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외교정책][외교정책][대미외교][미국][외교]미국외교정책의 이념, 의의, 목표와 미국외교정책의 변화, 전개 및 미국외교정책의 흐름 분석(브라질의 대미외교관계, 북한의 대미외교관계, 일본의 대미외교관계)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외교정책][외교정책][대미외교][미국][외교]미국외교정책의 이념, 의의, 목표와 미국외교정책의 변화, 전개 및 미국외교정책의 흐름 분석(브라질의 대미외교관계, 북한의 대미외교관계, 일본의 대미외교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외교정책의 이념

Ⅲ. 미국 외교정책의 의의
1. 안보정책
2. 자유무역정책
3. 민주주의 확립정책

Ⅳ. 미국 외교정책의 목표

Ⅴ. 911테러 이후 미국 외교정책의 변화

Ⅵ. 미국 외교정책의 전개
1. 현대 미국 외교정책 형성 요인
2. 현대 미국의 외교정책
3. 신국가안보전략서에 나타난 미국의 대외정책

Ⅶ. 미국 외교정책의 흐름

Ⅷ. 브라질의 대미외교 관계

Ⅸ. 북한의 대미외교 관계

Ⅹ. 북한의 대미 군사외교 전략
1. 핵 문제
2. 미사일 문제

Ⅺ. 일본의 대미외교 관계
1. 전후 미-일 관계
2. 미-일 신 안보선언
3. 주일 미군의 필요성
4. 미일동맹의 영향으로 중국을 바라보는 견해

Ⅻ.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출 중단에 대해서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택하기보다는 북한 미사일문제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북한의 약속 이행에 대한 검증을 철저히 이행하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미사일 문제를 둘러싼 북·미간의 신경전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일본의 대미외교 관계
1. 전후 미-일 관계
미군의 일본주둔 및 일본의 비용부담-주둔 비용의 70%를 일본이 부담하는 이상한 관계라고 역설하기도 한다. 미국에 의한 일방적 관계-일본 내부에서는 불평등한 관계라는 인식의 확산과 보다 균등한 협약, 동맹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2. 미-일 신 안보선언
하시모토 총리와 클린턴 대통령 공동 성명,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에 적극참여 의지표명
미일방위협력지침을 통한 동맹 관계 재구축
3. 주일 미군의 필요성
오키나와현에 47,000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불안한 상황이 원인이었으나, 중국의 성장에 대한 인식의 측면이 보인다. 한반도 및 대만해협, 센카쿠 열도, 남사군도, 쿠릴열도 등 동북아 지역의 안보 상황에 대처한다.
4. 미일동맹의 영향으로 중국을 바라보는 견해
중국을 바라보는 긍정적 시각-일본의 중국에 대한 경제 원조, 투자 →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 → 장긱적으로 볼 때, 지역경제, 다국적 조직의 성공적인 통합에 기여한다.
중국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 (중국 견제의 측면이 큼)-중국은 정치, 경제적으로 빠르게 발전을 이루고 있다. 재래식 무기의 개량이라는 명목하에 군비가 팽창중이다.
. 결론
세계 중심국가로서의 신한국의 대외정책의 대전략(grand strategy) 은 미래 지향적인 포괄적 안보(comprehensive security) 에 기초해서 군사 안보와 경제 안보를 연계시키며 동시에 추구되는 것이어야 한다. 미래 지향적이라 함은 세계 질서의 변화에 대응함은 물론 통일 이후 시대의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염두에 둔 중장기적인 전략을 의미하며 이의 전개는 한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신세계 질서의 주요 특성이 되고 있는 경제 통상 부분에서의 역할로부터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우선 일차적으로 한국의 영향력이 행사될 수 있는 APEC 내지는 신태평양공동체 구상, 혹은 환동해 내지는 환황해 경제권을 발전시켜 이를 기초로 아세아 안보포럼이나 동북아 안보협력호의(CSCNEA) 등으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경제적 분야의 기능적 협력 내지는 통합이 안보적 협력으로 확대 발전되도록 하는 先경제 後군사적 접근 방법을 택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그렇게 해야만 아직도 냉전적 요소가 남아 있고 동북아에서 특히 북한을 지역협력체의 일원으로 끌어들여 통일의 기반과 평화의 기틀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Ⅴ태 지역에서의 先경제 後군사적 접근 방법이 한반도의 현실적인 군사적 위험성을 과소 평가해서는 결코 안된다. 이점은 아직도 한반도에서 한·미 간의 군사 동맹체제의 경고함이 필요한 부분이며 일본의 신방위 구상이 냉전 이후 시대에 미·일 군사동맹관계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는 데서 시사하는 바가 있는 것이다. 여하튼 21세기 중심국가를 향한 한국의 신외교전략은 장기 국가 발전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는 세계화 전략을 배경으로 경제 안보와 군사 안보의 연결을 통한 아·태 지역에서 한국 외교의 역할과 영향력 증대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이 유의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유엔의 역할 증대를 감안하여 유엔의 평화 유지 활동(PKO)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은 물론 지구촌 공동의 문제인 사회 개발(social development)을 위한 재정 부담을 수용해야 하고, 특히 지구촌의 빈곤타파를 위한 개도국에 대한 공적개발지원금(ODA)을 선진국 수준으로 증액시켜 OECD 국가로서의 위상을 유지함은 물론 자칫 소원해 지기 쉬운 G-77 집단과의 관계도 계속 원만히 유지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세계화 추세 하의 지역주의의 팽배에 대응하기 위하여 크게는 신태평양 공동체 구상을 발전시켜 나가고 좀더 구체적으로는 APEC이나 CSCEA 등과 같은 지역협력회의를 점차 기구화하여 지역 공동의 경제 이익과 안보 이익을 추구하면서 그 속에서 한국의 국가이익을 확대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한반도의 지정치적 내지는 지전략적 위치를 십분활용하되 주변 4강의 관계가 갈등 아닌 화해의 방향으로 전개 되도록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나친 대 미 일변도가 아닌 주변 4강과의 비교적 등거리적 외교 관계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넷째, 신세계 질서의 주류가 경제 질서에 의해 주도될 것임을 감안하여 통상외교정책을 신외교 전략의 중심 축으로 설정하고 경제력의 외교력화를 본격 추진해야 한다. 점차 세력 균형은 무역 균형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바 경제통상 외교의 강화는 국가 생존의 전략적 차원에서 강력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 이를 위한 외무부의 기구 격상 및 조직의 활성화를 통한 외교 역량의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단기적으로 북한으로 부터의 군사적 위협과 체제적 위협을 억지시켜 나가면서 장기적으로 외곽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한국 우위의 통일환경을 조성하게 되고, 21세기 중심국가로 부상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기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 갈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갑철 - 강대국과 한반도: 4강 체제와 한국통일, 일신사, 1979
김덕중 - 미국의 대 중국 정책.\" 미국의 동북아 정책, 73-105. 서울: 세종 연구소, 1995
김용호 - 외교정책의 지속과 가변성, 한림대 교수
백봉종 - 현대 지구촌 외교사, 도서출판 선인
신희석 - 일본의 외교정책, 서울: 을유문화사, 1997
오기평 - 한국외교론, 오름, 1994년
윤덕민 - 일본의 한반도 정책과 협력방안 (2권 3호), 2000
이종원 - 미국외교정책에 있어 국가이익의 제한 요인연구: 베트남전쟁, 걸프전쟁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치학과, 1999
정은숙편 - 미·중·일·러의 대북정책, 서울: 세종연구소
제임스 E. 도거티, 로버트 L. 필츠그라프 지음 - 미국외교 정책사: 루스벨트에서 레이건까지, 한올아카데미, 1997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10.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9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