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샹과 다다이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뒤샹과 다다이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 연구목적 및 의의
2. 연구방법

II. 뒤샹의 작품세계
1. 초기의 작품들
(1) 인상주의적 화풍
(2) 야수주의적 성향
(3) 입체주의의 영향
2. 미국에서의 활동
(1) 샘(1917)
(2) L.H.O.O.Q.(1919)
(3) 커다란 유리 - 그녀의 독신자들에 의해서 발가벗겨진 신부(1915~23)
3. 후기 작품의 페미니즘적 해석

III. 다다이즘
1. 다다의 어원과 의미
2. 다다의 흐름
(1) 취리히 • 뉴욕
(2) 파리 • 독일

IV. 다다와 모더니즘
1. 다다와 모더니즘에 대한 모순적인 두 설명
2. 모더니즘의 두 가지 의미 : 시대로서의 모더니즘 / 경향으로서의 모더니즘
3. 다다와 모더니즘의 관계: 보들레르와 미적 모더니티, 아방가르드
4. 다다와 모더니즘과의 관계: 작품의 비교 분석

V. 다다와 네오다다(포스트모더니즘)
1. 포스트모던과 네오다다
2. 다다와 네오다다와의 관계
3. 반미학의 미학: 롤랑 바르트와 아방가르드의 죽음

VI. 논의의 종합

VII. 결 론
1. 뒤샹의 작품세계에 관하여
2. 뒤샹과 다다이즘에 관하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에 충실하여 모든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반항 및 도전, 즉 ‘반미학’을 표방한 반면, 워홀로 대표되는 네오다다는 그러한 반항 및 저항 의식을 자신의 작품의 ‘모티프’로 활용하면서, 그러나 그러한 저항 의식이 곧 미라는 ‘반미학의 미학’을 표방한다. 양자는 그 다루는 대상과 모티프에 있어서는 동일하나 그것이 지닌 함의, 즉 예술에 대한 근본적 관점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3. 반미학의 미학: 롤랑 바르트와 아방가르드의 죽음
이러한 점에서 다다에서 네오다다로의 이행, 다시 말하면 아방가르드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은 아방가르드가 ‘죽었다’ 고 선언한 롤랑 바르트의 지적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롤랑 바르트는 1956년에 출판된 한 논문에서 최초로 아방가르드의 죽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는 아방가르드는 그것이 그토록 격렬하게 그들의 가치를 거부했던 바로 그 계급에 의해 예술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죽어갔다고 말한다. 칼리니스쿠, 앞의 책, p.151.
2차 대전 이후 워홀과 같은 대중적 아방가르드 예술이 성공하면서, 그와 병행하여 아방가르드라는 용어 자체가 대중적 광고구호로 변형되는 결과를 낳았다. 아방가르드의 공격적이고 무례한 수사학은 단순히 유쾌하고 대중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고, 그것의 묵시록적 절규는 편안하고 무해한 상투어로 변화되었다. 결국, 아이러니컬하게도 아방가르드는 엄청난, 원하지 않은 성공을 통해 자신이 실패했고, 급기야 ‘죽었음’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칼리니스쿠, 앞의 책, p.151.
이러한 롤랑 바르트의 지적은 다다와 네오다다의 관계에 대한 적절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다다는 반미학을 그 바탕으로 하는 만큼, 보들레르가 지적했듯이 그러한 반미학성이 순응주의에 빠지면 곧 자기모순을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뒤샹의 다다이즘은 순수하게 반미학을 추구하였고, 이는 뒤샹의 생애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실제로 뒤샹은 1919년 이후 모더니즘의 주된 기법이었던 회화와 결별을 선언하고 더 이상 회화를 그리지 않았다. 또한 뒤샹은 예술을 그만두고 프로 체스게이머로서 생활하는 등 시종일관 기존 예술에 대한 반항적, 냉소적 태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반미학을 통해 자신의 대중적 인기와 미학을 추구한 워홀의 네오다다는 한편으로 뒤샹의 다다를 계승 발전시켰으면서도 한편으로 변질시키기도 했다고 하겠다.
VI. 논의의 종합
지금까지 논의해 온 바를 표로 나타낸다면 다음과 같다. (물론 모든 논의가 표를 통해 종합될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 표에서는 주로 모더니즘과 다다, 다다와 네오다다의 개괄적인 관계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시대
경향
모던 이전
모던(광의의 모더니즘
=협의의 모더니즘 + 다다)
포스트모던
시각적
(형식 중시)
화면이 표상하는 현실세계
외부적, 외부지시성 (재현)
구상
화면 위의 형상 그 자체
내재적, 자기지시성
추상
협의의 모더니즘(그린버그)
①입체주의, 추상
②브라크 등
③형식주의 미학 : 순수한 형태와 색채의 구성 추구
④외계 사물과의 대응 거부 : 일상과 예술의 분리
개념적
(내용 중시)
다다(뒤샹)
①레디메이드
②뒤샹
③반미학
④일상적 대상을 예술적 범주로 끌어들임 : 일상과 예술의 구분 해체
네오다다(워홀)
①팝아트, 콘셉츄얼아트
②워홀
③반미학의 미학
④대중문화를 모방함으로써 예술적 작품으로 승화시킴 : 일상과 예술의 구분 해체
VII. 결 론
1. 뒤샹의 작품세계에 관하여
뒤샹은 다다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다양한 작품 활동을 보여왔다. 그의 작품세계 전반에 있어서는 각 작품별로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검토가 필요하다. 가령 뒤샹의 후반부 작품들인 커다란 유리, 에땅 도네와 같은 작품들은 페미니즘적 시각으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2. 뒤샹과 다다이즘에 관하여
다다이즘은 아방가르드의 한 범례에 속하는 것으로서 반미학적 태도를 그 본질로 한다. 그러나 다다이즘은 아방가르드라는 상위 개념에 포섭됨과 동시에 그 아래에 실제로 다다이즘을 표방하고 활동하였던 각 예술가들의 작품 세계와도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다다이즘은 다다를 표방한 각 예술가들의 성향에 따라 조금씩 그 의미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취리히와 뉴욕 다다, 파리 다다, 독일의 다다에 따라 다다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은 그 좋은 예이다.
그렇지만 모든 개별적 특성을 하나하나 검토하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아방가르드라는 추상적 경향성만을 놓고 논의하는 것 또한 숲만 보고 나무를 보지 못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논의에서는 숲으로서의 ‘반미학’ 의 아방가르드 정신과 그 한 나무로서의 ‘뒤샹’ 의 작품세계를 논의의 기초로 삼았다. 다만 그렇기 때문에 다다에서 모두 다루지 못한 측면은 앞으로 더 연구하고 보완해야 할 과제로 남을 것이다.
이러한 뒤샹의 다다이즘을 통해, 우리는 개괄적으로나마 모더니즘 ‘시기’에 존재했으면서도 기존의 모더니즘 ‘경향’과 구별되는 다다의 예술사적 위치를 파악하고, 다다가 후대, 즉 포스트모더니즘과 네오다다에 미친 영향을 알아볼 수 있었다. 기존 예술에 대한 반발과 저항을 통해 예술의 발전에 선구자적 위치를 차지하고 후대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 뒤샹과 그의 다다이즘은, 서구 예술사에 있어 하나의 큰 이정표를 세웠다고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김광우, “뒤샹과 친구들 - 모던아트의 시작과 끝”, 미술문화, 2005.
김낙준, “뒤샹”, 금성출판사, 1976.
미셸 사누이에, 임진수 역, “다다-취리히 뉴욕“, 열화당, 1990.
미셸 사누이에, 임진수 역, “다다-파리와 독일”, 열화당, 1992.
칼리니스쿠, 이영욱 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언어, 1998.
F. 프라시나 & C. 해리슨, 최기득 역, “현대회회의 원리”, 미진사, 1991,
Caroline Cros, Translated by Vivian Rehberg, "Marcel Duchamp", Reaktion Books, 2006.
Lewis Kachur, "Diaplaying the Marvelou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1.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2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