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작품 분석 - 상실의 시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작품의 내부적 분석
1. 줄거리
2. 인물 설명
1) <이상세계, 죽음, 진실의 세계, 아이들의 세계>
2) <현실세계, 삶, 허식의 세계, 어른들의 사회>
3) 이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
4) 기타
3. 소설 속 의미 읽어내기
1) 「나오코」와 「미도리」의 비교
2) 「죽음」의 의미
3) 「섹스」의 의미
4) 「우물」의 의미

Ⅱ. 작품의 외부적 분석
1. 작가가 말하는 『상실의 시대』
1) 연애소설? 성장소설!
2) 100% 리얼리즘에의 도전
2. 작품형성의 외부적 요인
1) 미국소설의 영향 -『위대한 개츠비』
2) 전공투 경험
3)『반딧불이』에서『상실의 시대』, 그리고『해변의 카프카』로
3. 한국에서 『상실의 시대』의 수용 양상
1) 원제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エイの森)』
2) 새로운 제목을 달고
3)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

Ⅲ. 토론 주제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정의 감상에 그 과정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작품 『상실의 시대』 (Norwegian Wood, 노르웨이의 숲)의 배경이 되고 있는 일본의 상황이, 바로 오늘의 우리나라의 그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역자는 우선 놀랐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어떻게 사는 것이 진정한 삶이며, 어떻게 사랑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모색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그리고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현대 일본의 학원과 시정의 희비극이 고도의 풍자적 수법으로 다채롭게 펼쳐진다. 그 하나하나가 어쩌면 우리 젊은이들의 욕망과 이렇게 닮았을까, 하고 거듭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감상을 토대로 이루어진 역자의 시도는, 『ノルウエイの森』이라는 제목 아래 하루키가 염려한 대로 Beatles의 곡명을 사용함으로써 자칫 드러날 수 있는 세대적인 분위기를 소거시키며 80년대 말 90년대 초 한국 독자들에게 더욱 강한 동시대성과 공감을 느끼게 했다.
3)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
이와 같이 다소 특수한 과정을 통해 한국에 소개된 이 작품은 발간된 후 10여 년 동안에만 200만부 이상이 판매되면서 2007년 현재 한국 출판계에 불고 있는 일본문학 열풍의 시초가 되었다. 역자로 인한 원제의 변화는 저자의 의도를 훼손한다는 비판도 일었으나, 독자로 하여금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작품을 독해하게끔 만드는 신선한 시도이자 새로운 시점에서의 날카로운 해석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이 가진 근본적인 고독과 상실감, 거기에 변혁의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현대인들이 느껴야 하는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적확하게 짚어 많은 이에게 공감과 사랑을 얻은 『노르웨이의 숲』은 이처럼 한국에서 『상실의 시대』라는 새로운 제목을 달고 한국에서의 특수한 시대상황과 맞물려서 더욱 큰 인기와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을 부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문학평론가 유종호는 “『상실의 시대』는 고급문학의 죽음을 재촉하는 허드레 대중문학이다. (…) 도발적이고 독자들의 허를 찌르기는 하나 성적으로 격리된 수용소 재소자들이 일상적으로 나눔직한 성의 얘기로 가득 차 있다.”는 극단적인 비난을 서슴지 않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앞서 발표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작품 내에 숨겨진 암시와 은유를 고려하지 않은 독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하루키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정면으로 부정한 바가 있다.
『상실의 시대』에 나오는 섹슈얼한 장면이 부도덕하다는 비판이 있는데,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작중의 인물들이 모럴리스틱하게 살려고 했기에 그런 식으로밖에 살 수 없었다고 생각해요.
하루키가 이야기하는 모럴Moral이란 인물이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면서 자신이 했어야 했던 일, 하지 말았어야 할 일을 알아 반성하고 또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가리키고, 하루키는 자신이 소설에서 가장 쓰고 싶은 것이 이 모럴이라고 밝혔다. 즉 하루키는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섹스는 과거에 사로잡혀 앞으로 나아가려 해도 나아갈 수 없는 채 살아가는 모습을 암시하며 이것이 바로 그들이 모럴리스틱하게 살기 위해 한 노력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이 모든 기준이 급격하게 변화했던 80년대 말 90년대 초의 한국 사회에서 가치관과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사람들에게 큰 공감과 감명을 이끌어 냈다고 볼 수 있다.
Ⅲ. 토론 주제
Question 1 > 나오코와 관계를 가진 와타나베는 나오코가 처녀라는 사실을 알고 어째서 기즈키와 자지 않았었냐고 반문한다. 나오코는 이에 대해 “기즈키와 자신은 여러번 시도해 보았지만 할 수가 없었다. 나는 그를 정말 사랑하고 있었는데 왜 그랬는지 알 수가 없다. 반면에 너와는 생일날 처음 만났을 때부터 젖어있었다”고 말한다. 어째서 나오코는 기즈키와 관계를 가질수 없었을까?
Answer 1 > 이는 앞서 살펴보았던 「섹스」의 의미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질 수 있다. 작품인 『상실의 시대』에서 섹스가 갖는 의미는 다양하다. 나가사와의 섹스에서 보이듯이 부도덕한 행위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러나 와타나베와 레이코의 섹스, 와타나베와 나오코의 섹스에서 보이듯이 「섹스」는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으로써 나타나며, 또한 이는 한순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으로 끝나지 않으며 앞으로 계속적으로 살아가는 인간에게 있어 반성적 의미를 갖게 한다. 이런 의미에서 기즈키와 나오코가 관계를 할 수 없었던 이유는, 이미 어릴 적부터 내면적으로 깊게 결합되어 있던 기즈키와 나오코는 섹스를 하기에는 내면적인 결합이 충분히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Question 2 > 마지막 장면에서 와타나베는 공중전화 부스에서 미도리에게 전화를 걸어 “내가 원하는 것은 너 하나뿐이다, 모든 걸 새로 시작하고 싶다”고 말한다. 그리고 미도리가 “지금 어디에 있느냐”고 묻자 와타나베는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하고 자문한다. 이 장면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Answer 2 > 이 장면은 와타나베가 레이코와 함께 나오코의 장례식를 치룬 뒤, 레이코를 배웅하고 돌아오는 길에 일어나는 장면이다. 현실과 이상의 경계에서 그 어느 쪽에도 정착하지 못한 채 부유하던 와타나베가 나오코를 결국 이상세계로 떠나보내고 자신은 현실세계에 발을 딛고 살아가야 함을 더욱 절감하는 것이다. 자신의 온 청춘을 바쳐 일치하고자 했던 여자, 그 이상이 자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느끼며 와타나베는 상실감과 허무함을 맛본다. 그의 마지막 자문은 이러한 상실감과 허무함이 비단 물리적 공간 뿐 아니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와타나베 자신이 무엇을 이루어왔고 무엇을 해야 할 지 직시할 수 없도록 시야를 가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Ⅳ. 참고 문헌
ㆍ 정희정,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5)
ㆍ 배기정,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노르웨의의 숲(ノルウエイの森)』론」(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98)
ㆍ 한광수,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청주대,
2002)
ㆍ 遠近(wochi kochi) 제12호(Aug./Sep. 2006)
ㆍ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1995)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1.19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