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평가]장애인직업평가의 정의, 장애인직업평가의 목표, 장애인직업평가의 객체, 모델과 장애인직업평가의 종류, 장애인직업평가의 방법, 장애인직업평가보고서의 작성 및 장애인직업평가에 대한 기대효과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업평가]장애인직업평가의 정의, 장애인직업평가의 목표, 장애인직업평가의 객체, 모델과 장애인직업평가의 종류, 장애인직업평가의 방법, 장애인직업평가보고서의 작성 및 장애인직업평가에 대한 기대효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장애인직업평가의 정의

Ⅲ. 장애인직업평가의 목표

Ⅳ. 장애인직업평가의 객체

Ⅴ. 장애인직업평가 모델
1. VEWAA 직업 평가 모델
2. 위스컨신대학의 UW-Stout 모델
3. 나돌스키 모델

Ⅵ. 장애인직업평가의 종류 및 방법
1. 서류심사 및 면접
2. 각종검사
1) 직업적성 및 흥미검사
2) 신체직업능력 및 정신기능검사
3. 표본작업평가(Work sampling)
1) TOWER 시스템
2) Valpar법(Valpar Component Work Sample Series)
3) 기타의 표본작업 평가
4. 장실습평가(Job tryout evaluation)
5. 직무분석(Job analysis)
6. 기타 검사 및 평가
1) 수교치성검사(manual dexterity tests)
2) 직업능력평가(Vocational measure)

Ⅶ. 장애인직업평가보고서의 작성

Ⅷ. 장애인직업평가의 기대효과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큰 의의를 가지나 작업계약에 의해 제한을 받으며 공장의 제한, 취업의 여러 가지 형태 등에 따라 평가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고, 작업상황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요인 등을 가려낼 수 없는 점이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인 평가기간은 보통 1~2주이나 평가대상자의 특성과 작업의 특성에 따라 하루가 될 수도 있고 1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현장실습평가는 직업평가의 마지막 과정으로 실시되고 있다.
5. 직무분석(Job analysis)
장애자 개개인에게 직업에 관한 적절한 계획을 갖게 하기 위하여 특정한 직무에 관한 작업조건, 요구조건, 신체적, 기능정도, 지적 기술적 환경적 조건 등의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자 개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직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직업평가원은 직무분석을 잘 알고 있어야만 장애자가 그 직종과 직무의 요소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표본작업을 개발할 수 있다. 직무분석은 주로 작업내용(작업의 개괄, 작업순서), 작업수행에 필요한 사항(책임, 직무에 관한 지식, 정신적 동기, 손재주, 정확성 등), 작업자의 신체적 요건(신체기능동작, 물리적 화학적 작업환경, 작업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토대로 하여 행해진다.
6. 기타 검사 및 평가
1) 수교치성검사(manual dexterity tests)
Purdue Pegboard, Bennett 손도구 교치성검사(Benett Hand-Tool Dexterity Test), Crawford 소형부품 교치성검사(Crawford small parts Pexterity Test), O\'Conner 운지교치성검사(The O\'conner Finger Dexterity), Stromberg 교치성 검사(The Stromberg Dexterity Test) 등이 있다.
2) 직업능력평가(Vocational measure)
다차원직업목표평가(Multidimensional objective Vocational Evaluation :MOVE), SRA 사무적성검사(SRA Clerical Aptitudes), Minnesota 사무능력 검사(Minnesota Clerical Test), Bennett 역학이해도검사(Bennett Mechanical Comprehension Test), MacQuarrie 역할 능력검사(MacQuarrie Test of Mechanical Ability) 등이 있다. 그 외에 직업적성검사법과 인간공학의 동작분석을 장애자용으로 개발한 MODAPTS법(Modular Arrangement of predetermined time Standards), MODAPTS법을 발전시켜 보다 광범위한 작업, 사무능력 등을 포함시켜 총괄적인 능력개요를 평가하는 Workability 테스트 등이 있다.
Ⅶ. 장애인직업평가보고서의 작성
직업평가 보고서는 클라이언트의 직업재활에 관하여 수집된 정보를 다른 전문가에게 의사전달을 하는 체계적인 방법이다. 이 보고서의 모든 정보들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쓰여질 필요가 있다. 직업평가 보고서는 규준참조검사 결과와 관찰을 기초로 작성된다. 직업평가사들은 클라이언트의 직업잠재력과 능력을 구조적이며 실제적인 용어로 서술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클라이언트의 장애가 여러 가지 영역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클라이언트의 상대적 강점을 강조해야 한다. 클라이언트의 장애가 심하여 평가도구로 알 수 없다면 절대적인 기준에 대한 능력 절하보다 상대적인 강점을 파악하여 클라이언트의 직업잠재력이 현실로 나타날 때까지 극대 하는데 목표를 두고 지도하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보고서는 1)의뢰사유에 대한 간단한 요약 2)장애정보 3)의미 있는 행동관찰과 직업적 의미 4)일상생활이나 사회적 기능의 정보 5)검사와 표본작업 평가결과의 기능적 의미 6)관찰과 결과를 함께 요약 7)희망하는 고용 목표 및 직업 기술 8)프로그램 수행 시 장점, 지원이 필요한 사항, 제한점 요약 9)추천 사항(장·단기 직업명 및 직업군 탐색, 추가적인 서비스 등)으로 작성된다. 상대적인 강점과 약점으로 요약한 자료는 클라이언트의 이해와 지도에 도움이 될 것이다.
Ⅷ. 장애인직업평가의 기대효과
첫째,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직업진로 지도를 한다. 둘째, 다른 직업재활 담당자에게 체계적인 직업평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훈련 및 취업지도 계획 시 성과를 예측할 수 있게 하여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직업평가 자료가 직업현장과 연결되어 현장 적응 및 고용안정을 돕는다.
Ⅸ. 결론
직업평가는 직업재활운동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직업평가의 실제는 직업재활의 한계를 넘어서는 경향이 있다. 직업평가 전문가들은 다양한 고용환경에 고용된다. 따라서 직업평가 전문가의 역할과 기능은 그들의 고용 장소에 따라서 다양하다. 전통적으로 직업평가 과정의 대상은 장애인과 사회적 불이익 집단이었다. 사회적/경제적 장벽이 없다 할지라도 직업평가를 통해 얻어진 결정은 직종을 선택하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활용되어지는 종래의 시행착오 방법보다는 많은 이점을 가진다. 장애인들은 직업평가로부터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집단이다. 한편, 장래에는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어떤 사람에게도 직업평가 기술이 활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 강위영·이상진(1999), 직업 및 직능평가, 서울: 학지사
○ 강필수(1991)장애인 직업평가 체계연구, 서울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방명애(1999), 자폐아 교육의 최상의 실제, 정서학습장애연구, 제15권 제1호, 149-172
○ 박석돈(1994), 직업평가, 대구 : 문창사
○ 성인 정신지체인의 지능, 적응행동, 작업평가간의 관계 및 작업수행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성지재활연구,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이상진(2000), VITAS 작업표본과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 진로 의사결정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정신지체인 재활을 위한 McCarron-Dial System의 적용(1995),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2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