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례 조사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도입

Ⅱ. 본론
1. 혼례란?
2. 혼인이란?
- 혼인의 의의
3. 혼인의 적령
4. 혼인의 정신
(1) 삼서정신(三誓精神)
(2) 평등정신(平等精神)
5. 전통혼례의 유래와 변천
6. 혼례의 절차
<1> 의혼
<2> 납채(納采=사성(四星))
<3> 납폐(納幣: 함보내기)
<4> 혼인예식(婚姻禮式) 친영(親迎: 대례라고도 함)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지런하고 공경하여 항상 너의 규문(閨門)의 예(禮)를 어기지 마라.」하고 초례(醮禮)에 나가게 하는 것이다.
친영의 내용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내용이 ‘친히 몸소 가서 모셔온다.’이다.
친히 몸소 가서 모셔오는 것이 하나의 관습이 되었는데, 여기에서 처(妻)와 첩(妾)을 구분하게 된다. 처(妻)는 친영(親迎)을 치름으로써 처가 되어 신랑과 신부의 계급이 동등하여 지는 것이고, 첩(妾)은 친영을 안 치루고 그냥 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육례(六禮)중 오례(五禮: 납채,문명,납길,납폐,청기)보다 친영(親迎)이 더 중요하다.
* 우귀(于歸)
우귀란 신행(新行)이라고도 한다. 신부가 정식으로 신랑집에 입주하는의식이다. 신부가 신랑집으로 갈 때 신부의 아버지 아니면 친척 중에서 가까운 분이 신부를 데리고 간다.
* 현구례
현구례는 신부가 처음으로 신랑의 부모와 친척에게 인사를 하는 의식으로 우귀일 또는 다음날 아침에 행한다. 이 때 시조부모가 생존하여도 시부모에게 먼저 인사를 드린 후 시조부모의 처소로 가서 인사를 하며 그후 촌수와 항렬의 순서에 따라 인사하면 된다. 신부는 이 예를 올리기 위해 시부모에게 드릴 음식을 준비하여 가는데 이를 폐백이라 했다.
<현구고례절차>
1. 신부는 양쪽 수모의 도움을 받으며 시부모에게 각각 네 번 큰절을 올린다.
2. 앉을 때는 수모가 먼저 앉고, 일어설 때는 신부가 먼저 일어선다.
3. 네 번 큰절을 한 뒤에는 반절을 하고 뒤로 물러선다.
4. 시부모는 신부의 치마에 대추를 던져 주며 아들을 낳으라는 등의 덕담(德談)을 해준다. 대추는 부귀(富貴)와 다남(多男)을 의미한다.
5. 신부가 다시 앉으면 시아버지는 대추를 며느리 치마 앞에 던져 준다. 수모는 그것을 받 아 신부 원삼 안에 넣어 주면서 첫아들을 낳으라는 등 잘되기를 비는 덕담(德談)을 한 뒤, 그릇에 옮겨 신부 방에 갖다 놓아 밤에 먹도록 한다. 이 때 시어머니는 편포 위를 두드리며 어루만진다. 이것은 신부의 흉허물을 덮어 달라는 것이다. 시어머니는 신부에게 대추를 던져 주지 않는다. 만일 시아버지가 없을 때는 사당에 고하여 폐백하여 나온 다 음에, 시어머니가 "이것이 너의 시아버지께서 주시는 것이다." 하며 대추 몇 개를 그릇에 담아 며느리에게 준다. 시부모에게 폐백을 드리고 나면 폐백은 수모가 물리고 빈상만 놓아두고 다른 친족들에게 예수를 드리게 한다. 시조부모가 계시면 두 분의 폐백도 따 로 준비하여, 시부모에게와 똑같이 폐백을 드리게 한다. 친족에게는 폐백이 없고 절만 하게 한다. 시삼촌, 시고모 등 항렬이 높은 어른에게는 내외분이 함께 앉게 하여 4배를 한다. 같은 항렬은 선후를 따져 손 윗분에게 한 번씩(내외가 같이 앉을 때는 두 번)하 고, 손아래에게 저쪽에서 먼저 절을 하면 답례로 맞절을 한다. 이 절차가 끝나면 신 부는 신랑의 저쪽으로서 자연스럽게 행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신부가 마련한 여러 가 지 선물을 직계·친척·인척 순으로 나눠주고, 신랑 측에서도 신부에게 선물이나 축의금 을 준다.
<폐백 드리는 절차>
(1) 대추를 시아버지에게 드리고 큰 절을 올린다.
(2) 포를 시어머니에게 드리고 큰 절을 한다.
(3) 시아버지는 대추를 며느리에게 던져 주는데, 이것은 아들을 낳아 가계를 계승하라는 의미이다.
(4) 백부 숙부 내외, 시삼촌, 시고모 순으로 절을 하고 시누이와 시동생과는 맞절을 한다.
(5) 시조부모가 있다 하더라도 시부모에게 먼저 절을 하고 나서 그 다음에 시조부모에게 절 하는 것이 원칙이다.
* 근친(覲親)
신부가 시집에 와서 생활하다가 처음으로 친정에 가는 것을 근친이라고 한다. 근친 때에는 신랑이 동행하며 이 때 장모가 사위를데리고 친척집을 다니면서 인사를 시키는 것이다.
Ⅲ. 결 론
우리 조상들은 예를 중요시 하였다. 무엇보다 결혼이라 함은 두 집안의 만남으로 소중히 여기고 예를 차리면서 두 남녀의 앞날을 축복해 주기 위해 마을 사람들 모두 모여 잔치를 벌이는 흥겹고도 중요한 날이었다. 사진에서 본 풍경에서도 흥겨움을 느낄 수 있었고 자료를 조사하면서 엄중함도 느껴졌다. 그만큼 우리 조상들이 결혼에 대해 신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현대의 결혼식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일가친척들이 두 남녀의 새로운 출발을 위해 축하해주고 흥겨운 날임은 현대에도 동일하지만, 혼인 준비 과정에서 많은 커플들이 다투고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세월이 흘러갈수록 물질적인 면에 치중되어가고 있는 결혼 문화가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 서로 각자의 집안에 예를 표현하기 위해 준비했던 혼수, 함, 친지를 위한 선물들은 모두 자신의 위치와 명예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치부되어가고 있다. 다른 집안 보다 혼수가 못하다면 흠 잡힌다는 생각을 하고 좀 더 비싸고 질 좋은 혼수를 원하는 부모들도 있다. 이런 식의 퇴색이 되어 조상들의 결혼 문화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우리나라 혼례문화도 전통에 입각해 예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해야 하며 새천년의 혼례는 가족축제로서의 의미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이를 위해 지금까지 혼례제도에서 빚어진 계층 간 위화감 조성은 물론 남녀의 불평등한 관계, 호화혼례 등 과소비적인 풍토는 개선돼야 한다.
<참고문헌>
관혼상제 대백과 -유덕선- 도서출판 동방인
알기 쉽게 풀이한 전통예절 관혼상제 백과 -권순만- 일신서적출판사
한국전통혼례 -남상민- 예학사
http://my.dreamwiz.com/cbhwa/good3.htm
http://myhome.shinbiro.com/~jepark/html/history.htm
NAVER 뉴스 YTN
NAVER 지식iN
Google 검색
*목차
Ⅰ. 도입
Ⅱ. 본론
1. 혼례란?
2. 혼인이란?
- 혼인의 의의
3. 혼인의 적령
4. 혼인의 정신
(1) 삼서정신(三誓精神)
(2) 평등정신(平等精神)
5. 전통혼례의 유래와 변천
6. 혼례의 절차
<1> 의혼
<2> 납채(納采=사성(四星))
<3> 납폐(納幣: 함보내기)
<4> 혼인예식(婚姻禮式) 친영(親迎: 대례라고도 함)
Ⅲ.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0.07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