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가사 비교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강가사 비교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가사(歌辭)는 무엇인가?
3. 송강(松江) 정철(鄭澈)에 대하여
4. 송강가사 살펴보기
5. 송강가사, 그 이전과 이후
6. 정리하며

본문내용

.
炎염 냥이 힝링 아라 가다 딪 고텨 오니,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사미인곡 中 -
본사중에 여름의 계절을 배경으로 쓰여진 하사에는 녹읍이 우거진 계절에 이을 그리는 정성스런 마음으로 임의 옷을 만들어 백옥함에 담아 부치고자 하나, 임이 과연 반기실지 의문이라고 변함없는 충성을 다짐하고 있다.
『힝 디고 새 닙 나니 綠녹陰음이 힝렷다딪,
羅나 위 寂져寞막힝고 繡슈幕막이 뷔여 잇다.
芙부蓉용을 거더 노코 孔공雀쟉을 둘러 두니,
까득 시링 한딪 날은 엇디 기돗던고.
鴛원鴦앙錦금 버혀 노코 五오色싶線션 플텨 내여,
금자힝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手슈品품은 킹니와 制졔度도도 까짜시고.
珊산瑚호樹슈 지게 우힝 白빛玉옥函함의 다마 두고,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딪 빛라보니,
山산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千쳔里리 萬만里리 길힝 뉘라셔 칭자 갈고.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사미인곡 中 -
또한 「사미인곡」과 더불어 가사문학의 극치를 이루는 「속미인곡」에서도 이러한 부분은 살펴볼 수 있는데, 「속미인곡」서사부분에 두 여인이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임을 그리워하며 대화를 나누는 두 여인은 작가 자신을 대변하는 것이고, 임은 임금을 뜻하는 것이다.
『뎨 가다 뎌 각시 본 듯도 한뎌이고.
텬天샹上 빛白옥玉경京을 엇디힝야 니離별別힝고,
힝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다고.
어와 네여이고 내 싶셜 드러 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한가마다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싶
나도 님을 미더 군힝디 전혀 업서
이링야 교팅야 어짜러이 구돗힝디
반기시다 다비치 녜와 엇디 다링신고.
누어 싶각힝고 니러 안자 혜여힝니
내 몸의 지은 죄 뫼까티 힝혀시니
하다히라 원망힝며 사링이라 허믈힝랴
셜워 플텨 혜니 조造믈物의 타시로다.』 -속미인곡 中 -
이상의 내용은 「만분가」와 「사미인곡」, 「속미인곡」에서 임금의 곁에서 임금을 섬기며 일편단심 연군의 정을 노래하며, 죽어서도 임금의 곁에서 임금을 모시고 싶다는 공통점을 지는 부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이 작품들 간의 두드러진 특징은 어휘의 사용면에서나 도교사상이 어느정도 엿보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먼저 어휘의 사용에 대해서는 「만분가」에서는 주로 동일어를 많이 구사하였으나, 송강의 「사미인곡」, 「속미인곡」에서는 시어의 중복이 적어졌다는 차이점이 발견된다. 또한 도교사상이 가미되었다는 것은 '白玉京(백옥경)'이라는 소재의 사용이 그러한 주장의 좋은 예가 된다.
) 김선자, 「송강사가와 선행작품과의 상관성 분석」, 국어국문학연구, 1995년, p.62~69.
5. 정리하며
이번 송강가사를 정리하면서 그동안 가사에 대하여 알고 있던 것들보다 더 많은 부분에서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이렇게 여러 가지 항목자체로 나누어서 송강 가사를 살펴본다는 것이 어쩌면 잘못된 방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송강 가사의 여러 측면들은 복합적인 요소로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충사상과 종교관, 또는 자연관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러한 것들을 굳이 나누어 살펴본다는 것이 작품을 원작그대로 이해하는 데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막상 나누어 살펴보니 중복되는 부분이라 할지라도 문학작품을 읽는 것은 우리 독자들의 몫으로서, 어떤 문학작품이든지 독자들의 다양한 시각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는 다양성을 생각해 볼 때 정말 필요한 작업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송강가사가 단순히 가사문학의 백미로 꼽힌다는 의견을 따르기보다, 이번 기회를 통해 이렇게 분석적으로 작품들을 살펴보면서 지금까지의 아쉬운 부분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여러 가지 부분이 있지만, 가사라는 장르가 시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장르로서 음악으로 연주되고 불릴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가사를 우리 음악과 서양 음악적인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세계적인 문학장르로 소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는 제시할 수 없지만, 음악이라는 것은 어떻게든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음악과 상당부분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는 송강 가사이지만, 앞으로도 많은 부분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우리의 문화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이 부족한 조사를 통해 그러한 송강 가사 연구에 작은 발걸음을 디디게 되었다는 데에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 참고문헌
· 류연석,「한국가사문학사」, 국학자료원, 1994년.
· 김성배 외,「주해가사문학전집」, 민속원, 1997년.
· 윤덕진,「가사읽기」, 태학사, 1999년.
______,「가사 유형의 성립과 발전에 관한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1996년.
· 백성의,「송강가사」, 정음사, 1984년.
· 김주곤,「한국가사연구」, 국학자료원, 1998년.
______,「한국가사와 사상연구」, 국학자료원, 1998년.
· 신경림 외,「송강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3년.
· 정재호,「한국가사문학론」, 국학자료원, 1982년.
· 박영주,「고집불통 송강평전」, 고요아침, 2003년.
· 조동일,「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3년.
______,「한국문학강의」, 길벗, 2003년.
· 최강현,「가사문학론」, 새문사, 1986년.
· ______,「한국 기행 문학 연구(주로 조선시대 기행가사를 중심하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81년.
· 김선자,「송강가사와 선행작품과의 상관성 분석」, 국어국문학연구, 1995년.
· 장선용,「송강가사고찰」, 국어국문학연구, 1962년.
· 김신중,「송강가사의 시공상 대비적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95년.
· 김현주,「송강가사의 형성과 변모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95년.
· 최상은,「송강사가에 있어서의 자연과 현실 -<성산별곡>과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993년.
· 최규수,「송강 정철 시가의 수용사적 탐색」, 월인, 2002년.
· 전일환,「송강가사와 그 이전 가사의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79년.
  • 가격3,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