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말뚝>의 페미니즘적 문학교육 방안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엄마의 말뚝>의 페미니즘적 문학교육 방안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엄마의 말뚝>의 페미니즘적 문학교육 방안 연구



Ⅰ. <엄마의 말뚝>의 이해와 감상
1. 박완서의 작품 성향
2. <엄마의 말뚝> 줄거리
3. 이해와 감상

Ⅱ. 페미니즘적 문학교육의 의의
1. 비판적 사고력 향상
2. 긍정적 정체성 형성
3. ‘타자’에 대한 이해의 폭 넓히기

Ⅲ. <엄마의 말뚝>의 페미니즘적 문학교육의 내용
1. 강인한 모성 인지와 어머니의 모순된 가치관 비판
2. 어머니의 상처를 통한 모녀간의 유대 이해
3. 어머니의 정체성 찾기

Ⅳ. 정리 및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되어 왔으므로 페미니즘 시각을 통해 타자를 이해하는 눈도 기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Ⅳ. 정리 및 결론
지금까지 문학교육에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의 하나로 페미니즘 관점을 적용한 교육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연작은 현행 문학교육에서 사회ㆍ역사적 배경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어머니와 딸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성 내지 강한 모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페미니즘 접근에 유용한 텍스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엄마의 말뚝>연작을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분석한 뒤, 이를 문학교육에 적용시키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았다.
무엇보다 페미니즘을 문학교육에 도입하였을 때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여성이미지 비평, 여성 작가 연구, 여성적 글쓰기라는 흐름에 대응하면서도 문학교육의 성격과 연관지을 수 있는 페미니즘적 문학교육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작품 속에 나타난 남성 중심적 가치관을 비판해 봄으로써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페미니즘의 초기 단계인 여성이미지 비평에 해당하는 것이며, 작품을 주체적으로 따져 읽을 것을 강조하는 문학교육의 강조점과도 통하는 것이다. <엄마의 말뚝>은 여성적 텍스트이므로 여성이미지 비평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엄마의 말뚝 1>에 타나난 엄마의 모순된 가치관을 비판해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여성 작가들의 작품 속에 나타난 여성성을 읽어냄으로써 여성 학습자의 긍정적인 정체성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여성이미지 비평 후에 생겨난 여성중심비평과 여성적 글쓰기에 해당하는 항목이며, <엄마의 말뚝>연작에서 뚜렷이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하다. 딸이 엄마의 모순된 가치관을 지시하면서 자신만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것이 잘 드러나 있으며, 어머니와 딸의 관계를 통해 여성간의 유대를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남성 학습자를 배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세 번째 의의를 찾아보았다.
셋째, 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자에 대한 이해까지 나아갈 수 있다. 여성은 남성에 대한 타자로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페미니즘적 문학교육을 통해 단순히 여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더 나아가 이제까지 열등한 존재로 인식되어오던 타자에 대한 성찰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엄마의 말뚝>을 통해 어머니의 삶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면, 이를 학습자의 어머니와 연결시켜 보고, 이를 통해 여성의 삶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여성뿐만 아니라 이제까지 우리의 이항대립구조 속에 열등하다고 인식되어 오던 존재에 대해 반성해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의를 토대로 <엄마의 말뚝>에 대한 페미니즘적 문학교육 요소와 그 의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엄마의 말뚝>연작 전체에 나타난 어머니와 딸의 유대 관계를 파악해 본다. <엄마의 말뚝 1>에서는 엄마의 모순된 가치관을 찾아서 비판해보게 하고, 딸은 그 가치관에 어떤 영향을 받아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는지를 파악해보게 한다. <엄마의 말뚝 2>에서는 어머니의 광란을 통해 여성의 유대가 어떻게 형성되었느냐를 작품 속 모녀관계를 통해 유추해보도록 한다. <엄마의 말뚝 3>에서는 작품 결말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죽음과 이름을 통해 여성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타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넓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엄마의 말뚝>의 페미니즘적 문학교육은 그 의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박완서. ‘박완서 소설전집 7 - 엄마의 말뚝’. 세계사. 2005
구인환 외. ‘문학 교수ㆍ학습 방법론’. 삼지원. 1998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3
김경수 외.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강인숙.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 도서출판 둥지. 1997
박혜경.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을 읽는다’. 열림원. 2003
이선미. ‘박완서 소설 연구: 분단의 시대 경험과 소설의 형식’. 깊은샘. 2004
정영자. ‘한국 페미니즘 문학 연구’. 좋은날. 1999
강민정. ‘박완서 소설 연구: 자전적 성장소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안숙원. ‘「엄마의 말뚝 1ㆍ2ㆍ3」연작소설과 모녀관계의 은유/환유 체계’. 서강여성문학 연구회, ‘한국문학과 여성성’. 태학사. 1998
조윤희. ‘박완서의 페미니즘 소설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28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