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활동에서의 선택형 검사에 관한 비판적 검토 및 대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교수.학습이론 및 교육평가
1) 새로운 교수.학습이론
2) 교육평가의 의의
3) 수행평가의 개념
4) 수행평가의 특징
5) 수행평가의 필요성

3. 선택형 검사의 역사 및 유래

4. 교수학습활동에서의 선택형 검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5. 선택형 검사에 대한 새로운 대안: 수행평가

6. 교수학습활동에서 수행평가의 필요성

7.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997b).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평가학회 학술세미나 논문발표집. 3-42.
백순근(1998). 생산자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학교 경영. 『학교경영』, 6월호, 48-51.
백순근 외(1996). 『초등학교의 새로운 평가 제도에 따른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국립교육평가원(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백순근 외(1997). 『국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활용 방안 연구(총론)』. 한국교육개발원.
엄태동(1998). 교육적 인식론 연구: 키에르케고르와 폴라니의 교화적 방법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엄태동(1999). 『로티의 네오 프래그마티즘과 교육』. 서울: 원미사.
윤병희·박태준·백순근·정유성·함수곤·황규호(1996).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임승권, 임인재(1983). 『교육평가』.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장상호(1996). 교육적 관계의 인식론적 의의. 『교육원리연구』, 1(1), 1-50.
장상호(1998). 교육활동으로서의 언어적 소통: 그 한계와 새로운 가능성의 탐색. 『교육원리연구』, 3(1), 77-128.
허경철(1988). 객관식 일변도의 평가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교육과정연구』, 제7집, 155-182.
허경철·김신영·백순근·채선희(1997). 국가 교육평가 정책수립 방안 연구: 외국의 교육평가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황정규(1984).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황정규(1994). 교육평가: 성취와 도전. 운주 정범모 박사 고희기념 학술세미나 자료집. 61-85.
Anastasi, A.(1988). Psychological Testing, 6th. New York: Macmillan.
Baek, S. G.(1994). Implications of cognitive psychology for educational testing.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6(4), 373-389.
Baron, M. A. & F. B. Boschee(1995). Authentic Assessment : The Key to Unlocking Student Success. Pennsylvania: Technomic.
Blum, R. E. & J. A. Arter(Eds.)(1996).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structur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irginia.
Brown, A. & A. Palinscar(1989). Guided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acquisition. In L. Resnick(Ed.).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Essays in Honor of Robert Glaser. Hillsdale, NJ: Erlbaum, 393-451.
Eylon, B. S. & M. C. Linn(1988). Learning and instruction: An examination of four research perspectives in science educ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8(33), 251-301.
Glaser, R., A. Lesgold, & S. Lajoie(1987). Toward a cognitive theory for the measurement of achievement. In R. R. Ronning, J. A. Glover, J. C. Conoley, & J. C. Witt(Eds.). The Influence of Cognitive Psychology on Testing. Hillsdale, NJ: Erlbaum. 1-8.
Gronlund, N. E. & R. L. Linn(1990).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6th.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Lane, S.(1991). Implications of cognitive psychology for measurement and testing: assessing students knowledge structure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Spring, 31-33, 36.
Maturana, H. R. & F. J. Varela(1987/1995). Der Baum der Erkenntis: Die biologischen Wurzeln des menschlichen Erkennens. (최영호 역. 『인식의 나무: 인식 활동의 생물학적 뿌리』. 서울: 자작아카데미.)
McMillan, J. H.(199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Boston: Allyn & Bacon.
Mehrens, W. A. & I. J. Lehmann(1969). Standardized Tests in Education. New York: Holt.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1992). Testing in American Schools: Asking the Right Questions.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Sternberg, R. J., R. K. Wagner, W. M. Williams, & J. A. Horvath(1995). Testing common sense. American Psychologist, 50(11), 912-927.
Whitehead, A. N.(1967). The Ams of Education and other Essays. London: Williams & Norgate.
  • 가격2,8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8.11.29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