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자원개발론]지식기반사회에서 인간자원개발의 의미와 중요성 분석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Ⅲ. 인간자원개발 (HRD:Human Resources Development)의 의미
1. 인간자원개발의 개념
2. Nadler(1983)의 정의
3. Gilley & Eggland(1989)의 정의
4. Watkins(1989)의 정의
5. Chaofsky(1992)의 정의
6. 훈련, 교육, 개발의 개념적 구분
7. HR, HRM, HRD 개념적 구분과 기능
8. HRD의 역사적 발전과정

Ⅳ. 지식기반사회에서 인간자원개발의 의미와 중요성
1. 인간자원개발의 중요성
2. 인간자원개발 중 개인 개발의 중요성
3. 인간자원개발 중 경력개발의 중요성
4. 인간자원개발 중 조직개발의 중요성

Ⅴ. 정보화 및 지식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자원개발 교육정책

Ⅵ.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인간자원 개발 전략

Ⅶ.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상대학, 가상연수원, 가상학원 등을 들 수 있다. 가상학교들은 누구나 시공간의 제약 없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학교들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전통교육기관과 원격교육기관간의 상호역할분담이 명확하게 되어야 하며, 질 관리를 통하여 상호 인정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함과 동시에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는 누구나 프로그램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학사운영을 개방화하여야 한다.
4) 개인
시대적 배경에 따라 지식인은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고, 지식인이 되기 위한 개인의 노력도 다각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지식인을 사물지, 사실지, 방법지를 알고, 지식의 생성, 저장, 활용, 공유를 통한 지식고도화 과정에 필요한 마인드, 습관, 능력을 갖추며, 행동을 통해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조해 나가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지식인이 되기 위하여 개인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평생학습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자기능력을 개발하여야 한다. 지식과 기술이 급속한 속도로 변화되는 사회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평생학습을 통하여 자신을 지속적으로 개선·개발하려는 노력을 하고, 새로운 지식 및 기술 등을 체계화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둘째, 컴퓨터와 친구가 되어야 한다. 지식 창출의 주요 수단인 컴퓨터의 활용능력은 지식근로자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능력이므로, 학습자는 지속적인 컴퓨터 직무 교육을 통하여 컴퓨터 활용능력을 배양하여야 한다.
셋째, 영어는 필수조건이고, 제2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세계화 및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선진지식을 배울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지식의 보고인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통신 능력과 함께 외국어 실력도 겸비하여야 한다.
넷째,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의미에 대해 누구보다도 탁월한 감각(sense)을 가져야 한다. 학습자는 '어떻게' 일을 해야 하는지, '왜' 그 일을 해야 하는지를 인지하여야 하고, 더 나아가 수요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다섯째, 원만한 대인관계 능력을 가져야 한다. 학습자는 조직 내의 구성원 중에서 자신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해 줄 사람이 누구인지 알고 있어야 하고(know-who), 이들로부터 효과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원만한 대인관계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여섯째, 주체의식을 가져야 한다. 자신의 일에 대한 책임감과 권한의식, 즉 주체의식은 지식근로자가 가져야 할 필수조건으로,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개선, 개발, 혁신할 수 있는 기본 자세이다.
일곱째, 다국 문화를 이해하여야 한다. 우리의 삶의 장이 지구촌화되면서 우리의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는 물론 세계 어느 나라 국민과도 더불어 살 수 있도록, 다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더구나 21세기 '문화의 시대'에 걸맞게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그것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여러 문화를 넘나드는 '유랑적(diaspora)' 지식인이 필요한 시대이므로, 편협한 '자문화중심주의'에서 벗어나 글로벌한 문화감각을 지녀야 한다.
Ⅶ. 결 론
인간자원(Human Resource)이란 국가.사회 발전과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기술력, 정보력 그리고 도덕적 성숙 등 가치 있는 인간의 諸능력과 품성을 지칭한다. 따라서 인간자원의 개발.관리(Human Resource Development)는 국가 인적 자원의 효율적 개발과 활용을 위한 교육, 훈련, 기타 문화적 활동과 제도 개선을 포함한 국가.사회적 제반 노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기업체의 노동인력 수급 및 노동 생산성 증대와 같은 단기적.경제적 관점 뿐 아니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폭넓게 접근되어야 하는 것이다.
결국, 국가 차원에서 인적 자원의 개발.관리는 산업 인력의 수급을 중핵으로 하는 인력 개발(Manpower Development) 뿐만 아니라 국민의 기초 학력, 인성 및 도덕적 성숙 등을 포괄하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형성하고, 각종 제도 개선을 통해 국가의 총 인적 자원(Human Resource)의 효용도를 제고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개념이라 하겠다.
이렇듯 국가 차원에서 인적 자원의 개발.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오늘날 그것이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 산업정책연구원(IPS)은 국가경쟁력평가에서 인간자원이 그 핵심임을 시사하고 있다. 예컨대 러시아는 자연자원 부문은 1위, 인간자원 부문은 21위인 반면 일본은 자연자원 부문은 51위로 최하위이지만 인간자원은 1위로서 뚜렷한 대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 국가간 경쟁력 수준은 얼마나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국민들에게 내재된 소질, 적성, 능력을 깊고 넓게 발굴해 내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국민 전체를 하나의 단위로 하는 인적 자원의 개발.관리는 국가 발전 전략의 핵심이다. 이에 부응하여 OECD 회원국들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은 인간자원의 개발에 있다는 인식 아래 앞다투어 교육개혁을 추진하면서 인간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관리하는 국가 전략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전 세계 산업구조 및 고용 구조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생애경로 자체도 급속하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 적극 대비하기 위해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도 평생 동안 계속해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새로운 지식과 부가 가치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고 자료]
김희수, 글로벌 시대의 인간자원개발론, 원미사, 2007
이순묵 외, 인간자원관리프론티어, 박영사, 2007
예지각편집부, 인간자원개발론, 예지각(방통), 2008
정수진 외, 인간자원개발관리, 삼우사, 2005
T.J.서조바니, 주삼환 역, 인간자원장학, 한국학술정보, 2006
테렌스 R. 미첼, 임정빈 역, 인간자원관리론, 학지사, 2000
최정임, 인간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가이드, 학지사, 2002

추천자료

  • 가격3,8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8.09.2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