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전문 사회사업의 관계 및 사회사업가들의 태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서론: 종교와 사회사업

2. 종교와 사회사업에 관한 일반적 문헌들

3. 교회의 전문 사회복지사업

4. 사회문제와 교회와의 관계

5. 교회에서의 사회사업과 사회사업가들의 태도

6. 전문 사회사업 실천에서의 신앙

7.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내에서도 총독부와 가톨릭 교회간의 어려원 여건으로 별다른 활동을 하디 못하였다. 1945년 해방을 맞은 한국 교회는 사회 복지 사업에 있어서 이후 매 10년 단위로 괄목할 만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1950년대에는 해방과 한국 전쟁으로 인한 수많은 전쟁 이재민을 구하기 위해 미국 가톨릭 구제회의 원조로 긴급 구호 사업을 벌였다. 동시에 이 시기에 사회 도처에서 볼 수 있었던 나병 환자들을 돕기 위해 나환우 의료 사업과 나환우 복지 사업에 치중하였다. 1960년대에는 국민 생활의 급박한 상황이 진정되어 긴급 구호 사업에서 국민 생활의 근분적인 안정을 위해 사회 게발 및 인간 개발 사업에 눈을 돌였다. 농촌 개발 사업을 위해서 농로 개설, 관개 시설 확충 및 보수 사업, 간척 사업, 축산업 장려등의 사업을 교회가 선도 하였다.
1970년대에와서는 정부의 경제 개발 계획이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도시 빈민 문제와 산업체 근로자들의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 운동에 적극적이었다. 이것은 당시 정치적 반독재 투쟁과 맞물려 교회의 사회 참여에 있어서 강.온 양면으로 갈려 방법론상의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1980년대에는 장애인 복지와 노인 복지에 관심을 보였고 아동 복지 사업도 이동 복지 사업 시설에서 아동 복지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미혼모 복지, 모자 복지에 관심을 돌려 더욱 발전된 사회 복지관을 나타내 보였다.
1990년대에 와서는 전문 사회 복지 사업에로 관심을 돌려 지금까지 물질적 원조이 차원에서 더욱 전문적인 사회 복지 서어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요보호 대상자들의 자립 재활에 더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단순한 물질적 원조보다 생활상의 어려움을 돕는 차원에서 자원 봉사자 교육을 통한 가정 봉사 사업을 시작하여 교회의 사회 복지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그 질을 높였다. 1993년은 한국 교회의 해외 원조 원년으로 기록될 획기적인 해가 되었다. 이국 교회로부터 도움을 받던 교회에서 1962년 자치 교구로 되면서 자구(自救)에 온갖 노력을 다해 왔는데 1993년을 기해 드디어 도움을 베푸는 교회로 발전한 것이다. 물론, 우리 주변에는 아직도 불우한 형제가 많이 있다. 가까운 이웃을 버려둔채, 멀리 있는 형제를 돕는다는 것은 모순된 행위라는 비판도 있음을 한국 교회는 알아야 한다. 국가의 벽을 뛰어넘듯이 가까운 본당이나 교구의 높은 벽을 허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한국 교회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참고 문헌
유홍렬, <한국 천주교회사>, 가톨릭 출판사, 1962
임진창, <한국의 사회발전과 가톨릭 교회의 역할> 서강대학교 사회문제연구소, 1976
Biestek, F. P., "The Non-Judgmental Attitude",Social Casework,34(6),1953.
Cross, Darry G. And Janet A.Khan.,"The Values of Three Practitioner Groups:Religious and Moral Aspects",Councelling and Values, 28(1).
Gallup,Gorge, Jr., The Gallup Report No.244-45, 1986.
Goldstein, Howard.,"The Neglected Moral Link In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31, 1986.
Gollub, S.L.,"A Critical Look At Religious Requirements in Adoption",Public Welfare, 32(2):23-28, 1974.
Gurin, G., J. Veroff, and S. Feld, Americans View Their Mental Health, New York: Basic Books, 1960.
Hall, M. P. and I.V. Howes, The Church in Social Work, London:Routledge and Kegan Paul, 1965.
Hammond, P.E. and B. Johnson, eds., American Mosaic: Social Patterns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Random House, 1970.
Henry, W.E., J.H. Sims, and S.L. Spray, The Fifth Profession: Becoming a Psychotherapist, San Francisco: Jossey-Bass, 1971.
Hoge, D.R. and E. DeZulueta, "Salience as a Condition for Various Consequences of Religious Commitment,"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24(1):21-38, 1985.
Howell-Thomas, D. Mutual Understanding: The Social Services and Christian Belief, London:Church Information Office, 1974.
Johnson, F.E., "Protestant Social Work," In R.H. Kurtz, ed., Social Work Year Book, pp.403-412,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1941.
Judah, E.H. "A Sprituality of Professional Service: A Sacramental Model,"Social Thought, 11(4):25-35, 1985.
McCarthy, K.D., Noblesse Oblige: Charity and Charity and Cultural Philanthropy in Chicago 1849-1929,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Marty, M.E. "Social Service: Godly and Godless," Social Service Review, 54:463-481, 1980.
  • 가격2,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9.02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