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축제의 커뮤니케이션적 성격과 지역언론의 올바른 역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지역축제와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성격
1) 축제에 관한 개념정의
2) 축제의 커뮤니케이션적 의미
3) 지역사회와 축제의 성격
4) 지역축제의 현대적 기능
5) 지역축제의 현대적 성격과 본질
6) 지역축제의 커뮤니케이션적 구조와 실태

3. 대구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지역축제의 현황
1) 대구지역의 문화적 특성
2) 대구지역의 축제 현황
3) 대구지역 축제에서의 문제점

4.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언론의 관심도 및 문제점
1)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언론의 관심도
2) 지역축제를 다루는 지역언론의 문제점

5.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언론의 올바른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제 지역문화는 결코 중앙문화에 예속된 변두리문화에 머무를 수는 없다. 이 같은 관점에서 앞서 파악해 본 문제점들을 근거로 지역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지역언론의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김세철, 1992 참조).
첫째, 언론을 포함한 문화정책 자체가 민주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문화의 지방분권화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요구를 실현시켜 가는 역할이 지역언론이 해야 할 핵심적 과제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관료적이고 중앙집권적인 문화정책에서 벗어나 지역적 개별성에 맞는 지역문화를 이루어 나가겠다는 행정당국의 의지와, 이에 따른 법제의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풍토와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이제는 지역축제에서도 관 주도의 전시행정 논리를 지양하고, 축제의 기획에서부터 전 과정에 주민이 주인으로 참여해서 자발성과 창의성이 보장되는 진정한 문화축제가 되어야 한다.
둘째, 그러나 민간 기구가 주도한다고 해서 곧바로 축제가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내용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내용이다. 축제의 민주성과 자율성 그리고 다양성과 협력의 원칙을 지켜갈 때에만, 지역축제는 문화의 재생산과 주민통합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지역축제를 포함한 지역문화 전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언론 자체의 개혁의지가 실천적 차원에서 요구된다. 특히 언론의 공적 성격은 곧바로 그 기능과 역할이 사회적 책임과 연결되어 진다. 따라서 지역언론은 과감한 재정적 투자를 통해서 우리 삶의 터전을 윤택하게 가꿀 수 있는 지역문화의 육성과, 특히 지역축제에 대한 보다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축제를 포함한 지역문화 육성을 위한 지역언론의 성공 여부는 결국 전담 인력들의 조건에 달려 있다. 우선 행사의 주최나 언론에서는 전담부서에 전문적인 인력을 충분하게 확보한 후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축제의 내용에 따라 지역사회 각 분야의 전문인들과, 특히 예술, 기업, 대학, 시민단체와 같은 전문적인 조직과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발상의 전환을 통해서 개혁적인 문화단체에도 문호를 개방해서 축제의 내용을 다각화 시켜야 한다.
넷째, 지역문화는 고유한 생활양식으로서 한 지역의 삶의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사회적 지표다. 이 같은 관점에서 지역축제는 지역민들에 의해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독창적인 지역문화인 셈이다. 여기에서 지역언론은 지역민에게 생산과 소비주체로서 민족문화의 뿌리를 형성하고 세계문화 발전에 기여한다는 자부심을 심어 주어야 한다. 이제 지역축제는 그 지역사회가 오랫동안 전승해서 발전시켜 온 고유한 향토문화를 새롭게 재현하고 보존함으로써 지역민들의 동질성과 유대의식을 강화시키고 자부심과 긍지를 키워주는 내용이어야 할 것이다. 결국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민의 올바른 의식개혁은 지역언론의 깊은 관심과 배려속에서 굳건하게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세철, 지방자치와 언론, 「언론연구」 제7집, 계명대 1995
김세철 외, 「지역사회와 언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김재홍.백선기.정걸진, 지역언론과 사회, 「성곡논총」 제27집 3권, 성곡학술문화재단 1990
김태경/최기수, 축제의 개념 및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996
김혜옥, 「지역문화예술 축제에 관한 연구」, 단국대 1994
이기태, 경북의 축제현황과 과제, 「향토사연구」 제9호,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7
이상일, 「놀이문화와 축제」, 성균관대학출판부 1988
이창경, 향토축제의 특징화와 개선방안의 모색, 「문화예술논총」 3, 한국문예진흥원 1991
임연철, 자치시대 문화행정 정착을 위한 제언, 「지방행정」 1994/ 10,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임재해, 「한국민속사 입문」, 지식산업사 1996
장철수, 향토축제와 현대사회, 「향토축제의 가능성과 미래」, 방일영문화재단 1994
정강환, 지역활성화를 위한 이벤트와 지역축제, 「지방행정연구」 제41호, 1996/11
조홍윤, 한국적 향토축제의 정립, 「민족과 문화」 3, 한양대 문족학연구소 1995
천진기, 향토축제의 합법칙성 모색, 「향토사연구」 제9호,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7
최운식, 「한국민속학 개론」, 민속원 1998
최인학, 지역축제의 과제와 전망, 「향토사연구」 제9호,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7
한양명, 한국 지역축제문화의 재조명, 비교민속학회 1995
Duvignaud, Jean, 류정아(역), 「축제와 문명」, 한길사 1998
Poplin, Dennis E., 홍동식/박대식 공역, 「지역사회학」, 경문사 1985
Fiske, J., Reading the Popular, Unhim Hyman 1989
Jarren, Otfried, Kommunale Kommunikation, Munchen 1985
Parsons, Talcott, The Social System, New York/London, 1966
Purr, Heinz, Einfuhrung in die Publizistikwissenschaft, Munchen 1981
Tylor, Edword B., Primitive Culture, London 1871
Willems-Braun, B., Situating Cultural Politics: Fringe Festivals and the Production of Space of Intersubjectivity, EPD 12(1), pp.75-104
Zukin, S., Landscape of Power: From Detroit to Disney Land, Uni. of Calif. Press 1991
문화관광부 http://www.mct.go.kr/festival
매일신문 http://www.m2000.co.kr
영남일보 http://www.yeongnam.co.kr
대구광역시청 http://www.metro.taegu.kr
달서구청 http://www.gu.talso.taegu.kr
수성구청 http://www.gu.susong.taegu.kr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10.0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