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벼 품종개발을 위한 배유돌연변이 계통의 쌀 품질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언

Ⅱ. 쌀의 일반성분 조성 및 특성
1. 일반 성분 조성
2. 수분의 분포

III.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2.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
3. 취반특성
4. 물성측정
5. 전분제조 및 입도분포 측정
6. 전분특성
7. 쌀식빵 제조
8. 관능검사

IV. 결과 및 분석
1. 백미의 이화학적 성분
2. 쌀의 취반후 물성 및 관능특성
3. 쌀전분의 이화학적 성분
4. 쌀식빵의 관능특성

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고, 품종별 gel consistency는 수원461호가 41㎜로 hard gel consistency를 보였으며 아밀로그램 특성에서도 가장 높은 setback을 보였다. 취반후 경도는 화성벼에서 가장 높았으며 밀양162호는 취반 후 가열흡수율과 팽창용적이 가장 컸다. 취반후 관능검사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아밀로스 함량이 가장 낮았던 수원460호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쌀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밀양162호와 수원460호에서 각각 14.5%와 11.0%였다. 전분의 물 결합능력은 아밀로스 함량이 적은 시료에서 더 크게 조사되었고, 용해도와 팽윤력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특히 용해도에서는 아밀로스 함량이 적을수록 증가가 적었다. 입도분포 측정결과 입자크기는 화성벼가 29.93㎛로 가장 작았고, 수원460호가 40.22㎛로 가장 컸다. 쌀가루를 30%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 관능검사는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참고문헌
Boo KS, Im JN and Yun SK 1998. Retrospects and prospects for agricultural research in korea. A half century of korean agriculture-past and future-.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agricultural science for the 50th anniversary of the republic of korea. 129∼194.
Cagampang GB, Prerz CM, and Juliano BO 1973. Agel consisgency test for eating quality of rice. J. Sci. Food Agric. 24 : 1589.
Chung RW 1994. Studies on improvement of aged rice quality with enzyme treatment in cooked rice and paeksolgi
Juliano BO 1971.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rice amylose. Cereal Sci. Today 16(10) : 334
Kim HS, Lee MS and Woo JW 1988.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waxy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6) : 794∼811.
Kum JS, Lee CH, Baek KH, Lee SH and Lee HY 1995. Influence of cultivar on rice starch and coo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 : 365∼369.
Leach HW , McCowen LD, and Schoch TJ 1959. Structure of the starch granule. Ⅰ.Swelling and solubility patterns of various starches. Cereal Chem., 36 : 534∼544.
Lee SY, Pyun YR, Cho HY, Yu JH and Lee SK 1984. Flow behaviors of native and gelatinized rice starch solu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1) : 29∼36.
Lii CY, Tsai ML and Ts8eng KH 1996. Effect of amylose content on the rheological property of rice starch. Cereal Chem. 73(4) : 415∼420.
Medcalf DG and Gilles KA 1965. Wheat starch. Ⅰ.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al Chem., 42 : 558∼568.
Song JY and Shin MS 1998. Solubility patterns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es.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1(7) : 516∼521.
Yoon GS 198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barley starch. Ph. D. these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9.2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