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현대우리말본 정리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문법론 현대우리말본 정리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말본의 얼거리

2. 말본범주

3. 말본의 형성배경

4. 북한의 말과 글

5. 형태소와 낱말

6. 낱말만들기

본문내용

분류되는 변이형태
실현되는 환경 예측가능
자동적인 교체가능
-이/-가, -을/-를,
-었-/-았-,
-어라/-아라,
-어서/-아서
형태론적 변이형태
특정한 개별형태 뒤에 특정 형태가 실현되는 변이형태
실현되는 환경 예측불가, 불규칙, 비자동적 교체
-너라/-여라/-거라
-였- ,-여서
임의적 변이형태
(자유 변이형태)
임의적 교체 가능한 변이형태,동일한 환경에서 조건없이 서로 대체 될 수 있는 변이형태
-려고/-고자,
-어라/-라,
-니/-냐, 노을/놀
무형의 변이형태
가(아)있다 → 가□있다 / 서(어)있다 → 서□있다
Q5. 유일형태소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어휘화와 관련시켜 그 처리 방안을 생각해 보라.
A. 단 하나의 형태소와만 결합하는 형태소인 유일형태소의 종류에는 뇟보(융통성 없는人),
밤도와, 보슬비, 새삼스럽게, 지붕(집+웅), 꼬락서니(꼴+악서니), 읊조리다
Q6. 대표형태를 정하는 기준을 설명하라.
A. 첫째, 간결하게 설명가능 한 것.
둘째, 분포가 큰 것을 정하거나 임의로 정하기도 함
Q7. 형태소를 구성소와 형성소로 나눌 때의 기준을 설명하고 이렇게 나누는데 대한 필요성을 생각해 보라.
A. 구성소는 희박하고 불규칙적이며 비생산적인 형태소로 단어구성소와 문장구성소로 나뉜다. 단어구성소의 예에는 -웅/-엄/-악서니 등이 있으며 문장구성소에는 -는-/-느-/-니- 등이 있다. 형성소는 흔하고 규칙적이며 생산적인 형태소로 단어형성소와 문장형성소로 나뉜다. 단어구성소의 예에는 -개/-거리/-기 등이 있으며 문장형성소에는 -시-/-었-/-겠- 등이 있다. 그리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언어의 모습을 공시적으로 고정하는 일은 말본의 체계수립을 위하여 필요한 조처이기는 하되 때로는 그 형태소의 기능이 완전히 달라져서 이미 형태소로서의 기능을 잃은 것까지 형태소로 처리하는 불합리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형태소를 형성소와 구성소로 나누는 일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Q9. 낱말 설정의 기준에는 분석적인 관점과 절충적인 관점, 종합적인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 차이점을 설명하고 각각의 관점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생각해보라.
A.낱말설정의 기준에는 주시경 선생의 분석적인 관점, 정렬모 선생의 종합적인 관점, 최현배, 허웅 선생의 절충적인 관점이 있다. 첫째, 분석적인 관점은 어미와 조사에 단어의 자격 부여한 것으로 단점으로는 자립성 없는 조사, 어미에 단어의 자격을 주어 일반대중이 예컨대 -은/-푸르/-었다 등을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기 어렵다. 둘째, 종합적인 관점은 조사와 어미를 단어로 취급하지 않고 한 어절을 단어로 취급하는 것으로 장점으로는 단어, 문장성분, 띄어쓰기 단위가 모두 일치하여 합리적 문법기술이 가능하고 단점으로는 체언이 문법적인 기능을 하기위해 형태변화를 한다고 봐야한다. 셋째, 절충적인 관점은 조사만 단어로 인정하는 것으로 현행 학교문법에서 인정되며 2007년에 단어란 자립할 수 있는 말이나 형태소에 붙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로 규정한다.
Q10. 토씨와‘이다’에 낱말의 자격을 주어야 할 까닭을 설명하라.
A. 단어를 최소자립형식으로 정의 내릴시 둘 다 의존형태가 될 수밖에 없지만 국어문법상에 서는 둘 다 단어로 취급한다. 먼저 조사를 단어로 보는 이유는 어미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자립성이 있고, 또한 부사, 용언, 문장, 체언에도 붙고 굴곡 하는 것이 아니므로 어미와 비교 시 자립성이 있다. 다음‘-이다’를 단어로 보는 이유는 첫째, 동사, 형용사처럼 활용 을하고 둘째, 2.선어말어미와 결합가능하며, 셋째, 동사, 형용사처럼 보조사가 결합가능하며 넷째, 동사, 형용사, 부사 뒤에 결합해서 풀이말이 되게 한다. 따라서 토씨와 이다는 단어의 자격을 줘야 한다.
<제6장 낱말만들기>
Q1. 낱말은 그 짜임새에 따라 홑낱말(단일어)과 겹낱말(복합어)로, 겹낱말은 다시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누는 데 대한 기준을 설명하라.
A. 단일어는 봄, 먹다와 같이 하나의 자립적인 실질형태소(어근)로 이루어졌거나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된 단어이고, 복합어는 높푸르다와 같이 어근과 어근이 겹치거나 맨손, 선생님처럼 어근에 파생가지가 붙어 만들어진다.
Q3. 낱말 구성소와 낱말 형성소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구분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라.
A. 단어구성소는 희박하고 불규칙적이며 비생산적인 형태소로 그 예에는 -웅/-엄/-악서니 등이 있고 단어형성소는 흔하고 규칙적이며 생산적인 형태소로 그 예에는 -개/-거리/-기 등이 있다. 5장<형태소와 낱말> 7번 문제에서 그 필요성을 언급했듯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언어의 모습을 공시적으로 고정하는 일은 말본의 체계수립을 위하여 필요한 조처이기는 하되 때로는 그 형태소의 기능이 완전히 달라져서 이미 형태소로서의 기능을 잃은 것까지 형태소로 처리하는 불합리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형태소를 형성소와 구성소로 나누는 일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Q4. 파생가지는 그 구실에 따라‘한정적가지’와‘지배적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가지의 특성을 설명하라.
A. 한정적 접사는 특정한 어근의 앞에 덧붙어서 그 뜻을 한정해서 어휘적인 뜻만 더하고 씨 범주를 바꾸지 못해서 어휘적 접사라고도 하며 경우에 따라 접두사, 접미사 둘 다 가능하지만 특히 접두사의 경우에 많이 해당된다. 예를 들자면 맨몸, 풋사과, 짓밟다, 드높다, 잠꾸러기 등이 있다. 지배적 접사는 문장의 구조와 품사를 바꿔주는 기능을 해서 통사적 접사라고도 하며 위의 경우와 달리 접미사의 경우에만 해당된다. 예컨대 지게, 사나이답다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Q5.‘매김씨’와 ‘매김씨스런 앞가지’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라.관형사성 접두사
관형사
형태론적 단위(단위 만들기에 관여)
통사론적 단위, 문장의 구성단위
결합할 수 있는 어근이 제한적
ex)덧문, 덧저고리, 덧수건(x)
뒤에 명사성만 갖추고 있다면 그다지 제한적이지 않음 ex)헌색동치마
뒤의 어근과 분리성X
ex)덧()저고리(x)
뒤의 어근과 분리성0
다른 범주에도 결합 가능
ex)갓 스물, 갓 태어나다
결합범주가 명사성을 띄고 있어야 함
ex)새 모자, 새 만들다(x)
의존 형태소
자립 형태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