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시대 음악의 음형이론의 수사학적 접근과 그 적용 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음형이론의 개념
ⅱ. 대표적 이론가
① 베른하르트(C. Bernhard)
② 부어마이스터(J. Burmeister)
③ 샤이베(J. A. Scheibe)
ⅲ. 음형이론과 감정이론 그리고 음악수사학의 관계
ⅳ. 음형의 종류
① 문법적 음형
② 단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음형
③ 감정을 함유한 음형
ⅴ. 실제 음악에서 음형이 사용된 예
J. S. Bach 『PuernatusinBethlehem(베들레헴에 성자 아기가 나셨네)』 BWV 603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음형으로 순환, 회전, 왕관, 둘러쌈을 의미한다. 이 곡에서는 Circulatio음형을 사용하여 아기의 흔들리는 요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므로 강보에 싸여서 구유에 누워계신 아기 예수를 묘사하며 동시에 ‘탄생의 기쁨’ A. Schweitzer, 『Johann Sebastian Bach』, Germany: Breitkopf & Hartel, 1990, pp. 434.
을 표현한다.
m.1~2에서 페달은 단6도를 포함한 3도 이상 도약 상승하는 Exclamatio (감탄사) 음형으로 ‘와’,‘우아!’같은 탄성이나 외침으로 그리스도 탄생의 놀라움과 기쁨을 의미한다. 이 음형은 정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데 기쁨, 환호, 놀라움, 경탄 같은 긍정적 감정을 표현 할 때는 상승도약 하는 넓은 음정과 활발한 음의 움직임으로 표현하고 슬픔, 멸시, 공포, 경악 등의 부정적 감정에는 하강도약 형태로 나타나며 낮은 음역과 불협화음을 사용한다. Exclamatio 후 순차적으로 하행하는 음형은 추락, 하강을 의미하는 Catabasis음형이다. Catabasis음형은 가사와 관련해서 비천함, 고통, 땅, 사소한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이 곡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시는 것, 겸손함, 비천함의 정서를 표현한다. 이와 같이 페달에서는 Exclamati 와 Catabasis음형이 결합된 형태로 Syncopatiocat- achrestica (맞부딪침: 당김음) 음형을 이루며 독특한 오스티나토(Ostinato)48)를 형성한다. 이것은 구세주 탄생을 기뻐하는 동방박사들이 구유 앞에 엎드려 깊은 경배를 드리는 모습을 묘사한다. Ibid., pp. 431.
또한 내성부의 Trillo음형과 페달의 Catabasis음형으로 인해 그 스케일 안에서 자연스럽게 보조음인 비화성음이 형성되므로 이 곡의 제목인 “Puernatus(성자 아기가 나셨네)”의 의미를 반영하고 있다. “Puernatus”는 아기 예수가 인위적인 방법으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자연성 즉 성령으로 잉태하신 것을 의미하므로 그리스도의 신성함과 동시에 성육신을 의미한다.
m.1~2에서는 테너 성부와 페달의 주요음형이 모두 C음에서 D음으로 2도 상승한다. 이것은 같은 성부에서 선율을 2도 높여 단 1회만 반복하는 Auxesis(증가)음형이다. 또한 이 부분은 선율을 동일한 성부에서 음고만 달리하여 반복하는 synonymia(동일한 이름)음형이며 동시에 반사, 반향을 의미하는 Repercussio음형이기도 하다. Repercussio음형을 사용하므로 듣는 사람은 익숙하고 편한 느낌을 받는 동시에 음높이가 다르므로 진행감을 느낄 수 있다.
BWV 603 m.11~14
악보의 알토 성부와 페달은 대위법의 전형적인 모방 기법중 하나인 세컨드 슈리트 테크닉(Sekund Schritt Technik) 세컨드 슈리트 테크닉(Sekund Schritt Technik): 2도씩 상하행하는 모방 기법.
으로 인해 Climax음형을 이루고 있으며 동시에 Synonymia음형을 이룬다. 그러므로 m.13의 알토 성부는 F#음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나 화성의 진행상 D음으로 우회하여 나타난다. 이것은 Quaesitionotae(음의 탐색)음형으로 예상 음을 ‘찾아가는’경우를 말한다.Climax(단계적인 상승)음형은 수사학에서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점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음악에서는 한 악절을 단계적으로 상행 반복하여 강조하는 기법으로 오늘날 동형진행(sequence)에 해당된다. 이 음형은 가사에 있는 의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며 고조되는 정서를 표현하는 기법으로 ‘찬양하라’, ‘높이라’ 등의 가사에 많이 사용된다. 이 곡에서는 가사 “할렐루야! 할렐루야!”를 반영한 것으로 겸손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더욱 더 소리 높여 찬양함을 의미한다. 윤유정, 『J.S.Bach의 Orgelburchlein에 관한 음악수사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pp. 16~19.
Ⅲ. 결론
바로크 시대에 이르자 음악가들은 중세음악의 전통이나 관습에서 벗어난 음악을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바로크 시대의 음악은 막연한 정서표현에서 벗어나 보다 구체적이고 보편적인 정서 표현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정서표현을 위해서 작곡가들은 악곡의 구성에서 새로운 논리와 방법, 그리고 논리적 근거를 마련해야 했으며, 또한 그들의 음악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도움을 필요로 했는데, 그것은 곧 음형이론이라고 하는 장식이론으로 나타났다.
음형이론은 바로크 음악에서 새로운 영역과 어법을 확장시켜 주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으나 바로크 시대의 쇠퇴와 함께 사라져 갔다. 쇠퇴의 직접적인 원인은 바로크 시대를 지배하던 수사이론의 쇠퇴에 있었는데, 특히 수사이론이 가지고 있었던 표현어법의 보편성이 계속적으로 지속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객관적 정서표현의 이론은 점차 낭만주의의 주관적 정서표현 이론으로 대치되었으며, 따라서 음형이론도 그 효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19세기에 사라졌던 음형이론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정리, 분류하려는 관심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이 계속되어 체계적으로 음형이론이 가지고 있는 음악 안에서의 표현문제, 언어적 기능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Ⅳ. 참고문헌
김미애, 『바로크 시대의 감정이론에 관한 고찰』, 이화음악논집 제 3집, 1999
김미애, 『음악해석학을 적용한 바로크음악의 연구방법』, 음악과 민족 제 23호, 2002
서동화, 『바로크 시대의 음형이론』,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윤유정, 『Bach의 Orgelburchlein에 관한 수사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홍정수, 김미옥, 오희숙, 『두길 서양음악사』제 1권, 서울: 나남출판사, 1997년(2004개정판)
A. Schweitzer, 『Johann Sebastian Bach』, Germany: Breitkopf & Hartel, 1990
H. H. Unger, 『Die Beziehungen zwischen Musik und Rhetorik』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30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