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현실과 민족 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분단 이산 소설의 배경
2 전후 소설의 특징

Ⅱ. 본론
1. 문순태 -「철쭉제」
1) 화해의 방식
2. 윤흥길 -「장마」
1) 화해의 방식
3. 조정래 - 「불놀이」
1) 화해의 방식

Ⅲ. 결론

본문내용

되면 절대로 아버지처럼 살지 않겠다고 벼르고는 했다. 점수의 마음속에서 아버지는 논 가운데 누더기를 걸치고 서 있는 허수아비로밖에는 보이지 않았다. 조정래, 《불놀이》, 문예출판사, 1983, p.30.
위 인용문에서 배점수의 사회계급에 대한 분노가 드러나있다. 배점수의 증조부와 조부는 열렬한 동학교도였다. 조선조 지배층의 횡포에 대한 민초들의 항거가 동학란이었다면, 그 지배층의 후예인 지주 계급에 억눌려 산 세월을 한풀이 하는 것이 배점수의 복수극이었다. 배점수는 자신을 억압하던 계급들을 이념과 체제라는, 자신의 목적과는 다른 것들로 그들을 심판했다. 그런 방법으로 자신의 내적인 갈등을 해결했다.
배점수에게 희생당한 이들의 후손인 찬규는 후손들에게까지 넘어온 이 갈등을 자신들의 선에서 해결을 하려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 한의 악순환은 계속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는 당신 아버지를 용서하진 않지만 내 입장에서 미워하지도 않아요. 왜냐하면 당신 아버지가 처했던 입장을 이해하기 때문이오. 이 말은 우리 신씨 문중이 저지른 횡포가 잘못되었음을 시인하는 것이오. 그러나 당신 아버지가 자행한 행위는 분명 옳지 않았고 용서될 수 없는 일이오. 당신 아버지 논법대로 한다면, 어마어마한 재산을 가진 당신 아버지는 이제 누구의 손에 찔려 죽어야 되는지 알겠지요? 바로 나처럼 가난한 사람들의 손이오. 이 얼마나 유치한 논법이오. 조정래, 《불놀이》, 문예출판사, 1983, p.313.
배점수는 이념과 체제보다는 사회계급차이에 대한 분노로 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켰다. 그런데 그 동안 신분 상승을 이룩한 배점수에 비해 하층 계급으로 떨어진 찬규는 그 새로운 격차를 문제삼지 않는다. ‘찬규는 배점수의 철저한 변신을 꾀한 뻔뻔스러운 생존은 미워했지만, 그가 이룩한 엄청난 경제적 성공은 결코 질투하지 않았다.’ 그것은 문제 해결에 대한 이 작가의 접근 방식이, 전상(戰傷)의 마무리와 함께 계층 간의 갈등이 악순환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경각심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결국 두 가문의 갈등은 배점수의 죽음으로 마무리가 된다. 작가는 찬규의 해결방식과 배점수의 해결방식을 보여줌으로써 그런 해결방식은 결국 악순환을 초래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찬규는 사회계급차이에 대한 배점수의 개인적인 보복이 잘못 되었다고 하면서도 자신 역시 가족을 위한 개인적인 보복으로 문제를 극복하려 했다. 작가는 이런 인물들의 태도로 분단 현실 문제에 대한 극복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불놀이’에서는 소련과 미국과 관련된 외적인 문제는 나오지 않았지만 내적인 문제 즉, 신분에 관한 문제에 대한 화해를 제시하고 있다.
Ⅲ. 결론
우리 조는 전쟁이라는 분단현실의 현실 속에서 어떻게 분단 현실, 즉 극단적 상황을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에 대해서 우리의 의견을 첨부하기도 하고 자료를 찾아 참조하기도 하였다.
먼저 문순태의《철쭉제》작품은 작품 내에서는 분단현실을 극복하려는 직접적인 방법은 보이지 않지만 인물과 인물간의 갈등과 그 해소에 대해서 간접적으로나마 그 시대상과 연관 지어 볼 때 전쟁이라는 분단 상황에서 남과 북이 나누어져 있는 것이 각각의 인물들과 연결이 되고 전쟁이라는 참혹한 상황에서 대치상태에 있기는 하지만 결국 우리는 전부 피해자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처음에는 그저 적이라고 생각했던 상대가 결국은 자신과 동일한 상황에 처해있는 같은 입장이라는 것을 깨닫고 동질감을 느낄 수 있게 된 것이다.
두 번째 윤흥길의《장마》작품은 전쟁이는 상황에 나가있는 인물에 대해서 생각하는 가족의 인식을 드러냄으로써 극단적인 상황에서의 연민을 느낄 수가 있었고 그런 극단적인 상황을 우리나라의 집단적인 자아가 투영된 전통적 문화 가치를 통해서 갈등을 해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 조정래의《불놀이》작품은 '불놀이'에서는 크게 두 가지 극복 방식을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계급차이에서 오는 분노를 잔인하게 복수하면서 풀어내는 배점수의 방식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분단현실에 이입시켜보면 이러한 방법은 계속된 악순환을 초래하며 결국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찬규는 후손에게까지 넘어온 문제를 자신의 선에서 해결해야겠다는 생각을 갖는다. 배점수와 같이 사적인 감정이 큰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국가적, 민족적, 이념적으로 문제를 파악해 그 악순환을 마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근본적인 문제를 파악하여 그것을 해결해야한다는 메시지를 이 소설에서 인식할 수 있다.라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