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례][혼례][상례][제례][관혼상제]관례, 혼례(전통혼례 의의, 전통혼례 절차, 외국 혼례), 상례(상례 의의, 전통상례, 일본 상례), 제례(제례 의의, 제례 유래, 전통 제례) 분석(관례, 혼례, 상례, 제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례][혼례][상례][제례][관혼상제]관례, 혼례(전통혼례 의의, 전통혼례 절차, 외국 혼례), 상례(상례 의의, 전통상례, 일본 상례), 제례(제례 의의, 제례 유래, 전통 제례) 분석(관례, 혼례, 상례, 제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관례

Ⅱ. 혼례
1. 전통혼례의 의의
2. 전통혼례의 절차와 순서
1) 의혼
2) 납채
3) 납폐
4) 친영
3. 폐백의식
4. 외국의 혼례 사례

Ⅲ. 상례
1. 상례의 의의
2. 전통 상례
1) 임종
2) 수시
3) 고복
4) 발상
5) 전
6) 습
3. 일본의 상례 사례

Ⅳ. 제례
1. 제례의 의의
2. 제례의 유래와 변천
3. 전통 제례의 종류
1) 기제
2) 차례
3) 사시제
4) 묘제
5) 이제
6) 사당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의 제사를 지내 왔고 이곳이 예의의 나라라 불리어 온 우리 민족의 자랑이기도 했다. 제사는 남의이목이나 채면 때문에 많은 제수를 차려 놓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것을 형편에 따라 정성껏 지내면 그것으로 족하다. 현대에 와서는 제사가 고작 기제, 묘제, 절사에 한하고 있다. 그것도 기제의 경우 조부모, 부모의 2대 봉사를 원칙으로 하고, 제사 시간도 기일, 일몰 후에 지내고 있으니 모든 것이 간편 위주로 변해 가고 있다. 또한 기제에서 고위의 제사 때는 고위만 지내고 비위의 제사 때는 비위만 지내는 것이 옳다는 설도 있고 고위와 비위를 같이 지내야 한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퇴계 이황은 이에 대해서 \"기일에 고위와 비위를 함께 지내는 이런 예법이 옛날에는 없었다고 하지만 내 생각으로는 함께 지내는 것이 예법에 어긋날 것이 없고, 인정에도 합당한 일\" 이라 했다. 이 교훈을 따르는 것이 옳을 것이다.
3. 전통 제례의 종류
1)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이다. 기제의 봉사 대상을 과거에는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 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비속에 한해서만 기제를 지낸다. 제사 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 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었다. 그러나 요즘은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그 날 해가 진 뒤 어두워지면 아무 때나 적당한 시간에 지낸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지내는데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한다.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는 차자나 차손이 주관한다.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은 고인의 직계 자손으로 하며 가까운 친척도 참석할 수 있다. \'주자가례\' 나 도암 이제의 \'사례편람\'에는 기일을 맞는 당사자 한 분만을 모신다고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두 분을 함께 모셔 왔으므로 이 관습을 무시할 수 없다. 가정의례 준칙에서도 부모가 모두 별세하였을 경우 합설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2)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날에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이다.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낸다.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루의 연시제와 추석절의 절사가 이에 해당된다.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무축단작이라 하여 축문이 없고 술은 한 잔만 올린다.
(1) 연시제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로서 봉사 대상은 원래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은 2대조까지만 한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 대상이 되는 여러 분을 한꺼번에 모신다. 지방은 합사하는 경우 한 종이에 나란히 쓴다. 메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2) 추석절 제사
음력 8월 보름에 지내는 제사이다.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든 직계 조상으로 하며, 제수는 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3) 사시제
철을 따라 1년에 네 번 드리는 제사로서, 매중월(2월, 5월, 8월,11월)상순의 정일이나 해일을 가리어 지낸다. 보통 날짜는 전달 하순에 정한다. 제사 전 3일 동안 재계한다. 제사하루 전날에는 정침을 깨끗이 청소하고 신주 모실 자리를 마련한다. 방 한가운데에 향탁을 놓고 그 위에 향로 향합촛대를 놓는다. 주부는 제기를 갖추어 손질하고 제찬을 정결하게 마련한다.
밤새도록 촛불을 밝혀 두고 다음날(제삿날)날이 밝으면 아침 일찍 일어나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제복을 입고 사당으로 나아가 분향한 뒤 신주를 정침으로 내 모신다. 제사 지내는 순서는 참신 강신 진찬이 끝나면 초헌 아헌 종헌에 이어 유식 합문 계문을 한뒤 수조를 한다. 사신하고 나서 납주하면 상을 물리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사례편람)에는 시제야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 있지만, 요즘에는 이 시제를 거의 지내지 않는다.
4) 묘제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이다.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신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에는 1년에 네 번, 즉 정월 초하루, 한식, 단오, 추석에 묘제를 지낸다고 되어 있고, (사례편람)에는 3월 상순에 날을 택하여 지낸다고 적혀 있다. 요즘은 1년 중 적당한 날을 하루 잡아서 산소를 찾아가 문중이 모두 함께 제사를 드리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 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 옷을 갖추고 일찍산소에 찾아가 재배하고, 산소를 둘러보면서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풀이 있으면 벌초하고 산소 앞을 깨끗하게 쓴다. 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하고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 깔고 제찬을 진설한다. 그리고 참신 강신 초헌 아헌 종헌 사신의 순으로 제사를 지내고 상을 물린다.
5) 이제
계추에 지내던 제사로서 계추란 음력 9월을 가리킨다. 전달 하순에 제사 지낼 날짜를 택일한 뒤, 제삿날을 맞으면 사흘 전 재계하고 하루 전 신위 모실 자리를 마련하고 제찬을 준비한다. 제삿날이 동이 틀 무렵 일찍 일어나 제상을 진설한 뒤 제주 이하가 옷을 갈아입고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정침으로 모셔 내와 제사를 지낸다.
제사는 참신 강신 진찬 초헌 아헌 종헌 유식 합문 계문 수조 사신 납주 철상준의 순으로 진행한다.
6) 사당
집을 지을 대에는 주인이 거처하는 방의 동쪽에 사당을 짓고 이곳에 조상의 신주를 모신다. 신주는 남향하여 서쪽으로부터 고조 증조 조 부의 순서로 감실 안에 봉안한다. 사당이 있는 집은 종자가 대대로 살면서 지키고, 아무에게도 팔거나 주지 않는다. 주인은 새벽에 일어나 사당을 찾아뵙고, 외출하거나 밖에서 돌아오면 이를 또한 사당에 고한다. 또 정월 초하루나 동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사당에 참배해야하고, 철마다 새로 나온 음식을 사당에 올리며, 집안에 무슨 일이 발생하면 이를 사당에 고한다.
참고문헌
가정의례백과(1998) / 한국전통의례연구회 편, 일송미디어
김석진(2000) / 한국전통가정의례, 학문사
김정옥 외(1997) / 결혼과 가족, 학지사
김정옥 외(1997) / 결혼과 가족, 학지사
이민수(1975) / 관혼상제, 을유문화사
이춘자·김귀영·박혜원, 사진/배병석, 통과 의례 의식, 대원사
임재해(1999) / 전통 상례, 대원사

키워드

관례,   혼례,   상례,   제례,   관혼상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