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사회에 대응한 노인들을 위한 주거 공간 계획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고령화 사회와 노인 주거의 특성
2.1. 고령화 사회와 노인인구의 증가 추이
2.1.1. 고령화의 개념
2.1.2. 고령화 사회의 추이 및 노인인구의 증가

2.2. 고령화 사회와 노인 주거의 특성
2.2.1. 노인의 특성
2.2.2. 노인의 주거 형태
2.2.3. 노인 주생활 및 주요구

3. 노인 주거 공간 설계 방향 제시
3.1. 내부 공간 설계계획
3.1.1. 욕실 및 화장실
3.1.2. 침실
3.1.3. 주방
3.1.4. 수납장
3.1.5. 전기 스위치
3.1.6. 조명 및 색채

3.2. 외부 공간 설계계획
3.2.1. 현관
3.2.2. 계단
3.2.3. 보조등

4. 요점 및 기대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난간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85cm라고 하지만, 고령자가 사용하기 쉬운 높이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 계단에서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밑이 확실히 확인되는 것이 중요하다. 복수의 조명을 사용하여 디딤판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발밑 등(foot light)등의 국부조명을 사용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또한 계단 앞부분의 색을 바꾸어 단차를 쉽게 인식하도록 배려하는 것도 좋다. 정 창기, 자립형 노인전용 주거단지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그림 6, 계단의 안전성 확보>
자료 : 김한수, 고령화 사회에 따른 자립형 노인주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 대학원, 2005
3-2-3 보조등
주거공간과 도로 사이에 높이차가 있는 경우에는 계단이나 램프를 설치해야 하는데, 공간의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계단과 램프를 같이 설치하면 편리하다. 공간의 여유가 없을 때는, 높이차가 큰 경우를 제외하고, 휠체어 등의 이용을 고려해서 램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의 최대 경사는 1:12이지만, 1:20의 경사가 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다. 램프의 시작점과 끝 점에는 계단참을 설치하고 램프의 길이가 긴 경우(높이차가 50cm 이상)에는, 도중에 계단참(안 깊이 120cm 정도)을 설치하여야한다. 램프의 경우, 바깥쪽으로 휠체어가 튀어나가지 않도록 핸드레일이나 연석으로 적절한 보호를 해야 하는데, 연석의 높이는 5cm이상이어야 한다. 램프의 폭은 최소한 90cm가 되어야 하며 램프 내에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램프의 폭이 110∼120cm 정도가 되어야 한다. 램프의 핸드레일은 부분적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양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레일의 높이는 75∼85cm가 적당하지만, 이용자의 신장이나 신체특성에 맞추어서 조절할 수 있다.
핸드레일의 지름은 38mm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만일 핸드레일이 벽 근처에 부착되어있을 경우에는 벽과 레일사이에는 38mm의 공간이 떨어져 있어야만 한다. 핸드레일은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마무리하고 견고하게 붙어있지 않으면 안 된다. 안전 측면에서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핸드레일의 끝 부분이 뾰족하다든지, 날카롭지 않아야 하며 양복의 소맷자락 등이 걸리지 않는 형태이어야 한다. 안 상천, 도시근교자립형 실버타운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조시조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야간의 안전을 위해 램프의 조명에도 배려를 해야 한다. 나무 그림자가 발밑에 생기지 않도록하고 높이차가 있는 곳에는 발밑 등을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램프에서 미끄러지거나, 걸려서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닥의 마무리가 중요하다. 바닥마무리를 위해서는 미끄러지기 어려운 끝손질을 하고 미끄러지기 쉬운 표면 마무리를 한 타일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4. 요점 및 기대효과
이와 같이, 본 논문은 고령자나 장애를 지니고 있는 이가 일상생활을 자유롭게 영위할 수 있는 자립형 주거계획을 제시하고, 노인들의 특성에 맞는 요소 공간 계획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노인 복지 및 주거관련 시설들이 노인들의 선호도에 대한 미흡한 인식과 경제적 문제의 미해결로 인해 경제적. 신체 기능적으로 자립된 생활이 가능하도록 주거환경을 계획, 설치하고 국내에 제공 되어지는 노인주거는 대부분의 의존 형 노인들을 위한 노인주거에 국한되어지고 있는 것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노인주거를 계획하고 노인이 식사, 목욕, 취침, 생계활동 등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기능의 제약이 없는 한 주거계획이 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이번 논문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거공간에서 고령자의 신체와 관련된 장애요소에 고령자의 행동적 특징과 인체치수를 적용하여 문제점에 대해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2020년 우리나라가 초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을 때 부족한 노인주택의 공급을 기존의 아파트를 개조하여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사회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기대효과로는 이번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인 고령자들의 주거 만족도의 상승이다. 고령자의 주거생활을 단순히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령자가 가능하면 신체적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고 안락하게 생활 할 수 있는 구조적, 환경적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까지 포함 시켜 고령자의 주거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학위논문
- 권 순정,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공급량확정 및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9
- 권 희진,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기반한 부엌 디자인 지침 체계화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 김한수, 고령화 사회에 따른 자립형 노인주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 대학원, 2005
- 김 혜란, 노인단독세대를 위한 공동주택 단위평면의 요소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1
- 서 정호, 한국 실버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8
- 안 소미,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에 관한연구 -주거건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8
- 안 상천, 도시근교자립형 실버타운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조시조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 원슬기, 고령자 주거시설의 조명방법론 개발 및 적용방안,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 이 지언, 공공시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 임철우, 윤종숙. 노인을 위한 공간-유니버셜 디자인 도입. 1993
- 정 창기, 자립형 노인전용 주거단지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 가격1,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11.2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