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판화에서의 매체 활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현대 판화의 동향
2.1. 현대 판화의 개념
2.2. 현대 판화의 배경
2.3. 현대 판화의 방향성

3. 다양한 매체의 활용
3.1. 매체의 개념과 활용
3.2. 판화에 있어서의 매체의 활용

4. 작품분석
4.1. 제작 동기
4.2. 작품 주제, 의도
4.2.1. The nature of stone
4.2.2. Space
4.2.3. Stone pagoda of today
4.3. 작품의 매체적 특성

5.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있다. 본래 운주사가 지니는 신앙과 예술, 생활이 결합되는 공간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관광산업의 개발이라는 명목아래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면이 더 많아서 문화재 본래의 모습과 분위기에 신경을 쓰지 못한 것이 지금의 운주사로 변질되어 버린 이유일 것이다. 이것은 운주사뿐만이 아닌 모든 문화재가 갖고 있는 문제이다.
시대를 더해감에 따라 변해가는 운주사를 보며 장소 또는 공간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잔디가 깔리기 전 농민의 생활과 결합되는 석불들을 상상하며 이제는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속에 석불을 놓아본다. 화려한 도시의 풍경보다는 서민의 정서가 뭍어나오는 골목마다 석불을 놓음으로써 운주가 지니고 있는 신앙, 예술, 생활의 조화를 다시 재현해 보려한다.
4. 2. 3. Stone pagoda of today
이전의 작품들과는 달리 이 주제에서는 탑이라는 개념으로 작업을 했다. 탑을 쌓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둔 것이며 이는 돌이 되기도 하고 구두, 핸드백, 벨트, 모자 등의 공산품이 되기도 한다. 흔히 탑을 쌓는 행위는 무언가를 염원하고 기원하는 마음에서 출발한다. 이전에도 풍요를 기원하는 것도 있었지만 현재만큼 물질을 원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제 중산층에서 물질의 풍요란 삶의 목표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작품에서 보이는 탑들은 이러한 우리의 현실을 보여주게 된다.
4. 3. 작품의 매체적 특성
2~3년 전에는 아직 전통 판화의 기법을 전부 익히지 못한 상태였다. 대부분의 작품들은 평면적이고 철저하게 전통 판화로 제작이 되었으며 그 숙련도도 미숙했다. 작품들에서 시각적인 이미지 또한 사진이나 미디어를 통해 접할 수 있는 모습들을 그대로 작품 속에 옮기는 형식이다. 그러나 작업을 계속 진행하면서 표현하려는 의도, 전달하고자 하는 목소리도 중요했지만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매체의 선택이 필요 했다.
초기 작품들에서는 주로 동판, 석판, 목판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작품 속의 이미지들도 대부분 구상적인 석불이나 석탑 또는 풍경이었으며 주로 석불의 기법적인 표현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0011-The nature of stone, Etching / Aquatint, 2004>
동판이라는 판면을 깊게 부식하여 돌이 지니고 있는 거친 표면과 양감의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동판이 갖고 있는 고유의 느낌 때문에 다른 판법인 석판이나 회화로도 표현할 수 없다. 이미지는 운주사에서 조각난 석불의 한 조각을 표현한 것이다.
<0018-The nature of stone, Etching / Aquatint, 2004>
이 작품 역시 석불의 조각을 표현 한 것이며 동판 기법과 콜라주를 같이 사용했다. 이 당시의 대부분 작품들은 전통 판화 기법에 중점을 두었고 극히 평면적이었다.
<0024-The nature of stone, Etching / Aquatint/Water transfer print, 2005>
석불의 이미지만 사용하다가 그 의미가 더욱 확장되어 돌의 조각, 파편으로써 인식하게 되었다. 이전과 같은 기법으로써 프레스기의 압력으로 찍어낸 결과물에서 최대한 돌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노력했다. 전과 다른 점은 돌뿐만 아니라 공산품이 이미지에 들어가게 된다. 자연물은 철저하게 수작업으로, 공산품은 디지털 이미지로 작업을 하여 작품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 할 수 있도록 매체 선택을 하였다.
<0044-The nature of stone, Mixed media/Silkscreen
2006>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맞는 매체를 찾기 위해 많은 매체들을 사용해보았다. 이 작품은 판넬과 종이 대신 알루미늄판에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돌을 표현한 것이다. 평면적이던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하여 부조의 형태를 갖고 있다.
<0049-Stone pagoda of today, Mixed media, 2006>
판화에서 그 매체를 찾으려고 했지만 기존의 순수 회화의 방법으로도 작품을 제작하였다. 여러 개의 캔버스에 아크릴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할 때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제작 하였다.
<0065-Stone pagoda, Etching/Aquatint/Collagraph, 2006>
한 화면 안에서 하나의 판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가지 이상의 판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찍어낸 작품이다. 돌은 동판으로 공산품은 콜라그래프를 사용하여 탑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5. 결 론
역사 속에서 대부분의 화가들에 의한 판화적인 표현 방법과는 달리 현대 작가들은 새로운 창조적 매체를 위한 표현으로 확대 되어가고 있다. 전통 판화 기법으로 표현한 방법보다 현대 작가들에게 판화는 개념이 새로운 창조적 매체를 위한 표현의 확산의 의미가 되는 것이다. 판화라는 장르를 단순하게 찍어낸다는 것에만 집착하면서 장르의 독립성을 강조하다 보니 특유의 복수성과 공간성으로 무한하게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놓치게 되는 부분도 있었다. 하나하나의 원리를 잘 생각해 본다면 매체를 다루거나 선택함에 있어서 보다 폭넓은 표현이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대학교 내에서 학생들이 이러한 매체를 충분히 다룰 수 있도록 기구와 설비들도 확충이 되어야 한다. 대학 교육에서 판화에 대한 이미지와 개념에 대한 안목과 인식을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작품도 제작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참고 문헌
1. 고충환, 디지털환경과 다중 복합 매체로서의 판화, 월간미술, 2006
2. 곽남신, 목판화와 동판화, 예경, 1994
3. 캐롤 스트릭랜드, 클릭 서양미술사, 예경, 2000
4. 김현곤, 매체 활용을 통한 판화 표현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4
*목차
1. 서론
2. 현대 판화의 동향
2.1. 현대 판화의 개념
2.2. 현대 판화의 배경
2.3. 현대 판화의 방향성
3. 다양한 매체의 활용
3.1. 매체의 개념과 활용
3.2. 판화에 있어서의 매체의 활용
4. 작품분석
4.1. 제작 동기
4.2. 작품 주제, 의도
4.2.1. The nature of stone
4.2.2. Space
4.2.3. Stone pagoda of today
4.3. 작품의 매체적 특성
5. 결론
※ 참고 문헌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1.3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