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훈의 '상록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상록수와 심훈
1 작품배경
2. 작가의 생애

Ⅲ. 작 품 분 석
1. 현실인식
2. 발전적 모델 제시

Ⅳ. 상록수와 민족문제
1. 민족주의의 개념
2. 한국 민족주의(韓國 民族主義)
3.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 방향
4 .상록수와 민족주의

Ⅵ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이 했으며, 작가 심훈은 작가로서 또 영화감독이자 영화배우였다는 것, 또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일제에 저항한 우리나라의 청년으로 화려하게 일생을 장식한 예술가 이었다는 점, 또 1930년대라는 상황은 우리나라에 민족주의가 들어와 많은 변화를 겪은 시기 였으며 그 당시의 농촌사회는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져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이 동아일보사가 한창 브나로드 운동을 활발히 전개 할 때에 쓰여진 것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브나로드 운동은 이미 주최측의 요구를 넘어선 진보적 성향이 강했던 것이 사실이고 이는 소설의 곳곳에서도 그 모습이 드러난다. 작품 속에서의 작가의 시선은 현실을 직시하고 있으며 그렇기에 그가 직시하는 당시 우리 민족의 상황은 피폐한 농촌이자 위기에 처한 현실이다. 농촌계몽운동이 글을 깨우치고 생활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지만 작가는 계몽운동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진정한 변화는 바로 구조적 모순을 타파하는데 있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민족의 비운을 통감하고 일제에 대한 반감, 그들의 정책을 비판하며 새로운 대안 책을 제시하는 등 내용자체가 그 당시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진보적인 성격을 띈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는 민족주의의 개념과 그것이 한국 조선사회에 들어와서 전개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또 작품 속에서 작가가 보이는 민족주의에 대한 주장을 우리는 살펴보았다. 그것은 오늘날까지도 분단이라는 이름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는 과제이기도 한데 이는 민족의식의 형성이 외세에 대한 반외세로 외적인 의미에로의 출발을 시작 김익만, 같은 책, p.46
했지만 내적인 단결에 실패했다는 것, 내적인 단결은 중산계급의 성장이 미치지 못해 실패했음을 보았다. 결국, 우리나라의 민족주의는 지금까지도 통일에 대한 방법론에도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상록수 전편을 돌아보면 작가는 농민들에게 끊임없는 참여를 요구하면서 동시에 당시의 불합리한 상황과 그 상황을 대표하는 여러 인물들을 배치해 놓음으로써 그 시대의 모습을 표현한다. 백선생, 건배 한낭청, 기천이 그렇다. 이는 주인공들의 사상적 믿음 위에 대치되거나 또는 주인공이 그 인물로 하여금 새로운 사고의 전환을 맞게 한다. 주인공들의 사고의 전환을 통해 작가는 형식적인 계몽주의에서 실천적 계몽주의로 , 문화적 계몽주의에서 경제적 계몽주의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유행하던 농촌계몽활동-브나로드 운동의 주제보다 앞선, 진보적인 사상으로까지 이어져 작가가 그 당시 현실의 피폐한 모습과 농촌현실에서 직접적으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의 정곡을 찌르며 주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작가는 작중 인물들과 배경들을 사용함에 있어 실재의 사람과 지명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상록수는 문학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적, 기록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그것인 그 당시의 민족주의와 시대적 상황을 기술했으며 또 농촌의 참혹한 현실을 문학의 틀을 빌려 그 위에 허구적 상상력을 더해 기록해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부터 우리는 이 소설이 70여년이 지나도록 꾸준히 읽히며 또한 베스트 셀러 로서뿐만 아니라 학술적 가치로까지 인정하는 것이다.
상록수에 나오는 동혁과 영신의 정신은 불과 한 두해 사이에 세대가 교체되는 오늘날에 있어서도 시간의 흐름에 구애받지 않을, 본받을 만한 청년정신이다. 오늘날의 젊은이들이 글의 제목에서처럼 언제나 푸른 이상을 꿈꿀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문병욱외, 「총론」『한국문학과 사회』, 새문사, 1999
2) 신경림, 『그날이 오면, 그 날이 오며는』, 지문사, 1982
3) 신경림, 『농민문학론』, 온누리신서1, 1983
4) 심훈, 인주승 엮음「상록수」,『상록수와 최용신의 생애』,홍익재, 1992
5) 심훈, 『심훈문학전집Ⅲ』,탐구당, 1966
6) 신채호,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개정판 단재 신채호 전집』, 단재 신채호선생 기념 사업회, 1977
7) 차기벽, 『민족주의 원론』한길사, 1990
8) 김익만, 「한국 민족주의의 신화적 요소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연세대 석사 학위논문 1997
9) 김현주, 「상록수의 리얼리즘적 성격연구」 연세대 석사 학위논문 1991
10) 김현자, 「상록수고」『서울여대 태능어문』, 서울여자대학 국어국문학회, 1983
11) 박일섭, 「신문소설내 커뮤니케이션과 민족의식의 성격」『한양대학교 논문집』,한양대학교 대학원, 1989
12) 이만열, 「1930년대의 민족운동」 『한국근대사 관련 논고』, http://user.chollian.net/~ikch 0102 /y-1- 9.htm
13) 조남현, 「상록수 연구」,『서울대학교 인문론총』,서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14) 최희연, 「심훈 소설연구」연대, 박사학위 논문, 1990
15) 강진호, 「특별기획프로그램/작가의 생가와 문학의 세계」, 『문화예술 96‘ 8』1996
16) 김구중, 「상록수의 배경연구」『한국언어문학 42호 99‘ 5』,1999
17) 김수식 「상록수와 농촌계몽」http://idea300.hihome.com.page-105.html
18) 김연식, 「문화계몽주의 유형과 그 성격」『문학사상 93‘ 3』1993
19) 이만열, 「1930년대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한국근대사 관련 논고』http://user.chollian.net/~ikch 0102/y-1-12..htm
20) 장지연, 「대한자강회월보」제4호 1906
21) 전광용, 「상록수고」『동아문화 5호』, 서울대 동아문화 연구소 , 1996.5
22) 정광수, 「1930년대 농민소설 연구」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4
23) 천이두, 「심훈의 작품세계」『한국문학대계』, http://메체.edunet4u.net/~koreannote/1/1-i-i.htm
24)『동아일보』1935. 8. 27
*목차
Ⅰ. 서론
Ⅱ. 상록수와 심훈
1 작품배경
2. 작가의 생애
Ⅲ. 작 품 분 석
1. 현실인식
2. 발전적 모델 제시
Ⅳ. 상록수와 민족문제
1. 민족주의의 개념
2. 한국 민족주의(韓國 民族主義)
3.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 방향
4 .상록수와 민족주의
Ⅵ 결 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10.14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3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