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관측][위성관측자료 활용][대기물현상][하부성층권온도][열대태평양강수][해류]위성관측자료 활용, 대기물현상 위성관측, 하부성층권온도 위성관측, 열대태평양강수 위성관측, 해류 위성관측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성관측][위성관측자료 활용][대기물현상][하부성층권온도][열대태평양강수][해류]위성관측자료 활용, 대기물현상 위성관측, 하부성층권온도 위성관측, 열대태평양강수 위성관측, 해류 위성관측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1. 광학영상
1) 고해상도영상
2) 파장대역별 영상
2. 레이더영상
3. 기상위성영상

Ⅱ. 위성관측자료의 활용

Ⅲ. 대기물현상의 위성관측
1. 필요성
2. 자료수집 방법

Ⅳ. 하부성층권온도의 위성관측
1. 필요성
2. 자료수집 방법
3. 하부 성층권의 온도 추세

Ⅴ. 열대태평양강수의 위성관측
1. 분석 방법
2. MSU 채널1 및 채널2 밝기온도 자료
3. 결과

Ⅵ. 해류의 위성관측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이크로파 창 영역의 채널인 MSU 채널1에서의 밝기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해수면 방출율로 인하여 225K230K이다. 그러나 위성 복사계의 관점에서 구름 및 강수층이 해수면을 엄폐할 때, 구름 및 강수층의 방출율은 상대적으로 해수면보다 높으므로 MSU 채널1 밝기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강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MSU 채널1 밝기온도가 상승하는 이러한 원리가 강수를 유도하는 핵심이다.
채널1 밝기온도가 55S-70S 남극 부근의 해양에서 220K에서 최대 230K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해빙의 존재와 관련이 있다. 증가 원인은 마이크로파에 대한 해수의 방출율(ε)은 0.5인데 반하여 해빙의 방출율(0.5〈ε〈1)은 해수보다 큰 데에 있다. 육지에 비하여 해수의 낮은 방출율은 열대 해양에서 맑은 날에 채널1 온도를 230K로 유지하게 한다. 채널2 밝기온도 기후값은 연평균 분포에서 해수면 온도와 대략 40K의 차를 유지하면서 서로 비슷한 남북 분포를 보인다. 다시 말해, 채널2 밝기온도의 기후값은 해수면 온도의 변화를 상당히 반영한다. MSU 채널1 밝기온도 기후값의 위도별 분포는 50N-50S 해양에서 태양복사의 위도별 분포에 따라 대체로 열대 지역에서 채널1 밝기온도의 최대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열적 효과 외의 대기물현상 존재시의 채널1 온도 상승에 의하여 열대 및 남태평양 수렴대들이 위치하는 지역에서 그 극대값들이 나타났다. 채널1의 계절별 기후값에서 추정된 수렴대들의 위치 및 세기에 의하면, 열대 수렴대는 여름과 가을에 북상(10N)하면서 강화되었고, 봄과 겨울에 남진(6-7N)하면서 약화되었다. 반면에 남태평양 수렴대는 북반구의 가을과 겨울에 11S, 그리고 봄과 여름에 7S에 위치하였으며 그 세기는 봄과 겨울에 강화되었다. 채널1 온도의 계절별 기후값에 대한 위도별 분포에서 그 온도가 최대인 위도대는 유정문·이민효의 위성자료에서 유도된 열대 및 남태평양 수렴대들의 위치와 잘 일치하였다. 채널2 온도는 저위도에서는 258K, 그리고 60°이상의 고위도에서는 235K-240K로 위도와의 상관이 비교적 높았다. 이 분포는 각 반구 여름철에 상대적으로 높은 중간 대류권 온도, 그리고 고위도로 갈수록 점진적인 온도 감소를 보였다.
3. 결과
열대 태평양에서의 강수 알고리즘을 유도하기 위하여, 위성관측 MSU(Microwave Sounding Unit) 채널1(50.3 GHz)과 채널2(53.74 GHz) 월평균 밝기온도 자료와 열대 태평양상의 23 관측소 우량계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알고리즘에서는 하부 대류권의 대기물현상에 민감한 채널1 밝기온도가 가장 많이 가중되었으며, 중간 대류권의 열적 상태를 반영하는 채널2 밝기온도도 열대 태평양에서 위도에 따른 강수량 의존도를 고려하여 포함되었다. 강수식은 우량계값에 대하여 연평균에서 Spencer 식보다 치우침에서 55(mm/month), RMS 오차에서 33(mm/month), 그리고 상관에서는 0.13 정도 더 우수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대류가 활발한 17.5S-20N 지역에서 뚜렷하였다. 자료 기간에 대한 강수 알고리즘의 민감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통계분석 결과에서, 강수식은 북반구 봄과 겨울에 우량계 값에 대한 상관이 낮아지는 현상을 제외하고는 서로 유사한 결과들을 보였다. 기존 강수 자료들 간의 상대적인 불일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TRMM을 포함한 강수 자료들을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위성관측 적외선 자료에서 유도된 강수값은 강수를 동반하지 않는 구름의 영향으로 아열대 지방에서, 그리고 위성관측 마이크로파 자료에서 유도된 강수값은 고위도에서 마이크로파에 대한 해빙 방출율로 인하여 다른 자료들과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열대 및 남태평양 수렴대들의 계절적인 남북 이동과 이 지역에서의 강수량이 엘니뇨와 같은 경년 변화와 함께 토의되었다. 엘니뇨 기간의 강수량 변동을 기초로 할 때, 열대 수렴대는 약화되고 남태평양 수렴대는 강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위성관측 면적 평균값과 지점값인 우량계값의 비교를 통하여 강수 알고리즘의 개선을 유도하였지만 시공간적으로 변동성이 큰 강수의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는 위성 복사계 시계내에 보다 많은 우량계 관측지점이 있을 필요가 있다. 본위성관측 강수 알고리즘은 우량계 관측이 어려운 열대 태평양에 대한 강수 자료를 제공하여, 물수지와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Ⅵ. 해류의 위성관측
해양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물질을 이동시키는 해류이다. 그러나 해류가 시공간적으로 큰 규모이므로 관측이 어렵고 관측방법도 다양하다. 또한 특정 방법만으로 해류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관측 방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상호 보완함이 바람직하다. 위성자료를 이용한 해류의 추정은 표층에 국한되며,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으나, 지속적이며 주기적으로 넓은 해역을 극히 짧은 시간에 관측하는 장점이 있다. 한반도 인근해역에서 AVHRR/SST(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Sea Surface Temperature 표층해수온도)를 이용한 연구는 대마난류의 기원과 황해 연안역의 열전선 및 대마난류의 이동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동해 표층순환과 관계된 SST의 분포와 동해 남서해역에 나타나는 와류의 크기와 변화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인공위성의 표층수온을 이용하여 표층유속을 추정하려고 시도하였다. 기존의 방법들을 검토하고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각프로그램의 민감도와 대상해역의 지역해양학적인 특성에 따라 많은 변수가 존재한다. 동해에 적당한 격자망 크기의 결정, 전선의 대표적인 온도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류장수 : 우리나라의 인공위성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소
박성득 : 인공위성과 위성통신, Ohm사
인공위성 통신 시스템 마랄 : 홍릉과학출판사
장연근·이동허 : 인공위성 시스템 설계공학, 경문사
정찬호 : 인공위성이야기
홍영식 : 인공위성과 우주발사체
황진영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협력부장, 우리나라 우주기술과 전망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