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회사업 실천과 케이스워크의 유용성 및 한계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교회의 사회봉사책임(social responsibility)

Ⅲ. 교회와 케이스워크의 변천 및 사회사업실천
1. 케이스워크의 정의와 변천
2. 현재의 사회사업실천 이론
3. 교회사회사업 실천의 특수성
4. 교회현장에서의 사회사업실천
(1) 사례의 설정 (Entry)
(2) 사례의 구성 (Plotting)
(3) 사례와의 결별 (Phasing Out)

Ⅳ. 교회사회사업 실천과 케이스워크의 유용성 및 한계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담자는 함께 그 동안의 진행과 성과에 대하여 함께 평가할 기회를 가지고 수정하거나 보완할 부분을 의논한다.
교회 사회사업에서는 아무래도 공식적인 지역사회의 기관들보다 느슨한 형태의 실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래서 평가나 종결도 공식적인 절차가 아니라 하나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맞이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내담자가 그 교회의 구성원이라면 종결이 더욱 불분명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언제든지 내담자는 다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 사례에 대한 피드백을 실천가에게 줄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시점에서 완전한 종결을 기대하는 것보다 사례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내담자가 조금씩 더 책임을 맡게되는 형태로 종결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Ⅳ. 교회사회사업 실천과 케이스워크의 유용성 및 한계점
교회 사회사업은 교회가 들어가 있는 어느 지역사회에서도 실천이 가능하다. 이것은 다른 사회복지 기관들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여 놓칠 수 있는 내담자 집단을 자연스럽게 사회복지의 실천 대상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적극적 사회사업 실천을 가능케 한다.
) Jane Ferguson, "The Congregation as Context for Social Work Practice" In Diana S. R. Garland (Ed) Church Social Work, (St. Davids, PA: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s in Social Work, 1992), p. 37.
또한 교회는 지역사회에서 쉽게 내담자들이 접근할 수 있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내담자들은 다른 공공 기관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차별이나 까다로운 절차 등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교회에서 행해지는 사회사업 실천은 다른 공적 기관에 비해 비공식적이며 교회에서 행하고 있는 여러 다른 활동들과 맞물려있다. 또한 교회에서 활동하는 실천가들은 지속적으로 그 지역 주민들과의 자연스러운 사회적 관계망을 유지하게 되며 이들의 삶에 주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교회 사회사업의 가장 큰 유용성은 어느 특정한 기관에서 할 수 없는 매우 광범위한 실천 영역을 가진다는 점이다. 교회가 원하고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면 예방적인 차원에서도 실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 지역 주민들과 함께 범죄를 대비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든지 위험한 지역 보수를 위해 해당 기관에 서비스를 요청하는 재난 방지에 대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도움을 요청하는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와주는 현실적인 차원의 실천도 할 수 있다. 이것은 어떤 인간의 욕구와 상황에 대하여도 관심과 보살핌을 주는 목회적 성격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교회만이 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회 사회사업이 광범위하게 실천될 수 있기까지는 많은 한계가 있다. 아직도 지역사회를 인식하지 못하고 지역사회를 향해 열려 있지 못한 교회가 많기 때문이다. 때로는 사회사업 실천이 신앙과 조화되지 못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는 사회사업 실천이 복음 전파를 훼방하는 교묘한 사탄의 활동으로 정죄받는 경우도 있다. 이렇듯 사회사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실천에 대한 교회의 의지가 부족한 것이 교회 사회사업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실천하는데 가장 큰 제약으로 남아있다고 하겠다.
참고 문헌
장인협, 「사회사업실천방법론 상」,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김기원, "교회의 사회적 기능" 한국기독교 사회복지회 편 「기독교와 사회복지」, 서울:도서출판 예안, 1995
이덕주, "한국 감리교회의 사회복지·봉사사업의 역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사회봉사의 이론과 실제」, 서울: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9
장인협,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실천방법론」,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Mary Richmond, What is Social Casework?,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1992
Florence Hollis & Mary E. Woods, Casework, A Psychosocial Therapy, New York:Random House, 1981
Helen Perlman, Social Casework A Problem Solving Proces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Karla Krogsrud Miley, Michael O'Melia & Brenda L. DuBois,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 An Empowering Approach, Boston:Allyn and Bacon, 1995
G. L. Grief, "The Ecosystem Perspective 'Meets the Press'", Social Work, 31, 1986
Daniel O. Moberg, The Church as a Social Institution, Grand Rapids:Baker Book House, 1984
Diana S. Richmond Garland (Ed), Church Social Work:Helping the Whole Person in the Context of the Church, ST.Davids, PA: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s in Social Work, 1992
Doeter T. Hessel, Social Ministry, Philadephia:Westminster Press, 1982
Louise C. Johnson, Social Work Practice:A Generalist Approach, Boston:Allyn and Bacon, 1995
Jane Ferguson, "The Congregation as Context for Social Work Practice" In Diana S. R. Garland (Ed) Church Social Work, St. Davids, PA: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s in Social Work, 1992
  • 가격2,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9.23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