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림의 시집<농무>에 관하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신경림의 출생, 배경
2. 신경림의 주요작품
3. 첫 시집 [농무]에 대하여
1) 신경림의 첫 시집 [농무]
2) 시대적 배경과 1960~1970년대 한국 현대시의 흐름
3) [농무]에 대한 당시의 반응
4. 소외 계층의 삶의 애환을 담은 신경림의 시들에 대한 구체적 분석
1) 갈 대
2) 겨울밤
3) 농무
(1) 시집 표제작 「농무」들여다보기
(2) 농무의 내용 분석
① 간략 분석
② 구체적 내용의 분석- 단락별 주제
(3) 농무에서 화자의 관심사와 의도
(4) 이해와 감상
4) 파장
5) 목계 장터- [새재] 1979
(1) 배경 및 내용 개관
(2) 구체적 내용의 이해
5. 시집 [농무]에 나타난 소재를 통한 분석
1) 노름과 술
2) 시간적 배경의 의미
3) 시의 공간
6. 신경림의 시세계
7. 농무의 시사적 의의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자주 만난다. 그 무엇 하나도 이루어내지 못하는 그들은 ‘노름’과 ‘술’로써 고통을 어루만지려 한다. 농무에 수록된 시는 모두 60편이다. 이중 거의 절반에 가까운 25편에 술(막걸리, 소주) 마시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가운데 몇 편을 골라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농무」중에서-
술에라도 취해볼거나, 술집 색시
싸구려 분 냄새라도 맡아볼거나.
-「겨울밤」중에서-
오늘밤엔 주막거리에 나가 섰다를
하자 목이 터지게 유행가라고 부르자
-「원격지」중에서-
십촉 전등 아래 광산 젊은 패들은
밤 이슥토록 철 늦은 섰다판을 벌여
아내 대신 묵을 치고 술을 나르고
-「경칩」중에서-
막소주 몇 잔에도 우리는 신바람이 나
방바닥을 구르고 마당을 돌았다
-「실명」중에서-
위 시들 모두가 답답하고 고달픈 정서로 현실로부터 도피하거나 순응하거나 자학해버리는 모습들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술’이라는 사물에 대해 좀 더 본래의 의미를 캐볼 필요가 있다. 다 알다시피 술은 원래 농경사회에서 공동체적인 삶을 형성하던 제천의식에서 빠질 수 없는 소중한 것이었다. 술은 신에게 바치는 거룩한 음식이었으며 공동의 화합과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2) 시간적 배경의 의미
3) 시의 공간
6. 농무의 시사적 의의
60년대 시인들이 대개 모더니즘인데 50년대의 엉터리 모더니즘과는 확실히 다르다. 그것을 4 19혁명이 직 간접적으로 60년대 모더니즘에 관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5 16으로 일단 좌절했지만 4월 혁명으로 일깨워진 민중들의 의식들이 다시 각성하는 사회적 문학적인 변화에 직면해 있을 적에 신경림의 시집이 나왔고, 그 시집이 그런 문학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분위기나 사회적인 분위기가 맞아 떨어진 것 이다.
신경림의 농무를 비롯한 뛰어난 민중시들을 그냥 단순히 사회시의 부활로만 봐서는 안된다. 그것은 뛰어난 민중시들을 아류적인 사회시들과 구분하는 것이라 하겠다. 박남수도 언젠가 신경림을 두고 “신경림을 잘 몰라서 그렇지 이 사람은 모더니스트다”라는 얘기를 했었다.
신경림의 시는 ‘민중’의 모습이 주류를 이루는데, 그의 시에는 정작 민중이라는 표현보다는 괴롭고 슬픈 자들, 쓰러지고 짓밟히는 자들, 이런 말들을 즐겨 쓰고 있다. 이런 자들의 편에 서서 시를 써야겠다는 생각의 동기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신경림이 자신이 사람을 좋아한 탓이라 한다. 아무나 따라다니고, 놀고, 특히 못난 사람들과, 그럿이 참 즐거웠다고... 시인이라는 것이 그 시대의 가장 중요한 얘기 즉 통일의 문제, 노동시 또는 그런 문제를 다뤄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한다. 시라는 것은 앞장서서 함께 그 사람들을 다독이고 위로해주는 것이기에...
말하자면, 신경림은 현실주의 시를 서정적인 정서로 구조화하려 하였다. 신경림은 이용악, 백석 등이 시도했던 서정적 현실주의 시의 전통을 이으면서 한국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여준 시인이다. 그는 70 80년대 혼란한 정치 현실 속에서 존재해야 할 미래를 구상한 시를 썼지만, 그의 응전의 수단은 시였으며 시를 이념의 도구로 방편화하려는 시도와는 거리가 멀었다.
시집 농무의 간행(1973)과 제1회 만해문학상 수상(1974)을 계기로 확고하게 한국시의 한 영역을 개척하고 70년대 민중문학의 개념에 참된 내실을 부여하였다.
Ⅲ. 결 론
신경림의 시를 파악함으로써, 시 내용에 민중들의 삶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 보기위해, 앞서 신경림이 시를 쓰게 된 배경, 시대적 상황 등을 파악한 다음 [농무]의 대표시들을 구체적으로 훑어보았다. 「농무」를 비롯하여 신경림의 시집 [농무]에 수록된 시들은 70년대의 산업화로 인해 소외된 민중의 삶을 서정적 감정이입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달하고 있다. 사회적 현실에 대한 저항,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겠으나, 신경림은 시를 통해 이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다만 신경림의 시가 남다른 점은 ‘민중시’가 흔한 갖고 있는 ‘관념성’에 빠져들지 않고 미학적, 서정적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경림은 현실주의 시를 서정적인 정서로 구조화하려 하였다. 신경림은 이용악, 백석 등이 시도했던 서정적 현실주의 시의 전통을 이으면서 한국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여준 시인이다. 그는 7,80년대 간난의 정치 현실 속에서 존재해야 할 미래를 상정한 시를 썼지만, 그의 응전의 토대는 시였으며 시를 이념의 도구로 방편화하려는 시도에 거리를 두고 있었다.
신경림은 시집 『농무』에서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농촌 사람들의 좌절과 함몰의 삶을 통해 한 시대가 지닌 문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신경림은 그가 파악한 시대의 문제를 소외된 사람들의 삶의 모습 속에서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평이한 언술을 빌어 구조화하려 하였다.
<참고 문헌>
송상일 (1988. 여름), 『농무』의 두 시점, 문학과 비평, 2권 2호, 236
이광호 (1998. 여름), 『농무』의 세 가지 목소리, 문학과 비평, 2권 2호, 244
조남현 (1998. 여름), 『농무』의 시사적 의미, 문학과 비평, 2권 2호, 253
조태일 (1972. 봄), 민중언어의 발견, 창작과 비평, 7권 1호, 81
김홍규 (1977. 가을), 문학 개인 현실, 창작과 비평, 12권 3호, 206
구중서 (1980. 2), 역사 속의 우리말 가락-신경림 론, 현대문학, 26권 2호, 368
구중서 (1982. 2), 신경림의 시세계, 소설문학, 1982. 2월호, 166
이시영 (1988. 가을), 고은과 신경림, 창작과 비평, 16권 3호, 206
신경림 ; 이동순 ; 이재무 (1992), 신경림 문학앨범, 서울: 웅진출판
신경림 ; 구중서 ; 이재무 ; 이병훈 (2002), 우리 시대의 시인 신경림을 찾아 서, 서울: 웅진닷컴
김흥규 (2007),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 서울: 푸른나무
양승준 ; 양승국 (2004), 한국현대시 500선, 서울: 도서출판 월인
금동철 (1998. 여름), “시를 통해 삶의 본질을...”, (계간) 시와 시학, 통권 30, 87
  • 가격4,5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9.01.01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