 무의미하거나 일시적인 치유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정신적인 질환이나 증상의 책임을 가족이나 사회에 전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가진 의미를 개인이나 가족, 그리고 사회와의 상호작용속에서 파악하려는 노력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Murray Bowen과 Salvador Minunchin은 가족치료의 선구적역할을 했다. 전자는 성장지향적인 관점에서 가족의 문제를 가족성원들의 약한 자기분화, 성원간의 삼각관계, 의사소통의 차단,반동의 증상을 나타낼 때라고 보았고, 후자는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현재의 가족구조적인 불균형에 기인한 가족문제가 발생한다는 차원을 다루고 제각기 이론, 개념 및 치료기술 등을 발전시켜 왔다.
참고문헌
김용태 - 가족치료이론, 학지사, 2000
김유숙 저 - 가족치료, 학지사, 2001
송정아·최규련 공저 -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송성자 - 가족과 가족치료제2판, 법문사, 2002
송정아 -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서울 도서출판하우, 1999
전병수 - Satir의 의사소통적 가족치료와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비교연구, 한남대대학원, 2000
최선화 - 가족치료 연구와 임상사례, 세종출판사
최선화·전영주 외 - 가족치료연구와 임상사례, 세종출판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9.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8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