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유럽연합][EU][미국][한국]바이오산업의 정의, 바이오산업의 특성과 바이오산업의 발전단계 및 유럽연합(EU)의 바이오산업, 미국의 바이오산업, 아시아의 바이오산업, 한국의 바이오산업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이오산업][유럽연합][EU][미국][한국]바이오산업의 정의, 바이오산업의 특성과 바이오산업의 발전단계 및 유럽연합(EU)의 바이오산업, 미국의 바이오산업, 아시아의 바이오산업, 한국의 바이오산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바이오산업의 정의

Ⅲ. 바이오산업의 특징
1. 기술, 지식 집약적 고부가 가치 산업
2. 첨단산업 중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산업
3. 사회적․제도적 인식전환과 보완이 필요

Ⅳ. 바이오산업의 발전단계
1. 생명과학
2. 바이오기술
3. 바이오산업
4. 바이오사회

Ⅴ. 유럽연합(EU)의 바이오산업
1. 시장규모
2. 연구개발 투자현황
3. 특허취득현황
4. 벤처투자기금의 투자현황

Ⅵ. 미국의 바이오산업
1. 전략적 제휴의 증가
2. 대규모 제약회사들의 시장점유 동향
3. 바이오산업의 미국경제에 대한 기여도

Ⅶ. 아시아의 바이오산업
1. 싱가포르
2. 인도네시아

Ⅷ. 한국의 바이오산업
1. 바이오산업 정책 추진 경과
2.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1) 기술경쟁력
2) 바이오산업 자원
3) 산업화 수준

참고문헌

본문내용

CNPR은 설립 초부터 영국제약회사인 그락소 웰컴(Glaxo Wellcome)이 관여하여 현재 공동으로 아시아 전체의 생물다양성 자원 정보를 정비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작업이 완성되면 싱가포르는 아시아 지역의 생물·유전자 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상당한 우위를 점하게 될 것으로 보여 향후 세계 수준의 바이오 산업 기술을 보유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싱가포르 정부는 국립대학 내에 바이오정보 공학 센터(Bioinfomatics Centre)를 설립하여 바이오 산업 기술과 IT 기술의 융합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생물다양성 자원의 보전과 자원정보의 정비에 노력하고 있으며 농업생산의 향상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정부는 생물다양성 자원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채택된 \'생물다양성조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을 개도국 중에서도 가장 먼저 추진하였고,\'국가 생물다양성 실천계획\'(National Biodiversity Action Plan)\'을 발표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국제원조기관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에 대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미래의 효과적 이용을 위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인도네시아의 생물다양성 자원으로부터 약품개발에 따른 收入이 연간 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 정부는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젝트에 연간 약 22억 ~33억 달러에 이르는 막대한 예산을 배정하고 있어, 기술 발전이 가시화되면 인도네시아는 바이오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Ⅷ. 한국의 바이오산업
1. 바이오산업 정책 추진 경과
우리의 경우 선진국에 10여년 뒤진 80년대에 바이오산업 연구기반 구축에 착수하여, 산업화 초기단계로 진입
80년대 : 기술도입 및 연구개발기
유전공학연구조합 설립, 유전공학육성법 제정
유전자재조합기술 등 바이오분야 R&D 지원 시작
90년대 : 산업화 태동기
-생물산업협회 설립, 생명공학육성계획 수립
-바이오 벤처기업 등장(마크로젠)
대규모 지원사업이 착수되고 범정부적 지원 노력 시도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과기부), 중기거점 및 차세대 산업기술개발사업(산자부) 등
대통령 주재로 관계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바이오산업 발전방안 수립
-바이오기술산업위원회 구성 등 추진체계 정비
-유전자변형생물체의국가간이동등에관한법률 제정
-R&D와 산업화 인프라 조성에 역점
그러나, 그 동안의 민·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바이오산업 발전여건 및 경쟁력은 아직 취약한 실정
2.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1) 기술경쟁력
동·식물 형질전환 기술, 발효공정, 분리정체기술 등은 선진국 수준이나, 전반적인 기술경쟁력은 세계 14위에 불과
기술경쟁력 순위 : ①미국 ②영국 ③일본 ④독일 ⑤프랑스 ⑬중국 ⑭한국
바이오분야 특허등록도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열위
2) 바이오산업 자원
정부 투자
큰 폭으로 성장하여 4,500억원 수준
정부 전체 R&D예산대비 바이오분야 비중은 8% 수준
-바이오분야 비중 : 3.5% → 5% → 8%
-연평균 증가율 : 바이오분야 46.0%, 정부전체 R&D 19.4%
그러나, 총액규모는 미국 기업 1개 수준에도 못미침
-Amgen社 : 8.5억불/년, Genentech社 : 4.9억불/년
전문인력
현재 바이오산업분야 전문인력은 9,322명 수준
대학 5,224명, 기업 2,701명, 연구소 1,467명
첨단기술분야를 중심으로 수급면에서 질적 부균형이 심각
-유전체학·단백질체학·생물정보학 : 9,470명의 신규수요가 예상되나 공급은 3,080명(수요의 33%)에 불과하여 6,390명 부족 예상
3) 산업화 수준
시장규모
전통기술의 신기술 대체, 신기술 제품의 증가로 국내 바이오산업은 급속히 확대되어 약 9,000억원 수준으로 성장
바이오벤처기업
벤처 열풍, 정부지원 확대 등으로 바이오벤처창업이 급증하여 작년말기준 약 600개로 추정
* 벤처 확인 기업은 400여개로 전체의 3.5% 수준
참고문헌
김범수(2002. 1) - 바이오 연구동향. 약물전달 기술의 전망
김치훈(2001) - 국내 바이오 기업의 향후 수익모델. 동양증권
데이코산업연구소(2004) - 한국 바이오산업연감 2004-2005
이주영(2002.7) - 바이오혁명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소(2000) - 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용기술 개발 기획연구
현병환(1999) - 바이오 의약산업의 현황과 전망. 생명공학연구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