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의 인물 갈등 양상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 적용하기 -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길동전>의 인물 갈등 양상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 적용하기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홍길동전>의 작품 이해
1-1. <홍길동전>의 작품 형성 배경
1-2. <홍길동전>의 영웅 소설적 구조
1-3. <홍길동전>의 문학사적 의미
1-4. 율도국의 의미
1-5. <홍길동전>의 주제 해석

2. <홍길동전>의 인물 갈등 양상
2-1. 출생에 대한 갈등(내적 갈등)
2-2. 아버지인 홍 판서와의 갈등 (가정 내 갈등)
2-3. 입신양면에의 의지와 적서 차별로 인한 좌절 등(사회적 갈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한’을 푸는 길이기도 했을 것이다. 그러나 홍길동은 자신에게 주어진 병조판서가 한낱 허상에 불과한 것임을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홍길동이 행동 방향을 바꿔 해외로 진출한 것은 자신의 본원적 문제에 대한 해결이 조선 사회에서는 불가능 하다는 암울한 인식의 표출인 동시에 문제의 궁극적 해결을 위해서는 부득불 조선 사회 밖으로 진출 할 수밖에 없다는 의식의 또 다른 표현이라 하겠다. 고(故) 김광해 교수 추모 특집호-인물형상으로 본 <홍길동전>의 의미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선청어문 / 2005
앞에서의 내면 갈등과 가정 내의 갈등은 홍길동 자기 자신의 존재에 대한 갈등으로서 홍길동(자아)과 그를 둘러싼 배경(세계)에서 홍길동이 세계를 대하는 태도가 수동적이고 방어적이며 단순한 자아 존재에 대한 갈등이라고 앞에서 언급하였다.
하지만 홍길동이 가정 내에서 벗어나 사회와의 갈등으로 자아와 세계의 대립에 이르게 되면 세계에 대응하는 홍길동, 즉 자아의 태도는 그 전과는 달리 훨씬 능동적이고 공격적인 현실적 이념과의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의 갈등은 자아의 존재가 제약되는 단계라고 한다면 뒤로 가면 갈수록 그 자아 존재인식이 극복되고 실현이 되는 단계로 전개되고 있다.
즉, 세계에 대한 자아의 행동 표현 방식이 더 적극적으로 변모하는 것이다.
Ⅲ. 결론
자아와 세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양상을 가지는 소설은 이런 자아와 세계와의 대립을 통해서 어떤 것을 부각시키려고 하는가? 그리고 이런 것을 <홍길동전>에 적용시켰을 때 나타나는 효과는 어떤 것인가? 하는 등의 문제는 그 소설의 주제, 형성 배경, 구조 등의 문제와 같이 생각해야 하는 문제이다.
소설작품은 언어를 매개체로 하는데 자아와 세계의 대립은 사건으로 구현된다. 때문에 이 대립을 <홍길동전>에서 찾고자 했을 때 자아인 홍길동은 처음부터 끝까지 사건을 통해 자신과 자신이외의 것들과 대립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자아와 세계의 관계양상은 인물인데 소설 안에서 자아와 세계의 대립을 보여줄 때, 자아는 그 세계가 원하는 사상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대상화되기도 한다. 그 예가 <홍길동전>이다. 뿐만 아니라 작품 속의 자아는 작가의 의식이 투영된 인물이라는 것 또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부 정용수 교수님 수업 강의 내용 참조
홍길동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당대 사회의 관습을 그대로 따르는 홍 판서와 그 외 인물들, 적서차별이라던가 신분차별이 엄격하였던 조선 사회와 갈등을 겪는 동시에 자신의 출생에 대한 내적 갈등도 겪는다. 이런 내적 갈등도 따지고 보면 적자출생이라는 세계와의 갈등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앞에서 작품 속의 자아는 작가 의식이 투영된 대상이 된다고 언급하였다. 여기서 <홍길동전>에 나타난 작가 허 균의 현실(그 당시 조선)인식을 알 수 있다. 허균은 당시 봉건 집권층의 가혹한 수탈로 농촌이 이폐해지고 군도가 횡행하고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면서 민중의 저항이 일어나는 사회 현실을 겪었다. 허 균은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민중의 편에 서서 민중을 옹호하고 있음을 <홍길동전>에서 알 수 있다. 능력이 있어도 적서차별이라는 신분적 제약 때문에 세상에 나가지 못하는 사회적 모순을 통박하고, 착취를 일삼는 탐관오리들의 재물을 빼앗아 가난한 민중들에게 돌려주는 행위 등.
홍길동은 적서의 차별에 반발하면서 자신의 신분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집을 나온 후, 도적의 두목이 되어 의적 행세를 하다가 해외에 내가 율도국의 왕이 된다. 이 세 단계를 지나면서, 홍길동은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고, 그 욕망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홍길동은 총명이 과인하여 적서 차별의 모순을 뼈저리게 느끼고, 또한 그의 신분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정상적으로 발휘 할 수 없음을 깨달은 후, 사회 제도를 향한 저항 의식을 갖게 된다.
즉, 홍길동이라는 자아는 세계와의 대립에서 승리하기 위해 끊임없이 싸우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o-seol/hong-kil-dong-outline.htm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고전소설 <홍길동전>
고(故) 김광해 교수 추모 특집호-인물형상으로 본 <홍길동전>의 의미 / 서울대학교 국 어교육과 선청어문 / 2005
홍길동전의 비밀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설성경 / 2004. 3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부 정용수 교수님 수업강의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