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이의 생애
1. 가계
2. 학문적 인연
1) 퇴계 이황과의 만남
2) 제자 김장생-송시열
3. 주요 사건
1) 시대 상황
2) 일대기
4. 사후 평가
1) 왜란 전,후의『조선왕조실록』의 기록 비교
2)『율곡전서』
3) 시호와 문묘 배향

2. 성리학으로 본 이이의 사상
1. 태극음양론
2. 리기론
3. 사단칠정론
4. 심성론

3. 이이의 경세사상
1. 시대적 배경과 이이의 역사인식
2. 이이의 경세론

4. 사후 평가와 문묘종사의 문제
1. 이이의 사후 평가 논란의 배경
2. 문묘종사 논쟁
3. 이이의 문묘종사 논란
4. 이이 사후의 평가 논란의 재조명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 탄력적인 현실적용의 방안을 모색하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들은 분대론자들과는 달리 엄격한 군자/소인의 구분을 피하고 분대론자들과는 달리 정치참여를 통해 서인과의 일정한 견제구조의 확립을 지향하였다. 이에 따라 이이의 문묘 종사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릴 때에도 소극적이며 신중한 자세를 견지하였다. 이우당(二愚堂) 권환이 유직의 상소에 참여하는 아들에게 보낸 서신, 졸재(拙齋) 유원지가 이이의 이황 비판이 폄하를 위한 것이 아닌 학문적 소견이 달랐다고 평한 부분에서 이러한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설석규, 위의 논문 p. 71, p.75
결국 영남학파의 이이 비판과 문묘 종사 반대는 이이의 학설을 리기일물(理氣一物)을 논한 것이라이라 판단하고, 거기서 드러나는 서경덕과 나흠순, 육왕학과 불가의 영향을 비판하려는 성리학적인 의도 외에, 리기묘합론을 근거로 하는 보합론(保合論)을 표방하고 있던 서인 정권의 정통성을 부정하겠다는 정치적인 의도가 존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이이 사후의 평가 논란의 재조명
문묘에 종사된 조선의 유현은 신라시대의 최치원과 설총, 고려시대의 안향과 정몽주, 조선시대의 인물로 앞서 말한 동방오현 외에 이이, 성혼, 김장생, 송시열, 송준길, 박세채, 조헌, 김집, 김린후까지 총 18인이다. 문묘에 종사된 이들 18현인 중 가장 치열한 정치적 논란을 거쳤으며, 종향과 출향, 복향의 지난한 과정을 거친 인물은 오직 17세기의 이이와 성혼이 유이(唯二)하다. 더불어 동방오현 이후 문묘에 종사된 인물이 모두 서인 계통이라는 점 역시 중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두 가지 점 때문에 이이의 문묘 종사는 붕당간의 치열한 갈등이라는 당쟁사(黨爭史)의 측면에서 조명 받아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이의 문묘 종사를 둘러싼 논란을 붕당간의 갈등으로만 이해하는 것은 17세기의 시대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처사라고 할 수 있다. 앞서도 밝혔듯이 문묘 종사를 둘러싼 갈등 속에는 정치적 의도 외에도 학통을 둘러싼 성리학적인 정통성을 획득하려는 의도가 들어있었기 때문이다. 성리학적인 정통성, 곧 도통(道統)을 획득하려는 갈등이 치열하게 전개된 것은 성리학적인 세계 인식이 당시 사회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각 학파의 성리학적 인식은 그들의 정치 철학과 사회 사상의 근저를 이루고 있었고, 그에 따라 각 학파가 정파로 정립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 학파 간에 성리학적인 견해 차이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란은 단순한 사변적인 철학적 논쟁이나 정치 투쟁을 넘어선, 조선 사회의 지배 원리를 확정하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곧, 조선에 성리학이 들어온 후 나름대로의 과정을 거쳐 조선만의 특징을 지니게 되는 과정의 최종 국면인 것이다. 16세기 조헌이 명의 예부에 올린 글, 그리고 명/청의 문묘리정과는 독립적으로 진행된 17세기의 문묘리정 과정을 통해 이 점을 살펴볼 수 있다. 곧 조선성리학의 성립 여부에 대한 견해와는 별개로, 적어도 조선만의 독특한 성리학 해석은 분명히 존재했던 것이다. 정옥자, 앞의 논문 참조.
현재 이황과 이이에 대한 인식을 보면, 그들 학설 간의 치열한 주도권 경쟁은 망각된 채, 마치 이황이 성리학을 정립시키고 그것을 이어받아 이이가 성리학을 완성시켰다는 식의 피상적인 인식이 지배적이다. 그러한 평가는 일견 타당하나, 그 과정에서 벌어진 각 학설, 학파간의 논쟁이 갖는 의미를 사장시키는 식으로 귀결될 위험이 높다. 그보다는, 17세기에 벌어진 학파간의 각축의 성리학적 의미, 정치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조선 사회의 변화를 인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이 한국 사상사에서 율곡 이이가 지니는 의미를 온전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길일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오, 1980, 「黨爭史의 立場에서 본 李珥의 文廟從祀問題」, 『全北史學』 4
이희권, 1983, 「東方五賢의 文廟從祀 小考」, 『全北史學』 7
정옥자, 1986, 「朝鮮後期 文廟祀典의 釐正」, 『韓國文化』7
이종호, 1994, 『율곡 인간과 사상』, 지식산업사
최영성, 1995, 『한국유학사상사 Ⅱ』, 아세아문화사
황준연, 1995, 『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
조남국, 1997,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윤리』, 교육과학사
황의동, 1998,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1』, 서광사
황의동, 1998,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2』, 서광사
장숙필, 1999, 「율곡의 십만양병설에 대한 소고」, 『율곡학보』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0,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아 본 율곡이이』
설석규, 2000, 「17세기 退溪學派의 朋黨認識과 公論形成」, 『퇴계학』11
전정희, 2000, 「율곡의 개혁사상과 사상사적 의의」, 『한국정치학회보』
황준연, 2000, 『이율곡-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출판부
유명종, 2002, 『율곡의 학풍과 사상』,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이기남, 2002, 「李珥의 十萬養兵論에 대한 재검토」, 『율곡사상연구』
이동인, 2004, 『율곡의 사회개혁사상』, 백산서당
김준석, 2005, 「17세기 畿湖朱子學의 동향」,『韓國 中世 儒敎政治思想史論 Ⅰ』
우경섭, 2006「宋時烈의 道統論과 文廟釐正 논의」, 『韓國文化』37
최복희, 2006, 「李珥의 정치 개혁 사상」, 『한국철학논집』
인터넷 http://100.naver.com/100.nhn?docid=123949
네이버 백과사전-http://kref.naver.com/doc.naver?docid=698686
*목차
1. 이이의 생애
1. 가계
2. 학문적 인연
1) 퇴계 이황과의 만남
2) 제자 김장생-송시열
3. 주요 사건
1) 시대 상황
2) 일대기
4. 사후 평가
1) 왜란 전,후의『조선왕조실록』의 기록 비교
2)『율곡전서』
3) 시호와 문묘 배향
2. 성리학으로 본 이이의 사상
1. 태극음양론
2. 리기론
3. 사단칠정론
4. 심성론
3. 이이의 경세사상
1. 시대적 배경과 이이의 역사인식
2. 이이의 경세론
4. 사후 평가와 문묘종사의 문제
1. 이이의 사후 평가 논란의 배경
2. 문묘종사 논쟁
3. 이이의 문묘종사 논란
4. 이이 사후의 평가 논란의 재조명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9.24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