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공사의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비 공사의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설비공사 개론

2. 위생설비공사

3. 난방설비공사

4. 공기조화설비공사

5. 실내배선 및 조명설비공사

6 소화설비공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부터 5m 이내
설치간격
건물의 각 부분에서 소화전까지의
수평거리 40m 이하
다) 스프링클러(Sprinkler) 설비
화재시 자동분무로 물을 뿜는 소화전의 일종으로 천장 또는 지붕 밑에 배수관을 배치하고 그 말단에 살수기를 설치한 소화 설비이다.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기준
설비구분
설비의 설치기준
표준 방수압력
1kg/㎠
표준 방수량
80ℓ/min 이상
설치간격
건물의 용도 및 구조에 따라 1.7~3.2m
라) 드렌처(Drencher)
건축물의 외벽, 창 등에 설치하여 인접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수막을 형성하여 화재의 연소를 방지하는 방화설비이다. 드렌처의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설비구분
설비의 설치기준
표준 방수압력
1kg/㎠ 이상
표준 방수량
60ℓ/min 이상
설치간격
수평거리 2.5m 이하, 수직거리 4m 마다 1개씩
3) 경보설비
가) 자동 화재통보설비
화재발생을 감지기가 자동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발신하게 하거나 사람이 발신기의 누름단추를 눌러 화재신호를 수신기로 발신하게 하여 소화전의 펌프가 연동되어 소화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설비이다. 자동화재 통보설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감지기
화재가 발생하면 열이나 연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발신하는 장치이다. 감지기는 열식과 연기식으로 대별하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차동식 감지기(rate- of - rise heat detector) : 주위 온도가 일정온도 상승률 이상으로 되었을때 작동하는 것으로 1개 국소의 열효과에 의해 작동한다. 이 감지기는 방수성이 없으므로 주방, 목용탕등의 수증기가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다. 특히 온도상승이 일시적으로 심한 장소에서는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를 요하며 감지기 1개의 경계면적은 내화구조일 경우 70㎡, 비내화구조에서는 15㎡ 정도이다. 차동식 스포트형과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로 구분한다.
(나) 정온식 감지기(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 : 국소의 온도가 일정온도(75℃)를 넘으면 작동하는 것으로 보일러실, 주방 등 항상 화기에 취급하는 장소에 적합하다. 감지기 1개의 경계면적은 내화구조일 경우 20㎡ , 비내화구조에서는 15㎡ 정도이다. 정온식 스포트형과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로 구분한다.
(다)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 온도상승률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거나 온도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차동식 감지기와 정온식 감지기의 2가지 기능을 겸비하고 있는 감지기로 가장 이상적인 감지기이다.
(라) 연기 감지기(smoke detector) : 연기가 감지기 속에 들어가면 연기의 입자 때문에 이온전류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이온식과 연기입자로 인해서 광전소자에 대한 입사 광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광전식 감지기가 있으며 경계면적은 내화구조, 비내화구조 고나계없이 150㎡ 정도이다.
(2) 발신기
화재의 발생신호는 이상에서 기술한 감지기가 검출하지만, 사람이 화재를 발견한 경우에 발신기의 수지유리를 깨뜨리고 누름단추를 누름으로써 화재신호를 발신하여 수신기에 전달하여 경보를 내는 장치이다. 옥내소화전에 설치된다.
(3) 수신기
항상 사람이 상주하는 장소에 설치하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발생 장소를 나타내며, 소화전 펌프를 기동시키는 장치이다.
가) 누전경보기
전등이나 전기배선에서 누전이 발생한 경우 자동적으로 경보작동을 하거나 회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성능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분류한다.
나) 자동화재 속보설비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알리기 위한 설비로, 공설화재 속보기(일반적으로 가로등에 설치하여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통보할 수 있도록 한 것), 비상 통보기(건물내부에 설치하며 비상시 버튼을 눌러 작동시킴), 콜 사인기(비상용 버튼을 누르면 미리 정해진 초단파 신호가 발신되는 장치)등이 있다.
4) 피난설비
실내건축에서 고려해야 할 피난설비는 유도등 및 유도표지가 대표적이며, 일반적으로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시설에 사용한다. 화재발생 등 비상의 경우 사람들이 혼란 없이 안전한 장소로 피난 할 수 있도록 피난구, 피난 통로 등의 보기 쉬운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다. 유도등에는 피난구 유도등, 통로 유도등, 객석 유도등 등이 있다.
5) 소화활동설비
가) 연결송수관설비(Siamese connection)
7층 이상의 건축물이나 5층 이상의 연면적 6,000㎡ 이상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설비로 연결 송수관의 송수구를 통하여 소방차의물을 옥내로 송수하고, 옥내의 방수구에서 방수하여 소방대원의 소화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설비이다. 노풀형(단구형,쌍구형)과 매입형으로 구분하며, 표준 방수압력은 3.5kg/㎠ 이상, 표준 방수량은 800ℓ/min 이상, 설치간격은 건물의 각 부분에서 송수구까지의 수평거리는 50m 이하로 한다.
나) 연결살수설비
소방대원의 전용소화전인 송수구를 통하여 소방차로 실내에 물을 공급하여 소화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로, 주로 지하층의 화재진압을 위한 설비이다.
다) 비상콘센트설비
초고층 건물 등과 같이 소화용 고가사다리가 미치지 않는 높이의 건축물에 대하여 배연설비와 조명설비의 전원공급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이다.
참고문헌
건축설비공사의 시공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설비전담부서의 설치 필요성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ㆍ 조형근
건축설비 공사 하자 사례 유형 분석 및 대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ㆍ 박진관
에너지 절약을 위한 건축설비 제도 개선제안
한국동력자원연구소 ㆍ 경대호
공동주택의 건축설비 하자요인 분석 및 대책에 관한 연구
경원대 환경정보대학원 ㆍ 조종선
공동주택에서 유지보수를 위한 설비공간 확보에 관한 연구
한양대 산업대학원 ㆍ 한상혼
건축설비 공사 하자 사례 유형 분석 및 대책
대한설비공학회 ㆍ 박진관
설비공사의 Value Engineering 실무
대한설비공학회 ㆍ 최춘배
중소규모 건설공사의 불실원인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ㆍ 옥종호
건축 기계설비 의 공사관리
대한주택공사 ㆍ 김효경
냉열원 설비 개수공사시 빙축열시스템 적용사례
대한설비공학회 ㆍ 권영욱
  • 가격2,2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8.12.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