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학습권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 인프라 구축실태 및 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학습권 보장과 평생학습사회

Ⅱ. 학습권과 교육권의 위치
1. 학습권이란
2. 학습권 보장에 있어서 학부모 교육권의 위치

Ⅲ. 평생교육 인프라의 개념과 구축모형
1. 천부인권으로 등장한 학습권
2. 평생교육 인프라의 개념
3.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인프라의 구축 모형

Ⅳ. 평생교육 인프라의 현실진단과 구축방안
1. 평생교육제도 인프라
2. 평생학습 행정지원 인프라
3. 평생학습 재정지원 인프라
4. 평생교육 정보인프라

Ⅴ. 학습권 보장을 위한 평생학습체제로의 전환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적 차원에서는 특정 계층이 실직되거나 주변계층으로 전락되는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사회의 결속에 기여하는 민주주의 구조, 포용적 사회(inclusive society)를 강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평생학습은 한 국가의 장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이미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범국가 차원으로 평생학습을 위한 교육, 경제, 정치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Longworth & Davies, 1996: 2). 따라서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평생학습 사회를 하루 속히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학교교육체제에서 평생학습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평생학습체제는 학습자들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필요한 내용을 언제든지 학습할 수 있고, 그 결과가 학교교육 결과와 동등하게 인정하는 사회적 여건이 구비될 때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학습체제는 학교교육으로 만들어진 학력 위주 사회를 거부한다. 어떠한 학습 형태에 의하던 학습 기회가 공평하게 주어지고 그 결과가 정당하게 인정되는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따라서 평생교육 행·재정적 지원 대책이 향후 우리의 국운을 좌우한다는 패러다임이 확산되어야 한다. 역설적으로 학교교육이 현재의 모습에서 더 뒤틀어진 모습을 보일 때, 평생교육이 더욱 강조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학교교육 위주의 교육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전 생애에 걸친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우리 앞에 서 있다.
참고문헌
정우현, 평생교육체제의 수립방법, 정민사, 1981.
한국평생교육기구, 평생교육과 사회교육, 이화문화출판사, 1997.
노동부(2001), 『기업체노동비용조사보고서』. 노동부.
노동부(2001). 『고용보험백서』. 노동부.
노종희 외(1996). 한국교육행정학회 (편). 『교육제도론』. 도서출판 하우.
야후a http://kr.engdic.yahoo.com/result.html?word=infrastructure
야후b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129823
야후c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700190
최돈민 외(1999). 『평생교육 요구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최돈민(2001). 평생학습사회와 대학 기능 변화의 기제. 김신일·한숭희(편). 『평생교육학: 동향과 과제』. 교육과학사.
최돈민(2002).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의 지원체제 재구조화. 『평생교육학연구』. 제8권 제2호.
최운실 외(1999). 『평생교육의 법적 제도 및 행정지원 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한국노동연구원 고용보험연구센터(2000). 『고용보험동향』. 2000년 봄호.
B liale, R., et al., (1997).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 sustainbility and transferability. In Mauch, W. & U. Papen (Eds.). Making a difference: Innovations in adult education. Frankfurt: Peter Lang.
Bj rnavold, J. (2000). Making learning visible;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recognition of non-formal learning in Europe. Thessakoniki, Greece: CEDEFOP.
Delors, (1996). Learning: The treasure within. Report to UNESCO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Educ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aris: UNESCO. 김용주 외(역)(1997).『21세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전망』. 오름.
DfEE.(1998).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London: Department of Education and Employment.
Foster, M. F.(2000). Trends and driving factors in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 OECD area. Labour market and social policy occasional papers. No. 42. Paris: OECD.
Kim, K. & Creighton, S. (2000). Participation in adult education in United States: 1998-99. Education Statistics Quarterly. http:// nces. ed. gov /pubs2000/ qrtlyspring/6life/q6-1.html.
Longworth, N. & Davis, K.(1996). Lifelong learning. London: Kogan Page.
NAGECELL.(1997). Learning for the twenty-first century (First report of the national advisory group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London: Author.
OECD(1994). The OECD job study, evidence and explanations. Paris: Author.
OECD(1996). Lifelong learning for all. Paris: Author.
OECD(1996). Human capital investment: An international comparison. Paris: Author.
OECD(2000). Knowledge management in the learning society. Paris: Author.
OECD(2001a). Education policy analysis 2001. Paris: Author.
OECD(2001b). Economics and finance of lifelong learning. Paris: Author.
  • 가격2,9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11.1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