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도시][빌딩리모델링][재개발사업][재개발][항만][소공원][환경오염][진드기류]도심의 빌딩리모델링, 도심의 재개발사업, 재개발의 효과, 도심과 항만, 도심과 소공원, 도심의 환경오염과 진드기류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심][도시][빌딩리모델링][재개발사업][재개발][항만][소공원][환경오염][진드기류]도심의 빌딩리모델링, 도심의 재개발사업, 재개발의 효과, 도심과 항만, 도심과 소공원, 도심의 환경오염과 진드기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도심의 빌딩 리모델링

Ⅱ. 도심의 재개발사업

Ⅲ. 재개발의 효과
1. 도시기능의 회복
2. 효율적·합리적 토지이용
3. 도시환경의 정비

Ⅳ. 도심과 항만
1. 도심에 있어서의 항만의 역할
2. 항만의 도시적 역기능성
3. 도심항만의 쇠퇴

Ⅴ. 도심과 소공원
1. 도시 소공원의 개념
2. 소공원의 역사
3. 소공원의 기능과 효용성
1) 휴식, 대화의 장으로서의 기능
2) 경제적 토지이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기능
3) 경관요소로서의 기능
4)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기능
5) 도시 문화환경 개선의 기능

Ⅵ. 도심의 환경오염과 진드기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재한다. 도시 소공원은 도시환경을 만드는 주요한 경관구성요소로서 기능한다.
4)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기능
도시 소공원은 도시내 자연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의 한 형태로 규모는 작지만 일상 생활속에서 가깝게 자연을 체험하고 현상하는 공간이다. 도시 소공원은 사막화된 도시공간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오아시스 같은 공간이다.
5) 도시 문화환경 개선의 기능
고밀도의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가지 내에서 작은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 소공원으로 조성하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 소공원은 여러 가지 문화행사 및 이벤트 등 작은 단위의 문화활동을 위한 장소 제공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시 소공원의 이용자는 주로 성인이며 도시 내의 보행자와 직장인, 노동자 또는 쇼핑 등의 목적으로 시내에 들어온 사람들이 주류를 이루며 설치목적은 휴식제공과 만남과 대화의 장소를 만들려는 것으로 도시의 인공화 된 모습에 인간적 자취를 불어넣어 정감 있는 경관을 만들어 냄으로서 도시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 내 이질집단 사이의 접촉기회를 부여하며 소공원과 몰이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그 지역의 사업활동을 고무시키는 역할도 한다. 하지만 소공원의 휴게시설이 부랑자나 걸인의 숙소가 된다거나 범죄발생지역화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정리해 보면 옥외 공공공간이 극히 제한되는 도시 내의 오픈 스페이스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소공원의 효용성은 만남, 대화, 휴식 등 생활의 장으로의 역할과 도시의 물리적인 모습의 개선과 주변환경의 질 향상, 그리고 기존 공원에 비해 접근의 용이성으로 인한 높은 이용율 등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Ⅵ. 도심의 환경오염과 진드기류
자동차의 폭증으로 공기 및 토양오염이 심각한 특수환경요인을 지닌 도심지에서 8개조사지역의 은행나무 주변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의 토양에서 채집한 토양진드기류의 군집생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8개 조사지역에서 채집한 토양동물은 진드기류 38과 64속 78종으로 6,661개체(75%)를 포함해서 총 8,909개체를 채집하였으며 은기문 아목이 21과 44속 55종, 4089개체(45.9%)로 주종을 이루었다. 전 조사지역의 우점종으로는 E. p, pacifica(53개체), T. velattus(456개체), O. sakamorii(387개체)이고 오염이 심한 광화문지역의 출현 종수는 8종, 94개체이며, 오염과 관계없이 8개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R. ardua와 T. putrescentiae의 2종이었다. 조사지역의 pH와 출현 종을 비교해보면 오염이 심하고 알카리성지역인 광화문, 길음동지역에서는 8, 15종이, 산성지역인 삼청동, 방이동, 관악산지역에서는 26 - 35이 출현하였으며 공기오염도 및 pH와 종수 및 개체수와는 대체로 반비례관계이나 불광동, 길음동, 방이동지역은 오염도에 내성이 강한 7종이 다수 출현하였다. 유기물의 함량과 진드기류의 종수 및 개체수를 비교해보면 대개 비례관계를 보이나 길음동지역에는 T. velatus(264개체)와 T. putrescentiae(236개체)가 다수 출현했다.
토양속의 Cd와 Pb의 함량이 많은 지역에 서식하는 토양동물일수록 생물농축이 많고 진드기류의 종수는 감소하나 개체 수는 환경오염에 내성이 강한 7종의 증가 때문에 조사지역에 따라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오염도가 낮은 관악산지역의 종다양도는 2.6932로 높고, 균등도와 우점도는 오염도가 심한 광화문과 무악재지역에서 각각 0.9569, 0.398로 높았다. 오염이 심한 지역의 은행나무 주변의 토양 속에 서식하는 토양진드기류의 선택성 종은 Barbutiidae sp.와 O. arcualis의 2종이 출현하였다.
참고문헌
ⅰ. 김혜천(2002), 도심 공동화 문제의 이해와 도심재생의 접근방법, 건축·도시환경연구 제 10호, 83-95
ⅱ. 김일규(2000), 근대화 이후 대전 도심의 공동화 현상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논문집 제 5호, 229-242
ⅲ. 남영우(1998), 도심재개발을 위한 연계 정책연구, 국토계획 제33권 6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ⅳ. 오덕성(2001), 21세기 도시 발전 방향과 과제, 충남대학교 지역개발논집 제 13호, 7-31
ⅴ. 염일열, 도심공동화의 접근시각과 활성화 전략
ⅵ. 정수권,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서울시 도심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청계천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ⅶ. 형시영, 지방대도시의 도심재생 방안에 대한 연구, 전남대 대학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1.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